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nges of Types of Nutritional Risk and Nutritional Intake according to Depression and Self-esteem among the Elderly in Chunnam Province

전남지역 노인에서 우울 및 자아존중감의 인식정도에 따른 영양위험도 및 영양소 섭취량의 변화 양상

  • Kim, Bok-Hee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Chosun University) ;
  • Jung, Eu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Chosun University)
  • 김복희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정은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2008.10.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depression and self-esteem, and nutritional status, such as nutritional risk index and nutrient intake, among the elderly in Chunnam Province. The participants were 119 elderly individuals over the age of 65 years who visited the Senior Welfare Center in Chunnam province between January 29 and February 2, 2007.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at included,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General Self Efficacy Scale (GSES), Nutritional Screening Initiative Checklist (NSI checklist), questions pertain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and an estimation of nutrient intake using the 24-hour recall method.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program. Analysis of the participant's CES-D scores revealed that 43.7% of the subjects were normal and 56.3% had more than mild depression. The mean GSES score was 45.9 for the entire group of subjects (51.9 for men, 43.6 for women). The mean nutritional risk index value was 4.30 (5.03 for men, 4.01 for women). Analysis of the participant's scores on the NSI checklist revealed that 69.7% of the subjects were normal and 30.3% exhibited a moderate nutritional risk. The CES-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NSI checklist (p < 0.05)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nutrient intake. However, the GSE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NSI checklist (p < 0.05), but positively correlated with nutrient intake (P < 0.01 for protein, calcium, phosphorus, zinc etc.).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manage psychological factors, including depression and self-esteem, in the elderly in order to decrease their nutritional risk and increase their nutrient intake.

