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Garden Meaning of Pungryu through Genre Painting in Joseon Dynasty

조선시대 풍속화를 통해 본 정원의 풍류적 의미 연구

  • Zoh, Kyung-Jin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Seo, Young-Ai (Program in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조경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 서영애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 Published : 2008.12.31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diversity of garden culture in the Joseon Dynasty focusing on genre painting. Genre painting gives us insight into the various ways of enjoying the garden. The intimate activities portrayed in the painting show us about the vivid scenes of Korean garden at that time. Among the various meanings of gardens, sensual pleasure is focused on here. The garden has always been a place of pleasure for seeing, smelling, touching, meeting people and erotic flirting. Here, the oriental aesthetic idea of Pungryu is adopted to reformulate pleasure based on the traditional way of thought. Most Korean gardens in the Joseon Dynasty were understood as the place for Pungryu. Sensuality in the Korean garden associated with a high level of spiritual pleasure. In order to look closely into garden activities, genre paintings were selected and analyzed. Several characteristics were elicited. First, the garden was understood as the medium of communication through reconciling man with nature. Mediating man with nature often calls for uplifting the sense of community within groups of people. Second, the garden was featured as the place of cultural creation. Many scholars utilized the garden as a place for poetic imagination. Therefore, the garden was the locus of intellectual discourse. Third, personal retreat was one of important functions in the Korean garden. the humble attitude toward landscape such as solitude and mediation might be understood as one way of enjoying the nature. Fourth, taste, power and social relations were embedded in garden culture. Therefore, the garden was regarded as a space of distinction. Garden making was understood as one of the high class leisure activity. It was quite natural that the garden was used as a place of showing up their taste and culture. Finally, we need to reinvigorate the rich meanings of garden in contemporary practices. In-depth analysis of garden culture through the lens of genre painting gives us quite useful information in Korean garden culture.

