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nalysi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smetic Color Contact Lenses

미용 칼라 콘택트렌즈의 물리화학적 특성 분석

Kim, Dae-Hyeon;Oh, Seung-Jin;Hwang, Jeong-Hee;Sung, Deuk-Yong;Jeon, In-Cheol;Choi, Han-Young;Mah, Ki-Choong
김대현;오승진;황정희;성덕용;전인철;최한영;마기중

  • Published : 2008.09.30

Abstract

Purpose : To obtain the information can be used in clinical practice of cosmetic color contact lenses, we have select a random color contact lens which circulated in a country and analyze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color contact lenses through a state of lens surface, the presence of dye and oxygen permeability of central and peripheral portions. Methods : We have taken a random sample with 0.00 diopter and tinted cosmetic contact lens which is tinted iris with clear peripheral annulus and clear center for test and measured the elution of dye with the standard KFDA and oxygen permeability with ISO-9913-1 and surface roughness of lens using the SEM. Results : 5 of 24 types cosmetic color contact lenses were not matched the standard in deoxidant of potassium permanganate from the elution experiment of dye. 6 type lenses in 24 types has the low oxygen permeability in the peripheral part. Only 3 type lenses satisfied the condition that did not induce corneal edema. From surface roughness experiment, manufactures have the different painting methods. The painting methods are printing, anterior surface in printing, posterior surface in printing, sandwich method and surface roughness has below several $\mu$m. Conclusions : To prevent the side effect with oxygen permeability, the improvement of manufacture methods and material is needed. When we prescribe and dispense the contact lens, we must to educate wearer for appropriate usage and care system of cosmetic color contact lens. The further studies were needed to show whether the elution and surface roughness of contact lens occur the side effect or not during wear the contact lens.

목 적 : 국내에서 유통되는 미용칼라 콘택트렌즈를 무작위로 수집하여 렌즈표면의 상태, 염료의 용출 여부 및 중심부와 주변부의 산소투과율을 측정하여 미용칼라 콘택트렌즈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평가하므로 임상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얻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 굴절력이 0.00D이며 중심부가 투명하고 주변부가 착색된 미용 칼라콘택트렌즈 24종을 무작위로 수집하여 식약청 기준에 의한 용출물시험과 ISO 9913-1에 의한 산소투과율 측정 및 주사전자현미경에 의한 표면 거칠기를 관찰하였다. 결 과 : 용출물시험에서 5종의 렌즈가 과망간산칼륨 환원성물질에 대한 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소투과율은 24종 가운데 6종은 중심부보다 주변부에서 낮았고, 중심부 산소투과율은 3종만이 낮에 각막부종을 유발시키지 않을 조건을 충족시켰고, 주변부의 평균 산소투과율은 모든 렌즈에서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다. 렌즈표면 상태를 관찰한 결과 제조회사별 착색방법이 서로 달랐다. 착색방법은 전사착색법, 전면착색법, 후면착색법 및 샌드위치착색법 등이 사용된 것으로 확인되었고, 표면 거칠기는 수 $\mu$m 이하로 판단되었다. 결 론 : 미용 칼라 콘택트렌즈를 착용할 때 낮은 산소투과율로 인한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렌즈 제조공법과 렌즈 재질의 개선, 임상에서 미용 칼라 콘택트렌즈를 처방하고 판매할 때 착용자에게 렌즈의 관리방법과 사용방법을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한 교육이 필요하며 이에 본 연구결과가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미용 칼라 콘택트렌즈를 착용할 때 용출물과 표면 거칠기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에 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