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Maternal Beliefs about Play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on Children's Playfulness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You, Mi;Yoo, Mee-Sook
유미;유미숙

  • Published : 2008120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maternal beliefs about play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affect children's playfulness. Ultimately, this study was designed to discover how mothers can influence their children's playfulness and thus provides foundational information on parents counseling and educat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78 mothers whose children were aged between three to six. Fogel(2003)'s self-report questionnaires. The Parent Play Beliefs Scale(PPBS), was used to measure maternal beliefs about play. Halberstadt(1996)'s Self -Expressiveness in the Family Questionnaire(SEFQ) was used to measure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Barnett (1990)'s Children's Playfulness. Scale(CPS), modified by Mi Sook Kim(2001), was used to measure children's playfulness. SAS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o analyse the obtained dat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bivariate regress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Firstly, maternal positive beliefs about play and positive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influenced children's playfulness such as physical spontaneity, social spontaneity, cognitive spontaneity, enjoyment expression, and humorousness. Secondly, focusing on parent centered beliefs about play influenced the children's humorousness. Thirdly, maternal positive beliefs among children's playfulness. Positive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was more influential on social spontaneity, cognitive spontaneity and humorousness among children's playfulness.

본 연구는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유아의 놀이성에 영향을 주는 어머니의 변인을 밝혀 부모 상담 및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만 3~6세 어머니 37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놀이신념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Fogel(2003)이 제작한 척도를 아동전문가의 번안 및 수정과정을 거쳐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을 측정하기 위해 Halberstadt(1986)가 개발한 척도로 서혜린(2006)이 번안 및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고, 유아의 놀이성 척도는 Barnett(1990; 1991)의 척도로 김미숙(2001)이 부모용으로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문제의 결과를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긍정적 놀이신념과 긍정적 정서표현성은 유아의 하위 놀이성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놀이신념 중 부모중심 놀이신념은 유아의 놀이성 중 유머감각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놀이성 하위변인 중 신체적 자발성과 즐거움의 표현에는 어머니의 긍정적 놀이신념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더 컸으며, 사회적 자발성, 인지적 자발성 그리고 유머감각에 대해서는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성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