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ecipitation Analysis Based on Spatial Linear Regression Model

공간적 상관구조를 포함하는 선형회귀모형을 이용한 강수량 자료 분석

  • 정지용 (고려대학교 정보통계학과) ;
  • 진서훈 (고려대학교 정보통계학과) ;
  • 박만식 (고려대학교 의학통계학교실)
  • Published : 2008.12.31

Abstract

In this study, we considered linear regression model with various spatial dependency structures in order to make more reliable prediction of precipitation in South Korea. The prediction approaches are based on semi-variogram models fitted by least-squares estimation method and restricted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method. We validated some candidate models from the two different estimation methods in terms of cross-validation and comparison between predicted values and observed values measured at different locations.

매년 전 세계는 여러 자연재해로 인하여 많은 피해를 받고 있다 그 중에서도 강수와 관련한 집중호우와 가뭄, 홍수, 상수원 부족 등으로 많은 손실을 입고 있다. 이러한 재해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기상에 대한 정확한 예측이 필요하다. 따라서 강수량에 대한 정확한 예측을 실시하여 수자원을 적절하게 이용하고 재해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수량을 측정하는 지상기상관측지점자료에 대해 공간적 상관구조를 포함하는 선형회귀모형(크리깅)을 고려하여 세미베리오그램을 기반으로한 최소제곱법과 코베리오그램을 기반으로한 최대우도추정방법으로 남한지역의 공간적 특성을 적절하게 파악할 수 있는 모형들을 찾고 이 모형들을 비교하였다. 공간적 선형회귀모형들에 대한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자동기상관측지점과 항공기상관측지점에서 측정된 실제값과 예측값을 비교하고 이를 바탕으로 강수량 예측에 관한 발전 및 개선방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선우, 정애란, 이성덕 (2005). 공간자료에 대한 지리적 가중회귀 모형과 크리깅의 비교, <응용통계연구>, 18, 271-280 https://doi.org/10.5351/KJAS.2005.18.2.271
  2. 신만용, 윤진일, 서애숙 (1999).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한 전국 일 최고/최저기온 공간변이의 추정, <대한원격탐사학회지>, 15, 9-20
  3. 오광중, 곽진, 정덕영, 손건태 (1998). 부산지역의 대기오염물질농도와 기상인자간의 통계분석-광안리지역을 중심 으로,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20, 1235-1245
  4. 유성모, 엄익현 (1999). 강우강도 데이터를 이용한 세미베리오그램의 추정과 공간이상치에 관한 연구,<응용통계 연구>, 12, 125-141
  5. 이지영, 황철수 (2002). 공간통계분석을 이용한 지가의 입지값 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GIS학회지>, 10, 233-246
  6. 장지희 (2003). <크리깅 방법을 이용한 공간데이터 분석>,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조재영 (2001). <공간자료에 대한 공간통계와 일반통계 분석법에 의한 예측력 비교 연구>, 동의대학교, 석사학위 노문
  8. 조재영, 최승배, 김규곤 (2001). 일반통계에 대한 공간통계 방법의 예측성능에 관한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6, 473-491
  9. 최승배, 조장식, 범수균 (2004). 공간변이성의 추정량들에 대한 예측력 비교 연구: 남한지역 일산화탄소 자료를 이용하여, Journal of the Korea Data Analysis Society, 6, 279-291
  10. 허태영, 서의훈, 권원태 (2004). 세미베리오그램 모형을 적용한 남한지역 강수량 자료의 공간분석,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6, 473-491
  11. Cressie, N. A. C. (1993). Statistics for Spatial Data, John Wily & Sons, New York
  12. R Development Core Team (2008). R: A Language and Environment for Statistical Computing, R Founda- tion for Statistical Computing, Vienna, Austria, http://www.R-project.org

Cited by

  1. Generating high resolution of daily mean temperature using statistical models vol.27, pp.5, 2016, https://doi.org/10.7465/jkdi.2016.27.5.1215
  2. On the Geometric Anisotropy Inherent In Spatial Data vol.27, pp.5, 2014, https://doi.org/10.5351/KJAS.2014.27.5.755
  3. On the Hierarchical Modeling of Spatial Measurements from Different Station Networks vol.26, pp.1, 2013, https://doi.org/10.5351/KJAS.2013.26.1.093
  4. Estimating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Climate Factors in Andong Dam Basin vol.23, pp.4, 2015, https://doi.org/10.7319/kogsis.2015.23.4.057
  5. Threshold Modelling of Spatial Extremes - Summer Rainfall of Korea vol.27, pp.4, 2014, https://doi.org/10.5351/KJAS.2014.27.4.655
  6. Estimating Precis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Weather Condition Using Semi-Variogram in Small Scale Recreation Forest vol.18, pp.3, 2015, https://doi.org/10.11108/kagis.2015.18.3.0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