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Repetitive Dive on Physiological Reactions and Stress Hormone in No Decompression Limit

무감압한계 잠수환경에서의 반복잠수가 생리적 반응 및 스트레스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 Kim, Jun-Mo (College of Sport Sciences, Dong-A University) ;
  • Kim, Sung-Gil (College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Korea Maritime University)
  • 김준모 (동아대학교 경기지도학과) ;
  • 김성길 (한국해양대학교 해양체육학과)
  • Published : 2008.12.31

Abstract

This research i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petitive dive on physiological reactions, change of stress hormones in no decompression limit of sport SCUBA dive, an emerging recreational activity recently. In order to compare physiological reactions prior to and after the initial dive and after repetitive dive at a certain depth of a place, eight adult male divers with more than forty dives, who reside in Busan and were certified, were selected. The research results obtained from the procedures described above are follows: First, for physiological reactions, heart rates, temperatures, and systolic blood pressures had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prior to and after the initial dive and after the repetitive dive, while diastolic blood pressures did not show remarkable difference as it increased before and after the first dive but decreased following the repetitive dive again. Second, for change of stress hormones, 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rior to and after the initial dive and following the repetitive dive, as well as before and during the first dive and the repetitive dive.

스쿠버 무감압한계 잠수환경에서의 반복 잠수 활동이 인체의 생리적 반응과 스트레스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동일 장소와 수온 그리고 수심에서 잠수경력이 비슷한 다이버 8명을 대상으로 반복 잠수를 실시하였다. 잠수 전, 첫 잠수 후, 반복 잠수 후 개별 측정 및 채혈한 결과 생리적 반응은 심박수, 체온, 수축기 혈압이 잠수 전과 첫 잠수 후, 반복 잠수 후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이완기 혈압은 잠수 전과 첫 잠수 후에는 증가하였으나 반복 잠수 후에는 다시 감소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스트레스 호르몬 변화에서는 잠수 전, 첫 잠수 후, 반복 잠수 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스포츠 스쿠버 잠수표 계획에 따른 무감압 한계 반복 잠수 활동은 심박수, 체온, 수축기혈압을 감소시키는 반면 스트레스 호르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한 다이빙을 위해서는 보다 많은 생리학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신영 (2002). <잠수공학>, 한국해양대학교, 1-31
  2. 김극로 (1986). 스쿠버다이빙시 심박수 변화에 관한 연구, <군산대학교 스포츠과학 연구보고서>, 23, 67-76
  3. 김기진 (2001). 스쿠버 다이벙시 잠수시간에 따른 생리적 반응의 비교, <한국생활환경학회지>, 8, 256-262
  4. 김기진, 김흥수, 천우광, 김준태, 김도형, 오경숙, 신윤정 (2001). 수조의 호흡중지 잠수와 스쿠버 다이빙시 생리적 반응의 비교, <제39회 한국체육학회 학술발표회>, 617-621
  5. 김승철 (2004). 스쿠버 다이빙시 수심차이에 따른 생리적 변화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9
  6. 박양생 (2004). <한국해녀-잠수생리학적 특성>, 고신대학교 출판부
  7. 신승환 (2005). 스쿠버 다이빙시 잠수경력이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우재홍 (2004). Scuba 잠수운동시 수온환경이 면역기능과 호르몬 반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9. 이원석 (1985). 산소 중독 흰쥐의 뇌내 Monoamines계의 변동에 관한 연구,<해양의학>, 7, 63-78
  10. 임상원 (1999). 스쿠버 다이빙시 인체의 생리적 반응, <'99 한국운동과학회 하계 학술대회>, 51-59
  11. 정창호 (2004). 잠수사고 사례고찰을 통한 안전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Anthonisen, N. R. (1976). Respiratory System in Diving, In Diving Medicine, Grun & Stratton, New York, 35-48
  13. Bove, A. A. (1996). Medical aspects of sport driving: Exercise and medical demands of scuba diving,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28, 591-595 https://doi.org/10.1097/00005768-199605000-00009
  14. Connelly, T. P., Sheldahl, L. M., Tristani, F. E., Levandoski, S. G., Kalkhoff, R. K., Hoffman, M. D. and Kalbfleisch, J. H. (1990). Effect of increased central blood volume with water immersion on plasma catecholamines during exercise,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69, 651-656 https://doi.org/10.1152/jappl.1990.69.2.651
  15. Edmonds, C. (2005), <스쿠버 다이버가 꼭 알아야 할 잠수의학>, 정담, 김희덕 역
  16. Elsner, R. and de Burgh Daly, M. (1988). Coping with asphyxia: Lessons from seals, News in Physiological Sciences, 3, 65-69
  17. Jansky, L., Pospisilova, D., Honzova, 5., Ulicny, B., Sramek, P., Zemen, V. and Kaminkova, J. (1996). Immune system of cold-exposed and cold-adapted humans,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and Occupational Physiology, 72, 445-450 https://doi.org/10.1007/BF00242274
  18. Jurankova, E., Jezova, D. and Vigas, M. (1995). Central stimulation of hormone release and the proliferative response of lymphocytes in humans, Molecular and Chemical Neuropathology, 25, 213-223 https://doi.org/10.1007/BF02960914
  19. Paffenbarger, R. S., Hyde, R. T., Wing, A. L. and Hsieh, C. C. (1986). Physical activity, all cause mortality, and longevity of college alumni,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14, 605-613 https://doi.org/10.1056/NEJM198603063141003
  20. Powell, K. E., Thompson, P. D., Caspersen, C. J. and Kendrick, J. S. (1987). Physical activity and the incidence of coronary heart disease, Annual Review of Public Health, 8, 253-287 https://doi.org/10.1146/annurev.pu.08.050187.001345

Cited by

  1. The Comparison of Pulmonary Function in Jeju female divers vol.13, pp.11, 2015, https://doi.org/10.14400/JDC.2015.13.11.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