Studie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helf-life of Maejackwa Containing Nuts and Seeds Prepared by Baking Method

굽는 방법으로 제조한 견과종실류 첨가 매작과의 품질특성 및 저장성에 관한 연구

  • 정해정 (대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김성준 (대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백정은 (대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성대경 (대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송화연 (대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이진영 (대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김규흔 (신궁전통한과)
  • Published : 2008.12.31

Abstract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baking method on the quality and shelf-life of Maejakgwa containing nuts and seeds. Four different types of nuts and seeds (almond, cashewnut, coconut, and sunflower seed) were added to flour, and baking method was applied to prepare the Maejakgwa,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which were then evaluated. The proximate composit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crude protein, crude fat, and ash contents were higher in the Maejakgwa containing nuts and seeds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lightness (L) value of the control Maejakgwa was lower than that observed in the groups containing nuts and seeds. Maejakgwa made with cashewnut, coconut, and sunflower seed evidenced higher yellowness (b) values than were recorded in the control and coconut groups. The incorporation of cashewnut, coconut and sunflower seed into the Maejakgwa lowered the hardness values (p<0.05). Our consumer test demonstrated that Maejakgwa prepared with almond was the most highly preferred, and the control group was the least favored. After 30 days of storage at $60^{\circ}C$, the peroxide value of the Maejakgwa containing sunflower seed was substantially higher than in any other groups, thereby suggesting that the addition of sunflower seeds resulted in accelerated lipid oxidation. No noticeable changes in peroxide values were observed in the groups prepared with coconut and cashewnut during storage time. The acid value increased with increasing storage time, and the addition of sunflower seed evidenced the highest values as compared to other groups.