본 연구는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119명을 대상으로 우울정도와 자아존중감의 두 가지 심리적 요인이 영양위험도와 영양소 섭취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했으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CES-D Scale)을 적용하여 우울정도를 판정한 결과, 정상은 43.7%, 경도 우울 21%, 중등 우울 21%, 중증 우울 14.3%로 각각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우울정도를 비교하면 경도 이상 우울에 해당되는 비율이 남자노인에서 47.1%, 여자노인에서 60.0%로 나타났다. 2. 자아존중감(General Self Efficacy Scale;GSES)점수 합의 평균은 전체에서 45.9점, 남자노인에서 51.9점, 여자노인에서 43.6점으로 남자노인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 < 0.05). 3. NSI Checklist를 적용하여 영양위험도를 평가한 결과 전체 대상자 중 정상은 69.7%, 중간위험 군은 30.3%였으며, 성별에 따라 비교한 결과 남자노인에서는 85.3% vs. 14.7%, 여자노인에서는 63.5% vs. 36.5%로 나타났다(p < 0.01). 4. 영양소 섭취수준을 평가한 결과, 남녀 모두 에너지는 섭취기준의 76%이었으나, 칼슘, 칼륨, 아연, 비타민A, 리보플라빈, 나이아신의 섭취량은 영양섭취기준의 60%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5. 영양위험도는 우울정도와는 양의 상관관계를(r = 0.385, p < 0.01), 영양소 섭취량은 자아존중감과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단백질, 칼슘, 인, 아연, 철, 나트륨, 터아민, 리보플라빈, 나이아신, 비타민B6, p < 0.05). 즉, 우울정도가 높을수록 영양위험도가 증가하는 반면에, 자아존중 감에 대한 인식도가 높을수록 영양소 섭취량이 높게 나타났다. 6. CBS-D Scale 합의 4분위 구간별 영양위험도 점수는 증가하였으며(Q1 = 2.90, Q2 = 4.31, Q3 = 3.52, Q4 = 6.52, p < 0.001), 자아존중 감 점수 합의 4분위에 따라 에너지를 포함한 대부분의 영양소 섭취량이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특히 단백질(Q1 = 71.4, Q2 = 74.7, Q3 = 80.3, Q4 = 92.9, p < 0.05), 인(p < 0.05), 아연(p < 0.01)의 섭취량은 유의적인 수준에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노인의 영양위험도와 영양소 섭취량은 심리적 요인들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전반적으로 영양상태가 좋지 못한 노인들에서 우울과 같은 심리적, 정신적 문제들을 과소평가하거나 적절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한 경우에는 영양문제를 가속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 이에 대한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문정(1998). 보건소 내원 노인들의 영양상태와 질병별 영양프로그램 실시효과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김성윤(2006). 노인 우울증 및 수면장애. 제4회 대한노인의 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33-39
  3. 김연경, 이혜옥, 장린, 조여원(2002). 65세 이상 노인에서 식습관, 영양소 섭취 및 질병양상에 관한 연구(I).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7(4), 516-526
  4. 김정현, 이민준, 문수재, 신승철, 김만권(1993). 한국인의 우울상태에 따른 식행동, 영양섭취상태 및 생활습성에 관한 생태학적 분석. 한국영양학회지, 26(9), 1129-1137
  5. 김종임(1994). 자조집단 활용과 자기효능성 증진법을 이용한 수중운동 프로그램이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통증, 생리적 지수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류마티스건강학회지, 1(1), 1-30
  6. 김춘길(2004). 국내 노인 간호연구 분석 -최근 5년간 노인간호학회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노인간호학회지, 6(1), 81-90
  7. 김춘길(2007). 재가노인의 가족지지, 건강지각, 영양상태와 우울과의 관계. 노인간호학회지, 9(1), 14-21
  8. 김현숙, 유수정, 한규량(2002). 지역사회 여성노인의 인지기능, 신체적 건강,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지지와 우울간의 관계. 노인간호학회지, 4(2), 163-175
  9. 박순옥, 한성숙, 고양숙, 김연중, 이현숙, 이재훈 외(1992). 노인에 있어서 영양섭취실태와 인지능력과의 관계에 대한 조사연구. 한국식문화학회지, 7(2), 149-155
  10. 박진경, 손숙미(2003). 독거 여자 노인의 식행동, 우울정도와 영양소 섭취량 실태에 관한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8(5), 716-725
  11. 보건복지부(2006). 국민건강영양조사 제3기(2005) 영양조사I. 240-241
  12. 보건복지부(2007). 국민건강영양조사 제3기(2005) 심층분석 영양부문. 260-269
  13. 손숙미, 박진경(2005). 독거 여자노인의 식품공급프로그램 실시 후 음식섭취빈도, 식태도 및 영양위험정도 변화.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11(3), 286-298
  14. 신승철, 김만권, 윤관수, 김진학, 이명선, 문수재 외(1991). 한국에서의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의 사용, 표준화 및 요인구조에 대한 횡문화적 검토. 신경정신의학회지, 30, 752-767
  15. 원정문, 강영곤, 배철영, 이호택, 이석기, 이영진(1998). 노인들의 우울성향과 관련 요인. 가정의학회지, 19(1), 77-84
  16. 유인영, 임민경, 유원섭(2002). 노인의 우울과 자가건강수준, 사회적 지지정도에 관한 연구. 노인간호학회지, 4(2), 153-162
  17. 윤진숙, 이정현(2002). NSI Checklist에 의한 우리나라 일부 노년기 여성의 건강위험도와 영양소 섭취량 및 아연 영양상태와의 관련성.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7(4), 539-547
  18. 윤혜정(2004). 노인의 식행동 및 영양상태 평가와 영양교육 및 급식이 영양불량위험군 노인의 영양개선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정영미, 김주희(2004). 동거유형에 따른 노인의 인지기능, 영양상태, 우울의 비교, 대한간호학회지, 34(3), 495-503
  20. 조맹제, 김계희(1993). 주요 우울증환자 예비평가에서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의 진단적 타당성 연구. 신경정신의학회지, 32, 381-399
  21. 최윤정, 박유신, 김찬, 장유경(2004). 서울 및 경기지역 노인의 건강자가평가에 따른 기능적 건강 및 영양위험 평가. 한국영양학회지, 37(3). 223-235
  22. 통계청, KOSIS 국가통계포털 http://www.kosis.kr
  23. 한경희, 박동연, 김기남(1998). 충북지역 노인들의 약물복용 및 영양상태.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3(2), 228-244
  24. 한국영양학회(2005). 한국인영양섭취기준. 서울: 도서출판 국진기획
  25. Beekman, A. T., Deeg, D. J., Van Limbeek, J., Braam, A. W., & De Vries, M. Z.(1997). Criterion validity of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CES-D): results from a community-based sample of older subjects in the Netherlands. Psychological Medicine, 27(1), 231-235 https://doi.org/10.1017/S0033291796003510
  26. Minardi, H. A., & Blanchard, M.(2004). Older people with depression: pilot stud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6(1), 23-32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3.02962.x
  27. Posner, B. M., Jette, A. M., Smith, K. W., & Miller, D. R.(1993). Nutrition and Health risk in the elderly: The Nutrition Screening Initiative.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83(7), 972-978 https://doi.org/10.2105/AJPH.83.7.972
  28. Sawyer-Radloff, L.(199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 Psychol Meas, 1, 385-401 https://doi.org/10.1177/014662167700100306
  29. Sheerer, M., & Maddux, J. E.(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 663-671 https://doi.org/10.2466/pr0.1982.51.2.663
  30. White, J. V., Ham, R. J., Lipschitz, D. A., Dwyer, J. T., & Wellman, N. S.(1991). Consensus of the Nutrition Screening Initiative: Risk factors and indicators of poor nutritional status in old Americans. J. Am. Diet Ass, 91(7), 783-787
  31. Wilson, I. B., & Cleary, P. D.(1995). Linking clinical variables wit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 conceptual model of patient outcomes. JAMA, (1), 59-65 https://doi.org/10.1001/jama.273.1.59
  32. Wouts, L., Oude Voshaar, R. C., Bremmer, M. A., Buitelaar, J. K., Penninx, B. W., & Beekman, A. T.(2008). Cardiac disease, depressive symptoms, and incident stroke in an elderly population. Arch Gen Psychiatry. 65(5), 596-602 https://doi.org/10.1001/archpsyc.65.5.5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