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writing Male-identity Narratives, Possibilities & Limitations - Focusing on & -

새로운 남성 정체성의 모색, 가능성과 한계 - <라디오 스타>와 <즐거운 인생>을 중심으로 -

  • 황혜진 (목원대학교 영화영상학부)
  • Published : 2008.12.28

Abstract

It has been a major agenda in criticism that there have been a dominant tendency of male-centered narratives in Korean mainstream films after . These kinds of narratives could be accept as a result of searching process in virtual realm for understanding the social changes. I suggest $H.Lef\acute{e}bvre's$ very familiar concept 'quotidienne', which influences the conditions to constitute male-identity as a fundamental base of male-centered narratives, to analyze and . It seems meaningful these texts tried to reconstitute male-identity through distinguish potential energy of 'quotidienne' from repressive everyday-life. The result of analysis has lied two ambivalent dimensions, nevertheless, it would be required further studies to argue on male-centered narratives and discourses of male-identity as which results could represent interactions between various social contradictions.

<쉬리> 이후 주류 한국영화의 특징으로 나타나는 남성중심적 서사에 대한 비판은 영화비평의 한 의제를 구성해왔다. 이러한 서사는 사회적 모순에 대한 상상적 해결책으로 시대적 변화에 대한 반응이다. 본고는 남성중심적 서사의 핵심인 남성정체성 구성을 조건 짓는 토대로서 르페브르의 개념인 '일상'을 제시하고, 일상의 재발견을 통해 정체성 재구성을 모색하고 있는 이준익의 <라디오 스타>와 <즐거운 인생>을 분석한다. 분석의 결과는 양가적이다. 미시사적 개념인 ‘이름없는 사람’, 80년대에 대한 개인적 기억, 일상의 재발견이 정체성 재구성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반면 여성의 일상은 서사의 주변부로 밀려나 성별관계를 고착시키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존의 남성중심적 서사와 차별되는 새로운 남성의 서사를 구축하려는 시도의 의미는 시대적 연관성 속에서의 지속적인 탐구를 요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문재철, "향수영화에 나타난 남성과 여성", 영화연구, 제16호, 2001.
  2. 김경욱, 블록버스터의 환상 한국영화의 나르시시즘, 책세상, 2001.
  3. 백문임, "한국영화의 복고.남성.멜로", 문학 판, 2002년 봄호.
  4. 주유신, "한국영화가 재현하는 성의 정치학", 영화언어 2004년 봄호.
  5. 황혜진, "남성중심적 서사의 역설, 분열하는 남성정체성", 영화평론 제16호, 2004.
  6. 안토니 기든스, 권기돈 역, 현대성과 자아정체성,새물결, pp.51-84, 2004.
  7. 울리히 벡 외, 강수영 역, 사랑은 지독한, 그러나 너무나 정상적인 혼란, 새물결, pp.21-38, 2002.
  8. 앙리 르페브르, 박정자 역, 현대세계의 일상성, 기파랑, pp.14-15, 2005.
  9. 김욱동 편, 포스트모더니즘의 이해, 문학과 지성사, pp.244-245, 1990.
  10. Pechey, Graham, "On the Borders of Bakhtin :Dialogisation, Decolonisation," Bakhtin & the Cultural Theory, eds. by Ken Hirschkop & David Shepherd, Manchrster Univ. Press, pp.42-45, 1989.
  11. 위르겐 슐름봄 편, 백승종 역, 미시사와 거시사, 궁리, pp.15-21, 2001.
  12. 김기봉, 역사란 무엇인가를 넘어서, 푸른역사, pp.249-278, 2000.
  13. 앙리 르페브르, 박정자 역, 현대세계의 일상성, 기파랑, pp.151-152., 2005.
  14. 김동식, "한국영화에 등장하는 1980년대 이미지", 한국영화의 미학과 역사적 상상력, 연세대 미디어아트센터 편, 소도, pp.248-252, 2006.
  15. 김동식, "한국영화에 등장하는 1980년대 이미지", 한국영화의 미학과 역사적 상상력, 연세대 미디어아트센터 편, 소도, pp.22-25. 2006.
  16. 김동식, "한국영화에 등장하는 1980년대 이미지", 한국영화의 미학과 역사적 상상력, 연세대 미디어아트센터 편, 소도, pp.26-95. 2006.
  17. 김욱동 편, 포스트모더니즘의 이해, 문학과 지성사, pp.248-252. 1990.
  18. A. Heller, Everdaylife, Routledge, and P. Kegan, p.6, 1984, 김용석, 문화적인 것과 인간적인 것, 푸른숲, pp.266-269, 2000.에서 재인용.
  19. 김용석, 문화적인 것과 인간적인 것, 푸른숲, pp.105-123. 2000.
  20. 기안토니 기든스, 권기돈 역, 현대성과 자아정체성,새물결 p.46. 2004.
  21. 문재철, "향수영화에 나타난 남성과 여성", 영화연구, 제16호, p.329. 2001.
  22. 박유희, 서사의 숲에서 한국영화를 바라보다, 다비치, pp.180-187, 2008.

Cited by

  1. New Types of Masculinity Represented in TV and Its Limitations : Focusing on Weekend Variety Programs vol.14, pp.1,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1.0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