본 연구에서는 오븐에서 굽는 방법으로 매작과를 제조하고 질감 개선 및 기능성 향상을 위하여 몇 종류의 견과종실류를 첨가하여 품질특성을 살펴보고 저장기간에 따른 산패 정도를 살펴보았다. 일반성분 분석 결과 단백질, 조지방 및 회분 함량은 대조군보다 첨가군이 높게 나타났다. 유탕처리한 대조군의 지방함량은 오븐구이한 견과종실류 첨가군의 지방함량보다 더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은 대조군이 가장 낮았고 캐슈넛 첨가군이 73.48로 가장 높아 밝은 색을 띠었다.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아몬드 첨가군이 (+)의 값을 보였고 그 외 첨가군은 (-)의 값을 나타내어 녹색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아몬드, 캐슈넛 및 해바라기씨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매작과의 경도는 캐슈넛, 코코넛, 해바라기씨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결과 표면색은 코코넛 첨가군과 대조군이 낮게 나타난 반면, 해바라기씨 첨가군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고 고소한 맛은 해바라기씨 첨가군과 캐슈넛 첨가군이 높게 평가되었으며 대조군은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다. 단단한 정도는 대조군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고 견과류 첨가군은 비슷한 정도의 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바삭한 정도는 아몬드 첨가군, 대조군 및 해바라기씨 첨가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코코넛 첨가군이 가장 낮은 점수로 평가되었으며 느끼한 정도는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뒷맛은 해바라기씨 첨가군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기호도 검사 결과 아몬드 > 캐슈넛 > 코코넛 > 해바라기씨 > 대조군 순으로 아몬드 첨가군을 가장선호하였고 대조군을 가장 좋아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견과종실류 첨가 매작과를 $60^{\circ}C$에서 30일간 저장하며 과산화물가를 측정한 결과 코코넛과 캐슈넛 첨가군은 저장기간을 통하여 과산화물가의 변화가 거의 없어 지방산화에 안정함을 보여주었고 아몬드 첨가군과 해바라기씨 첨가군은 저장기간에 따라 계속 증가하여 저장 30일 후에는 해바라기씨 첨가군의 산패가 가장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탕처리한 대조군의 경우 해바라기씨 첨가군을 제외한 다른 시료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과산화물가를 나타내었다. 저장기간에 따른 산가의 변화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든 시료군에서 점차 증가하였고 저장 30일후에는 해바라기씨 첨가군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어 과산화물가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관능적인 측면과 저장안정성 측면을 모두 고려한다면 아몬드 또는 캐슈넛 첨가 매작과가 바람직할 것으로 여겨진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희 1997. 매작과. 한국의 떡과 과줄. 대한교과서. 서울. pp 319-321
  2. 김기숙. 1994. 쌀가루와 식용유의 첨가가 매작과의 품질특성에 미 치는 영향. 가정문화논총, 중앙대학교 생활문화산업연구소. 8:65-85
  3. Albert CM, Gaziano JM, Willett WC, Manson JE, Hennekens CH. 2002. Nut consumption and decreased risk of sudden cardiac death in the physicians' health study. Arch Intern Med 162(12):1382-1387 https://doi.org/10.1001/archinte.162.12.1382
  4.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AOAC.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5. Baik EY, Lee HS, Lee KS, Lee JW, Kim HR, Cho MS, Kim KO. 2007.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Gangjung containing sorbitol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Culture 22(1):115-126
  6. Cha K, Song Y. 2006. Effect of the cellulose on Yackwa quality. Korean J of Human Ecology 9(4):67-73
  7. Cho MZ. 2006. The characteristics of soybean dasik in addition of black pigmented rice. Korean J Food Nutr 19(1):58-61
  8. Encyclopedia a. Coconut oil. Available from: http://en.wikipedia.org/ wiki/coconut_oil. Accessed September 14, 2008
  9. Encyclopedia b. Sunflower seed. Available from: http://en.wikipedia. org/wiki/sunflower_seed. Accessed September 14, 2008
  10. Fraser GE, SabateJ, Beeson WL, Strahan MA. 1992. Possibile protective effect of nut consumption on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Arch Intern Med 152(7):1416-1424 https://doi.org/10.1001/archinte.152.7.1416
  11. Kornsteiner M, Wagner KH, Elmadfa I. 2006. Tocopheorls and total phenolics in 10 different nut types. Food Chem 98(2):381-387 https://doi.org/10.1016/j.foodchem.2005.07.033
  12. Kris-Etherton PM, Yu-Poth S, Sabaté J, Ratcliffe HE, Zhao G, Etherton TD. 1999. Nuts and their bioactive constituents: effects on serum lipids and other factors that affect disease risk. Amer J Clin Nutr 70:(Suppl.3) 504S-511S https://doi.org/10.1093/ajcn/70.3.504s
  13. Lee HH, Koh BK. 2002. Sensory characteristics of Mae-jak-gwa with persimmon powder.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2):216-224
  14. Mun SI. 2003. A study of garlic-Yackwa development. 1.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rlic-Yackwa substituted with different amounts of garlic ju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8): 1285-1291 https://doi.org/10.3746/jkfn.2003.32.8.1285
  15. Nandi BK. 2008. Cashew nut nutritional aspects. Available from: http://www.fao.org/docrep/005/ac451e/ac451e0b.htm. accessed on June 22, 2008
  16. Park BH, Cho HS, Kim DH. 2005. Antioxidative effects of solvent extracts of Lycii fructus powder (LFP) and Maejakgwa made with LFP.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9):1314-1319 https://doi.org/10.3746/jkfn.2005.34.9.1314
  17. Park JN, Kweon SY, Kim JG, Park JG, Han IJ, Song BS, Kim JH, Byun MW, Lee JW. 2008. Effect of green tea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ukwa (Korean Fried Rice Cake). Korean J Food Preserv 15(1):37-42
  18. Simopoulos AP. 2001. The Mediterranean diets: what is so special about the diet of Greece? The scientific evidence. J Nutr 131:(Suppl. 11) 3065S-3073S https://doi.org/10.1093/jn/131.11.3065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