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derstanding the Visitation Aspect of Dabbling Ducks (Anas spp.) in the Long Period at Nakdong Estuary, Busan, Republic of Korea

낙동강 하구에서 수면성오리류(Anas spp.)의 장기적 도래 현황

  • Published : 2008.12.30

Abstract

We used the visitation aspect of dabbling ducks(Anas spp.) to investigate the estuarine ecosystem of Nakdong River and to compare the data collected during two periods: trom May, 1989 to April 1993 and from May, 2002 to April 2006. Over for the 8 years of field surveys, 356,110 individuals from 11 species of dabbling ducks(Anas spp.) were observed in the Nakdong estuary. In the early 1990s, the average number of species gradually increased from October through November, whereas the highest numbers of species were recorded in October during the second survey period. The average number of individuals recorded during the second period was 2-3 times higher than that observed in the 1990s. Statistical analysis using a t-test indicated that the number of individual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t 5% level between November and February in both the early 1990s and the mid-2000s. During the winter, dabbling ducks select both estuarine wetlands as resting sites and rice paddy as feeding sites. More wintering migrants including ducks would visit to Nakdong river if we provide with enough rice paddy near the estuary. The farmland around Nakdong estuary is used by dabbling ducks as a habitat, we hope it must be conserved thoroughly. CRP(crop reserve program), implemented by the local government of Kangseo-gu, Busan City is effective in conserving rice paddy; therefore, the CRP program need to be continuously applied in the Nakdong river basin.

