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KM 기반의 기록관리 및 일반 정보관리 통합화 연구 - 공기업을 중심으로 -

A Study of Integrated RM & IM with KM Governance: Public Enterprise Centered

  • 정기애 (한국전력기술(주)/ 중앙대학교 기록관리학과) ;
  • 남영준 (중앙대학교 기록관리학과)
  • 발행 : 2008.12.30

초록

기업의 지식자원은 내부성과물인 기록과 외부에서 획득한 정보자료로 구분된다. 지식자원의 디지털화로 인해 내부 생산 기록과 외부 획득 정보자료의 생산 및 획득과정, 저장 및 검색기술, 이용자의 자료이용 패턴등이 유사해지고 그로 인해 생산에서 유통, 저장, 보존까지의 수명주기도 유사해졌다. 따라서 기록과 일반 정보자료의 구분 혹은 분리 개념의 전통적인 관리 방법에서 벗어난 통합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 연구는 기록관리와 정보자료 관리의 분야 특성을 비교하고 통합관리를 위해 KM 기반의 구축 전략의 필요성과 구체적인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특히 정부예산의 상당부분이 투입되는 공기업의 지식자원 관리를 중심으로 통합대상의 선정과 통합방법, 통합주체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Knowledge resources are classified with two groups, the records produced by internal parts of company and general information materials from external organizations. Production, acquisition, storage, retrieval and utilization patterns of two groups became similar due to digitization of knowledge resources. And separated RM and IM should be changed integrated management concept. This paper compares RM and IM based on KM governance strategy and several methods to integrate RM and IM. Especially the selection and identification of knowledge resources, information systems to be integrated and the methods of integration and integrators of public enterprises are presented.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연성, 박영택, 서영호외. 2002. ..경영품질의 베스트 프랙티스... 서울: 법문사, 234
  2. 밀러, 윌리엄, 손욱 역. 2000. ..제4세대 R&D... 서울: 모색, 105
  3. 박정훈. 2006. 지식경영의 최신이슈에 대한 고찰. ..Samsung SDS Consulting Review..,2: 81-91
  4. 이수상. 2008. ..디지털도서관 운영론...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397
  5. 정기애, 남영준. 2007. KM 거버넌스 기반의 기업 전자기록물 관리 최적화 전략 연구,..정보관리연구.., 38(3): 161-181
  6. 배득종, 김재훈, 유홍림. 2007. 공공기관 혁신 ; 지배구조개선과 종합관리대책. ..지방분권위원회.., 163
  7. 한국표준협회. 2008. ..글로벌 기업경영의 7가지 조건: 국가품질상 경영시스템 말콤볼드리지 적용 모델 해설... 서울: 한국표준협회미디어, 350
  8. Brown, John Seely, Duguid, Paul. 2001. ..비트에서 인간으로... 이진우역. 서울: 거름
  9. Carlucci, Daniela, Marr Bernard, Schiuma, Gianni. 2004. The Knowledge value chain: how intellectual capital impacts on business perform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Management, 27(6/7): 584
  10. Chua, Alton. 2004. Knowledge management system architecture: a bridge between KM consultants and technologists.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24(1): 87-98 https://doi.org/10.1016/j.ijinfomgt.2003.10.003
  11. Duffy, Jan. 2000. The KM Technology Infrastructure. The Information Management Journal, April, pp.62-66
  12. Elizabeth Shepherd, Yeo, Geoffrey. 2005. Managing Records ; a handbook of principles and practice, London, Facet Publishing. 318(148)
  13. McKinsey Quarterly, 10 Trends to Watch in 2006, 2006. Jan
  14. Pemberton, J. M., KM & RM: Oil & Water?, 2004. The Information Management Journal, May/June, 47-53
  15. Phillips, J. T. 2000. Will KM Alter Information Managers' Roles?. The Information Management Journal, May/June, 58-62
  16. Sundberg, H. P., Wallin, Patrik. 2007. Recordkeeping and Information Architecture ; A Study of the Swedish Financial Sector.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Information System, 1:31-45(35)
  17. Tibbo, H. R. 2003. On the Nature and Importance of Archiving in the Digital Age. Advances in Computers, 57: 4
  18. Walsh, J. P., Ungson, G. R., 1991. Organizational Memor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6(1): 57-91(58) https://doi.org/10.2307/258607
  19. Upward, Frank. 1997. Based on a diagrammatic representation of the records continuum developed. Monash University, 278-2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