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Mentoring for University Librarians: Case Study of P University Library

대학도서관 사서의 멘토링에 관한 연구 - P대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

  • Published : 2008.12.30

Abstract

If mentoring is performed in university libraries for mentors, the senior librarians with much experience and mentees, the juniors with less or no experience, how would they respond to it and what would be the mentoring they wish to do? This study aims to find those out by analyzing data. For this, it referred to literature and conducted a survey with the subject of the librarians at the P university library. As a result, they showed relatively higher intentions to participate in mentoring. Their highest interest topics were their job related advice or consultation. For the mentor-mentee matching, they wished to have such relationship from the board organized in the library, or mentees wanted to select. They chose work ability as the most important requirement for their partners involved in the mentoring. They responded that the best mentor-mentee matching would be 1:1 and less than a year would be appropriate for the mentoring period. As shown above, most of the librarians showed intentions to participate in mentoring for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self-learning opportunity; therefore, university libraries should publicize librarians' mentoring actively and develop various programs for it.

대학도서관에서 경험이 많은 선배사서인 멘토와 경험이 없거나 부족한 후배사서인 멘티를 위하여 멘토링을 시행한다면 그에 대한 호응도는 어떠하며, 원하는 멘토링은 어떠한 형태인지를 분석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문헌조사와 함께 P대학 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멘토링에 참여할 의사는 비교적 높았으며, 관심주제는 직장생활에 대한 조언과 상담이 가장 높았고, 멘토와 멘티의 매칭은 도서관에서 구성한 위원회나 멘티가 선정하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멘토링에 참여하는 파트너의 가장 중요한 조건은 업무능력이라고 하였으며, 멘토와 멘티의 매칭은 1:1을 선호하였고, 멘토링 기간은 1년 이하가 적당하다고 하였다. 위와 같이 대부분의 사서가 개개인의 전문성 개발 및 자기학습 기회를 위하여 멘토링 참여의사를 밝혔으므로 대학도서관에서도 멘토링에 대하여 적극적인 홍보와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치. 1998. 멘토링의 문제점과 활성 화방안에 관한 연구. .산업경영., 22: 44
  2. 문영주, 황미경. 2007.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멘토링 경험 및 멘토링 기능이 전문직업 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관리연구., 14(특별호): 93-111
  3. 부산대학교. 2008. 멘토링을 통한 성공 취업으로의 초대. 부산대학교 종합인력개발원, 홍보물. 4
  4. 서리라. 2002. .비서직종사자를 위한 e-Mentoring시스템 설계..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비서학과
  5. 신용주, 김민선. 2005. 멘토링의 도입 및 성공사례에 관한 연구. .생활과학연구., 10: 100
  6. 윤종록. 2000. 한국기업의 멘토관계. .한국동북아논총., 14: 91-114
  7. 이규만. 2007. 조직내에서의 멘토관계가 구성원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관리연구., 14(4): 259-275
  8. 정희선. 2001. 여성관리자의 커리어개발과 멘토링. .중소기업연구., 22(3): 360-361
  9. 조성종. 2001. 멘토의 기능이 교회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민논총.,4: 222-224
  10. 전재완, 이명운. 2004. 멘토링 기능, 조직성과가 서비스 품질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광정책학연구., 10(2)
  11. 정윤길. 2002. 지방공무원의 직무만족과 성과에 대한 역할스트레스와 멘토링의 역할..한국지방자치학회보., 14(4)
  12. 한태영. 1994. .조직원의 경력계획에 대한 멘토관계와 자기효능감의 영향..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13. Bullington, J. S. and S. D. Boylston. 2008. Strengthening the profession, assuring our future. College & Research Libraries News.
  14. Ritchie, A. and Genoni, P. How to set up a facilitated Group Mentoring Program, Australian Library and Information Association Fifth Biennial Conference: Pathways to Knowledge. Adelaide, (1998): 569-5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