본 연구는 조선시대 풍속화를 분석하여 당대의 정원이 어떻게 활용되었는가를 추적해 보는 연구이다. 정원의 다양한 의미 중 감각적 즐거움의 장으로서 의미에 초점을 맞춘다. 이를 위해 서구의 감각적 즐거움과 비교되는 동아시아의 미학적 특질인 풍류 개념을 활용한다. 풍류의 개념은 감각적 즐거움을 넘어 정신적 희열로서 인간이 자연과 존재론적으로 조우하는 차원의 의미를 내포한다. 정원에서의 활동을 살펴보기 위해서 일상생활을 포착한 조선시대의 풍속화를 대상으로 하였다. 정원의 경계가 명확하고 구체적인 공간이용행태를 보이는 풍속화로 13점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이 파악되었다. 첫째, 정원은 자연과의 합일을 통한 커뮤니케이션의 장이라는 점이다. 이 자연과의 합일은 사람과의 합일, 예술과의 합일을 촉발하며 공동체의 커뮤니케이션 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둘째, 정원은 문화 창작 공간이라는 점이 확인되었다. 정원은 사람들이 모여 시회를 하는 등 시적인 상상력을 촉진시키는 장소이다. 셋째, 정원은 내면 성찰을 위한 명상의 장이라는 점이다. 이러한 개인적 차원의 풍류가 존재하므로 소박하거나 일상적인 정원도 가치를 가지게 된다. 넷째, 정원은 취향, 권력, 인맥 등 드러내기의 장이라는 점이다. 풍류는 특정 계층에 의하여 추구되는 경향이 있기에, 이러한 계층적 특성이 정원문화에서도 나타난다. 정원과 관련된 풍류문화 역시 개인적인 사색적 풍류에서 유희적 풍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층위가 존재함이 확인되었다. 서구의 자연관이나 문화를 답습하기보다는 우리 선조들이 향유하였던 풍류문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보다 일상적이며 친숙하게 번안하는 시도가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명관(2001) 조선사람들, 혜원의 그림 밖으로 걸어나오다. 서울: 푸른역사
  2. 강영조(2003) 풍경에 다가서기. 서울: 효형출판
  3. 광주국립박물관 전시도록(2002) 조선시대 풍속화. 광주국립박물관
  4. 김경철(1995) 고전적인 견해로 본 서양의 여가와 한국의 풍류. 용인대학교논문집. 11: 301-318
  5. 김영모(2003) 시짓기와 원림 조영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21(2): 1-17
  6. 김영숙(1996) 조선후기 풍속화의 발전. 숙명한국사론 2: 201-216
  7. 김원룡(1978) 한국미의 탐구. 서울: 열화당
  8. 김채현, 배현미(2007) 풍속화에서 살펴본 공공공간의 형태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2): 59-71
  9. 민주식(2000) 풍류 사상의 미학적 의의. 미학예술학연구 11: 61-76
  10. 박정욱(2001) 풍경을 담은 그릇 정원. 서울: 서해문집
  11. 신은경(1999) 풍류. 서울: 보고사
  12. 안계복(2005) 풍류의 정원, 누.정.대.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1): 150- 157
  13. 안계복, 한성미(2008) 산수문화의 거점, 누.정.대. 제 11회 중일한 풍경원림학 심포지움 논문집. 220-230
  14. 안명준, 배정한(2008) 조선시대 풍속화에 나타난 도시숲. 한국환경복원녹화학회지 심사중
  15. 유홍준(2001) 화인열전 2. 서울: 역사비평사
  16. 유효순(2005) 풍속화에 표현된 18세기말의 여성패션. 혜전대학 논문집. 23: 149-171
  17. 이문성(2001) 풍속화에 나타난 조선후기 사회와 혜원의 삶. 한국학연구 14: 229-245
  18. 이상필, 이재근(2005) 도상 자료에 나타난 한국 전통원지의 형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2): 73-89
  19. 이원복(2005) 회화: 한국미의 재발견 6. 서울: 솔
  20. 이종묵(2006) 조선의 문화공간 4. 서울: 휴머니스트
  21. 이태호(1995) 조선후기 풍속화와 기록화에 나타난 연주장면. 한국학 연구 7: 85-169
  22. 이태호(2002) 풍속화 하나. 서울:대원사
  23. 전영옥(2004) 조선시대 괴석의 특성과 산수화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2): 1-10
  24. 정병모(2000) 한국의 풍속화. 서울: 한길아트
  25. 정약용(2001) 박무용 옮김. 뜬세상의 아름다움. 파주: 태학사
  26. 정재훈(1990) 보길도 부용동 원림. 서울: 열화당
  27. 정진, 백혜리(2001) 조선후기 풍속화에 나타난 아동 인식. 아동학회지 22(1): 109-124
  28. 중앙일보 편저(1985) 한국의 미 -풍속화. 서울: 중앙일보사
  29. 진중권(1994) 미학 오딧세이 2. 서울: 휴머니스트
  30. 최순우(1994)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 서울: 학고재
  31. 최완수(2004) 겸재의 한양진경. 서울: 동아일보사
  32. 최은주(2000) 17C말-18C초 풍속화에 나타나는 복식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학회지 8(6): 915-929
  33. 최종현(2008) 조선후기 사회변화와 도성의 변모. 제 1회 한국영화사연구소 포럼, '근대 도시와 공공공간의 연구' 특강 자료. 2008. 11. 28
  34. 황기원(1987) 정원의 원형 시론. 환경논총. 20권: 85-97
  35. Benoist-Mechin, J.(1975) L'homme et Son Jardin. Paris: Editions Albin Michel. 이봉재(역), 정원의 역사: 지상낙원의 삼천 년. 서울: 르네상스, 2005
  36. Coffin, D.(1994) The English Garden: Meditation and Memorial. New York: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37. Crandell, G.(1993) Nature Pictorialized: The View in Landscape History. Baltimore: The Johns Hopkins
  38. Francis, M. and R. Hester(1991) The Meaning of Gardens. Cambridge, MA: The MIT Press
  39. Fry, N.(1968) Anatomy of Criticism. New York: Antheneum
  40. Hartmann, N.(1953) Ästhetik. 전원배(역), 미학. 서울: 을유문화사, 1995
  41. Hunt, J. D. and P. Willis(1990) The Genius of the Place. Cambridge: The MIT Press
  42. Oh, W. S.(1998) Du p'ungryu aux jardins-Le jardin coreen a la lumiere du concept de p'unryu. Ecoles des Hautes Etudes en Sciences Sociales, Paris
  43. Orsenna, E.(2001) Andre Le Notre: Gardener to the Sun King. New York: George Braziller
  44. Sennett, R.(1996) Fresh and Stone: The Body and the City in Western Civilization. New York: W. W. Norton & Company
  45. Vercelloni. V.(1990) European Gardens: An Historical Atlas. New York: Rizzolli
  46. Walpole, H.(1931) On Modern Gardening. New York: Yong Books Inc
  47. Zoh,K.J.(1994) Re-inventing Gardens: A Study in Garden Theory.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Pennsylvania
  48. Zoh,K.J.(2000) Sensuality, body and garden: In the case of Korean garden, Bokildo, Journal of Japanese Landscape Architecture, (1): 45-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