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zing Characteristics of Forest Damage within the Geum-buk Mountain Range

금북정맥의 산림훼손 특성 분석

  • Jang, Gab-Su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Research Team, Chungnam Development Institute) ;
  • Jeon, Seong-Woo (Korea Environmental Institute) ;
  • Kim, Sang-Soo (Department of Geoinformatic Engineering, Inha University)
  • 장갑수 (충남발전연구원 환경생태연구팀) ;
  • 전성우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 김상수 (인하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 Published : 2008.12.31

Abstract

The characteristics of forest damage in the Geum-buk Mountains were analyzed by using satellite images and a field survey for landscape conservation purposes. A survey scope was fixed using DEM, and areas of damage in the mountain range were analyzed via ArcMap v. 9.2 using SPOT 5 images, a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 All damaged areas were reviewed and corrected in a field survey. As a result, 75 roads were found to completely fragment forest patches. Of those roads, 26 have the width under 3m, which means that the fragmentation of the forest by these roads may have a minor effect on forest habitat and its ecosystems, while other roads such as two-lane roads may have broader detrimental influences on the ecosystem. Two thousand eighty-three sections of accounted for a total area of about 5,760.7ha. Orchard areas including chestnut tree plantations were ranked as the largest in the damaged area within the Geum-buk Mountains, followed by public facility areas and grassland areas. This means that man-made land usage has progressed in the area regardless of slope and elevation.

충청남도 핵심생태축인 금북정맥의 지속가능한 보호를 위해 위성영상 분석과 현장조사를 통하여 금북정맥의 산림지역에 발생한 훼손지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DEM을 활용하여 조사범위를 선정하고 SPOT 5 영상을 활용하여 의심되는 훼손지를 추출하였으며, 추출된 훼손지 정보에 대해서는 현장조사를 통하여 검증과정을 거쳤다. 그 결과, 금북정맥을 단절시키는 도로는 75개소였으며, 3m 이하의 경미한 도로단절 구간이 26개소이고, 왕복 2차선 이상의 도로에 의해 단절된 지점이 40개소 존재하였다. 도로는 대부분 도로 양쪽을 양분하여 원래 하나의 생태계였던 것을 분리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므로 도로 단절에 의한 생태계 분리의 최소화를 위해 도로 주변의 생태계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금북정맥의 산림에 영향을 미치는 훼손지는 2,083개소 5,760.7ha로 나타났다. 훼손지에는 과수원이 가장 큰 면적을 차지하였고, 공공시설과 자연초지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로 미루어 보아 인위적인 토지이용이 고도와 경사에 관계없이 빈번하게 이루어 졌음을 알 수 있었다. 금북정맥이 지속적으로 훼손되고 있으나 남아있는 자연성을 유지하고 갱신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모니터 링과 분석을 통한 보전지역의 설정과 보전을 위한 지역민들의 공감대 형성이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경기개발연구원(2003) 푸른경기 그린프로그램 21. 경기도
  2. 오동하(2006) 부산시 생태네트워크 구축 방안 연구. 부산발전연구원
  3. 이동근, 김명수, 구본학, 김경훈, 김동성, 나정화, 윤소원, 이명우, 전성우, 정흥락, 조경두, 제종길, 홍선기(2004) 경관생태학. 보문당
  4. 장갑수(2007) 최근린사상법을 활용한 금강서해유역 녹지네트워크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5(5): 56-63
  5. 전성우, 송은엽, 정재서, 윤정호, 정휘철, 원명수, 정연우, 김성진, 최두연, 정은숙(2003) 백두대간 훼손실태 조사 연구 I . 환경부
  6. 전성우, 송은엽, 정재서, 윤정호, 정휘철, 김남춘, 문석기, 박종민, 심상렬, 이동근, 최영국(2004) 백두대간 훼손실태 조사 연구 II.환경부
  7. 충남발전연구원(2007) 충청남도 광역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자연환경조사(1차년도). 충청남도
  8.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2007) 광역생태축 구축을 위한 연구. 환경부
  9. 현진상(2000) 산경표. 풀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