본 연구는 1990년대 전반기(1989년 5월$\sim$1993년 4월)의 자료와 2000년대 중반기(2002년 5월$\sim$2006년 4월)의 자료를 분석하여 낙동강 하구에서 수면성 오리류(Dabbling Ducks; Anas spp.)의 장기적 도래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기간(1989년5월$\sim$1993년4월, 2002년5월$\sim$2006년4월, 총 8차년도)에 관찰된 수면성오리류 중 청둥오리속(Anas spp.)은 총 11종 356,100개체이었다. 1990년대 전반기(1989년$\sim$1993년)와 2000년대 중반기(2002년$\sim$2006년)까지 조사한 청둥오리속(Anas spp.)들의 개체수의 월평균 값은 1990년대 전반기에는 10월부터 점진적으로 개체수가 늘어나 11월에 가장 많은 개체수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2000년대 중반기에는 10월에 가장 많은 개체수를 관찰하였다. 또한 월별 개체수 평균도 1990년대보다2000년대가 약 2, 3배 이상을 나타내었다. 1990넌대 전반기 조사와 2000년대 중반기 조사 결과를 T-검정을 실시한 결과 11월부터 2월까지의 것이 5%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11월부터 2월까지의 개체수들은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채식지와 휴식지가 다른 오리류는 낙동강 하구를 휴식지로 낙동강 상류를 채식지로 하는 조류로서, 채식지와 휴식지가 분리된 충분한 공간이 형성되어야만 다양하고 많은 개체들이 월동에 필요한 충분한 기간을 가질 수 있으므로 경작지의 보존이 무엇보다 중요한 실정이다. 낙동강 하구와 인접해 있는 주변의 논과 밭은 오리류의 서식지로 이용되는 공간이므로 경작지에 대한 철저한 관리와 부산광역시 강서구청에서 시행하고 있는 생물다양성관리계약제도를 확대하여 이러한 농지가 지속적으로 보존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구태회(1994) 서낙동강의 조류. 한국조류학회지 1: 73-81
  2. 부산광역시(2002) 낙동강하구 생태계 모니터링 연구. 220쪽
  3. 부산광역시(2004) 낙동강 하구 생태계 모니터링. 253쪽
  4. 부산광역시(2006) 낙동강하구 생태계모니터링. 310쪽
  5. 부산광역시(2007a) 낙동강하구 생태계모니터링. 220쪽
  6. 부산광역시(2007b) 낙동강하구 일원 자연환경보전종합계획(비오톱지도 제작을 통한). 257쪽
  7. 禹漢貞. 金相旭. 元炳旿(1961) 野生鳥類 實態調査, 野生鳥獸實態調査報告. 1-19
  8. 元炳旿咸奎晃(1985) 洛東江河의 鳥類. 慶熙大學校 論文集 14:57-74
  9. 유승화, 김인규, 강태환, 조해진, 유재평, 이시완, 이한수(2008) 천수만에서 월동하는 조류군집과 먹이 자원과의 관계.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2(3): 301-308
  10. 이기섭(2000) 서해안에 도래하는 수금류의 실태와 개체수 변동.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1쪽
  11. 이우신, 구태회, 박진영(2000) 한국의 새. LG상록재단
  12. 이우신, 박찬열, 임신재, 허위행(2001) 금강 하구지역 조류군집의 특성 및 보호와 관리. 한국생태학회지 24(3): 181-189
  13. 李正一(1983) 洛東江河口 철새集團의 群集生態에 關한 硏究. 東國大學校 博士學位論文, 66쪽
  14. 홍순복(2003) 낙동강하구의 조류상. 한국조류학회지 10(1): 51-63
  15. 홍순복(2004a) 낙동강 하류 권역별 조류군집의 특성. 한국생태학회지 27(5): 269-281
  16. 홍순복(2004b) 낙동강하구의 지역별 조류의 특성. 한국조류학회지 11(2): 55-70
  17. 환경부(1999)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 환경부, 서울, 173 쪽
  18. 환경부(2000)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 환경부, 서울, 187 쪽
  19. 환경부(2001)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 환경부, 서울, 282 쪽
  20. 환경부(2002)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 환경부, 서울, 314 쪽
  21. 환경부(2003)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 환경부, 서울, 382 쪽
  22. 현대건설(2007) 태안 관광 레져 기업도시 조성 예정지 조류 분포 및 서식지 조사연구. 현대건설, 121쪽
  23. Bibby, C.J. and N.D. Burgess(1992) Bird Census Techniques. Acdemic Press. London. 257pp
  24. Czech, H.A and K.C. Parsons(2002) Agricultural Wetlands and Waterbirds : A Review. Waterbirds 25: 56-65 https://doi.org/10.1675/1524-4695(2002)025[0056:BEOWTI]2.0.CO;2
  25. Hong, S.B.(1997) Fauna of water birds and breeding behavior of Little Tern and Kentish Plover in the Nakdong Estuary, R. O. Korea. D. Thesis, Hokkaido Univ. Hokkaido. 73pp
  26. Howard, R. and A. Moore(1994) A Complete Checklist of the birds of the World, 2nd ed. Academic Press, London. 630pp
  27. Loesch, C.R. and R.M. Kaminski(1989) Winter body-weight patterns of female Mallards fed agricultural seeds. Journal of Wildlife Management 53(4): 1081-1087 https://doi.org/10.2307/3809614
  28. Nummi, P & Veli-Matti Vaananen(2001) High overlap in diets of sympatric dabbling ducks-an effect of food abundance? Ann. Zool. Fennici 38: 123-130
  29. Newton, I.(1998) Population Limitation in Birds. Academic Press, London, UK, 597pp
  30. Parsons, K.C., S.C. Brown, R.M. Erwin, and H.A. Czech(2002) Managing Wetlands for Waterbirds: Integrated Approaches. Waterbirds 25(Special Publication 2): 1-4 https://doi.org/10.1675/1524-4695(2002)025[0001:FPOBEA]2.0.CO;2
  31. Smith, L.M., R.L. Pederson and R.M. Kaminski(1989) Habitat management for migrating and wintering waterfowl in North America. Texas Tech University Press. Texas. 560pp
  32. van Sluis, J.W. and L. Lijklema(1983) Water Quality aspects of the Nakdong Estuary Barrage. Wat. Sci. Tech. Vol. 16: 243-252
  33. Won, P.O.(1986) Birds on the Nakdong Estuary. Bull. Inst. Ornith. Kyung Hee Univ., I: 1-19
  34. Won, P.O.(1988) The population of waterfowl and waders wintering or staging on the Naktong Estuary (3). Bull. Inst. Ornith. Kyung Hee Univ., II: 1-16
  35. Won, P.O.(1989) Birds on the Naktong Estuary (4). Theses Collection. Kyung Hee Univ., Seoul, Korea, 18: 223-242
  36. 齊藤 博(2000) 日本�の鳥 550 水邊の鳥. 文一總合出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