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Obesity and Blood Lipid Profiles on Hyperlipidemia in Adults Aged Over 40 Years

40세 이상 성인에서 비만지표가 혈중지질수준과 고지혈증 발생에 미치는 영향

Nam, Sang-Myung;Ha, Eun-Hee;Suh, Young-Ju;Park, Hye-Sook;Chang, Moon-Hee;Seo, Ju-Hee;Kim, Byung-Mi
남상명;하은희;서영주;박혜숙;장문희;서주희;김병미

  • Published : 2008.03.30

Abstract

Backgrou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ces of obesity and risk of hyperlipidemia, and also to recommend healthy Body mass index (BMI) and percent body fat (BF %), that would be appropriate for Korean adults.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carried out in Ewha hospital since June 2005 until December 2005. Subjects (n = 1121) were recruited from the participants of the biannual health examination (provided for those over 40 years old) who consent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Results: When using BMI as a criterion for obesity, total and LDL-cholesterol levels of hyperlipidemic and normal body weight group were much higher than hyperlipidemic obesity group. However, when applying BF (%) as a criterion for obesity, total and LDL-cholesterol levels of hyperlipidemic obesity group were not different from those of normal group. But serum lipid levels in the hyperlipidemic obesity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hyperlipidemic and normal body weight group. Adjusted odds ratio of HDL-cholesterol to total cholesterol of hyperlipidemic obesity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hyperlipidemic and normal body weight group by using BF (%). The atherosclerotic index (AI) and the ratio of HDL to total cholesterol of the hyperlipidemic obesity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hyperlipidemic and normal body weight group.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the criterion of BMI, according to the WHO standard for obesity, is not valid for Koreans, instead BF (%) is valid and is an adequate predictor for obesity rather than BMI. We conclude that obesity is one of the factors that increase the risk for hyperlipidemia.

연구배경: 본 연구는 고지혈증과 비만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비만 지표 중 체질량지수(BMI)와 체지방량(%)을 사용한 결과를 비교하여 한국인에게 적합한 비만 지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5년 6월부터 12월까지 서울지역 E종합병원에서 건강검진을 수진한 40세 이상의 남녀 중 연구에 동의한 1121명(남자 420명, 여자 701명)을 연구 대상자로 하였다. 결과: 체질량지수를 비만기준으로 한 경우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은 비만을 동반한 군보다 비만을 동반하지 않은 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체지방량(%)을 비만기준으로 한 경우, 비만을 동반한 고지혈증군에서 복부비만과 상체비만이 주로 나타났으며 체질량지수를 기준으로 한 비만 고지혈증군에 비해 2배 가까이 높게 분류되었다. 총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은 고지혈증군 간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동맥경화지수(AI), HDL-콜레스테롤에 대한 총콜레스테롤의 비율은 비만을 동반하지 않은 고지혈증군에 비해 비만을 동반한 고지혈증 군에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보정교차비는 두 기준 모두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이 증가할수록 고지혈증의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동맥경화지수(AI), HDL-콜레스테롤에 대한 총콜레스테롤의 비율은 비만을 동반하지 않은 고지혈증군에 비해 비만을 동반한 고지혈증군에서 매우 높게 나타나 복부비만이 고지혈증의 위험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 한국인의 고지혈증을 진단하는 비만지표로는 체지방량(%)을 이용하는 것이 비만특성을 잘 반영하며, 비만은 고지혈증의 위험수준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