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getation Structure and Population Dynamics of Berchemia racemosa Habitats

청사조(Berchemia racemosa) 자생지의 식생구조 및 개체군 동태 분석

  • Beon, Mu-Sup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Young-Ha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변무섭 (전북대학교 조경학과(농업과학기술연구소)) ;
  • 김영하 (국립환경과학원)
  • Published : 2008.12.30

Abstrac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population dynamics of Berchemia racemosa habitats in the Weolmyung park in Gunsan city, and base on that to seek the ecological habitat conservation plan for the Berchemia racemosa. In results, the Berchemia racemosa habitats are located at $81{\sim}93$ meters above the sea level, in steep seaside slope of a mountain. The soil texture are silt loam mainly and soil pH were $4.1{\sim}5$. The vascular plants in the Berchemia racemosa habitats has been analyzed as 61 taxa; 33 families, 51 genera, 54 species, 6 varieties, and 1 forms. Berchemia racemosa as a Specific plant species by floral region was the class V. Berchemia racemosa habitats were classified into 7 vegetation communities of Quercus serrata community(A1), Alnus firm a community(A2), Platycarya strobilacea community(A3), Robinia pseudoacacia community(A4) and 3 Pinus densiflora communities(B1, B2, B3). The importance value of Berchemia racemosa were 30%(A1), 15%(A2), 27%(A3), 65%(A4), 18%(B1), 45%(B2) and 35%(B3) on shrubs layer and 12, 27, 20, 18, 11, 18, 21 % on herb layer. The constant companion species with Berchemia racemosa were Stephanandra incisa and Ligustrum obtusifolium. Total 103 populations appear in the 7 Berchemia racemosa habitats. Their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were clumped for the most part. The average height was 133cm, the root color diameter was 4.4cm and the ramification branch number was 9.4.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e continued monitoring and the active protection measures for the Berchemia racemosa habitats.

본 연구는 군산 월명공원내 청사조 자생지의 식생구조 및 청사조 개체군 동태를 파악하여 청사조 생태 및 자생지 보존계획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청사조 자생지에 대한 조사연구와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청사조 자생지의 입지로는 해발고 $81{\sim}93m$의 급경사지 해안사면으로 토성은 미사질양토였고, 토양pH는 $4.1{\sim}5$범위로 비교적 강산성을 띠었다. 조사구내 관속식물은 33과 51속 54종 6변종 1품종으로 총 61종이 확인되었는데, 이중 목본식물은 37종(60.7%), 초본식물은 24종(39.3%)이었다. 이중 청사조가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V 등급으로 평가되었다. 청사조는 7 군데에서 군락으로 출현하였는데 월명산에서는 졸참나무, 사방오리나무, 굴피나무, 아까시나무 군락의 하층부인 관목층에서 중요치가 각 30, 15, 27, 65%로, 지피층에서는 중요치가 각 12, 27, 20, 18%로 주로 우점하며 출현하였고, 장계산에서는 3군데의 소나무 군락 하층부인 관목층에서는 중요치가 각 18, 45, 35%로, 지피층에서는 중요치가 각 11, 18, 21%로 우점하면서 나타났다. 청사조와 더불어 항수반종으로서는 국수나무와 쥐똥나무였다. 청사조의 개체군에 대한 전수조사에서 총 103개체가 확인되었고, 개체군의 공간분포에 따른 출현 형태는 전형적인 집중분포 형태를 띠고 있었다. 청사조 개체들의 평균 수고는 133cm, 평균 근원경은 4.4cm, 평균 가지의 분지수는 9.4개로 나타났다. 청사조 자생지의 보존 및 관리방안으로는 현 자생지의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더불어 청사조의 꽃, 열매, 번식에 대한 기초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며, 자생군락지의 보호를 위해 휀스 등의 보호시설을 설치하고, 자생지내 경쟁수종의 제거 등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상준, 김홍은, 이창석(1991) 망개나무림의 분포, 구조 및 유지기작. 한국생태학회지 14(1): 25-38
  2. 고경식, 전의식(2005) 한국의 야생식물. 일진사, 서울, 998쪽
  3. 군산시(1997) 군산시 월명공원 조성 기본계획. 163쪽
  4. 김대은, 박재인, 윤양, 이석구, 현영일(1991) 아배양에 의한 망개나무의 증식법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 하계총회 학술발표회 24-25쪽
  5. 김무열(2004) 한국의 특산식물. 솔과학, 서울, 247-351
  6. 박수현, 신준환, 이유미, 임종환, 문정숙(2002) 우리나라 귀화식물의 분포. 임업연구원.국립수목원, 184쪽
  7. 산림청, 임업연구원(1996)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 -보존지침 및 대상 식물-. 140쪽
  8. 이근설(1981) 망개나무 열매 껍질에 함유된 Anthocyanin 색소에 관한 연구. 상명여자사범대학 9: 287-297
  9. 이상태, 정영재, 추갑철, 김수인(1993) 한국산 갈매나무과의 화분분류학적 연구. 한국식물분류학회지 23(3): 175-188
  10. 이유성(1983) 희귀식물의 정의, 범위, 평가 및 보존방안. 한국의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에 관한 워크숍, 3-8
  11. 이준혁, 윤충원, 홍성천(2005) 망개나무림의 군집구조와 개체군구조. 한국임학회지 94(4): 269-276
  12. 이창복(1979) 망개나무의 분포와 이의 보존을 위한 조사. 한국식물분류학회지 9(1,2): 1-6
  13. 이창복(2003) 원색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1824쪽
  14. 이천용(1997) 산림환경토양학. 보성문화사, 350쪽
  15. 전라북도농업기술원(1999) 분석의 기초와 이론. 186쪽
  16. 환경부(1999)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을 포함한 식물상-. 62-89
  17. 환경부(2005) 야생동식물보호법(제2조 관련)-멸종위기야생동.식물 I,II급-. 환경부
  18. Braun-Blanquet, J.(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einer Vegetationskunde. 3. Aufl., Springer, Wien, New York, 865pp
  19. Curtis, J. T. and R. P. Mcl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6 https://doi.org/10.2307/1931725
  20. Dierschke, H.(1994) Pflanzensoziologie, Ulmer, 683pp
  21. http://www.kma.go.kr
  22. Larcher, W.(1994) Okophysiologie der Pflanzen. Ulmer, Stuttgart, 394pp
  23. Londo, G.(1984) The decimal scale for releves of permanent quadrats. The Hague, Boston, Lancaster. -In Knapp, R.(Hrsg), Handbook of Vegetation Science 4: 45-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