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luence of Parenting Stress, Communication Strategy and Socio-demographic Variables on Family Strengths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의사소통 지향성과 사회인구학적 변인이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 Park, Bok-Mae (Department of Child & Family Studie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Moon, Hyuk-Jun (Department of Child & Family Studie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Published : 2008.12.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how family strengths are affected by parenting stress,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communication strategy, with a specific focus on mothers with young children. In total, 418 mothers of 4-5 years old children were included in this study. Higher education achievement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higher communication strategy and better family strengths. However educational background had no effect on degree of parenting stress. Lower household income was related to higher parenting stress while higher income resulted in stronger family strengths. However family income showed no correlation with communication strategy. Lower parenting stress and higher communication strategy contributed to better family strength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f family strengths was parenting stress.

Keywords

References

  1. 강희경 (2005). 가족의 건강성과 학령기 아동의 자아탄력성.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3), 93-102
  2. 강희경, 조복희 (1999). 3세 이하 자녀를 둔 전문 사무직 취업 모의 양육스트레스: 어머니 역할관과 지원체계를 중심 으로. 아동학회지, 20(2), 41-55
  3. 권대회 (2003). 청소년기 자녀가 지각한 가족의 건강성과 자아존중감에 대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기현(2000). 부부의 양육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관련 변인 탐색. 경희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5. 김남희(1999). 어머니의 언어통제 유형과 유아의 자율성과의 관계. 성균관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동진(2002).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유아 의 사회성 발달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7. 검리진, 윤종희(2000). 직장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만 6세 이하 자 녀를 둔 전문직, 사무직 및 생산직 여성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8(12), 47-58
  8. 김미영 (2000). 의사소통 훈련이 중학생의 인간관계에 미치는 효과.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김민정 (2000). 아버지 통제유형에 따른 유아의 자아개념 및 공격성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0. 김여가(1997). 부모의 언어통제 유형과 아통의 공격성 및 자 아존중감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1. 김영주(1999).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김정선 (2003).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 의 관계.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김진희 (1989). 부모-청소년 자녀간 의사소통과 가족 응집성 및 적응성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김현숙(2000).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언어통제 유형이 유아 의 감성지수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5. 나수진 (1996). 어머니의 언어통제 유형과 유아의 대인 문제 해결 사고와의 관계.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6. 류진영 (2004). 아동의 부모 언어통제유형 지각과 자아존중감 및 공격성과의 관계. 충남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문혁준(2004). 취업모와 비쥐업모의 양육스트레스. 대한가정학회지, 42(11), 109-122
  18. 문혁준(2005).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및 양육 효능감과 양육 행동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3(8), 25-35
  19. 민성예 (2000). 어머니-자녀 상호작용과 유아의 인지, 언어발달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박성연, 전춘애, 한세영 (1996). 아동과 어머니의 기질 및 어머 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따른 양육 행동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3(4), 203-215
  21. 박성옥(1997). 유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한국생활과학회지, 6(2), 37-45
  22. 박영아(2005). 영유아기 자녀를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행을 미치는 변인. 영유아교육연구, 8, 97-113.
  23. 배정미 (2006).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통제유형과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백영숙 (2007). 어머니의 자녀양육스트레스의 양육죄책감이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서정회 (1998). 어린이의 시청행태에 미치는 어머니의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송경희 (2004) 중학생이 지각하는 가족의 건강성과 가족의식 에 관한 연구 -제주도를 중심으로-.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신숙재 (19원). 어머니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부모효 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28. 신숙재, 정문자 (1998).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부모효능감이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19(1), 27-42
  29. 안선희, 김선영 (2004) 가족의 건강성과 양육효능감 및 유아의 사회적 행동파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2(12), 219-230
  30. 어은주(1996). 한국 도시 가족의 건강성 및 관련 변인 연구. 경희대학교박사학위 청구논문.
  31. 어은주, 유영주(1995) "가족의 건강도" 측정을 위한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3 (1), 145-156
  32. 엄주경 (1998). 어머니의 언어통제 유형과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3. 유경애 (2000). TV프로그램에 대한 유아의 현실감지각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34. 유우영, 최진아, 이숙 (1998).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6(1), 51-61
  35. 윤세은(2000). 청소년기 자녀가 지각한 가족의 건강성과 자아 정체감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6. 윤연정, 이미숙 (2007). 가족건강성이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2), 105-122
  37. 이경숙, 염현정, 신윤호(2000). 한국형 부모양육스트레스 척도(Parenting Stress Index)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소아. 청소년정신의학, 11(1), 70-78
  38. 이미경 (2007)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과 양육태도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경영행정 .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9. 이미자, 문혁준(2008). 교사-어머니의 의사소통과 어머니의 유아교육기관 만족도 및 양육스트레스. 아동학회지, 29(1), 1-14
  40. 이숙영 (2000). 어머니의 언어통제 유형이 유아의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1. 이애리나 (1989). 어머니의 언어통제 유형과 유아의 사회적 문제해결 전략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42. 이영옥(2003). 어머니의 언어통제 유형과 어머니가 지각한 양육태도와의 관계. 건국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3. 임미연(2001).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언어상호작용 유형과 아동의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4. 임미영 (2003)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언어 통제유형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 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5. 임은나(2006). 유아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효과 중앙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46. 임정이 (2005). 가족건강성과 학교적응연구. 서울여자대학교 기독교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7. 엄정아, 이인수(2006). 청소년기 가족건강성과 학교적응연구. 아동교육, 15(2), 37 -62
  48. 임화성 (2006). 부보의 언어상호작용유행과 유-아의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우석대학교교육대학원석사학위청구논문.
  49. 전상미(2006).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지원 요구도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50. 전춘애, 박성연 (1996) 어머니의 자녀양육스트레스와 관련된 심리사회적 변인. 한국 가정관리학회지, 37(3), 95-105
  51. 전희선 (2004).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통제 유형과 아동 의 자이존중감 및 내외 통제성과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52. 정문자, 이미리 (2000) 취업주부의 직업 및 기족스트레스에 대한 인구학적 변인과 심리적 변인의 상대적 영향력분석. 대한가정학회지, 38(11), 115-126
  53. 차윤정 (2002). 母의 양육태도 및 얀어통제유형과 자녀의 내 . 외 통제성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54. 최정혜 (2004). 주말부부의 가족스트레스, 대처전략 및 가족 건강성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2), 69-83
  55. 최정혜 (2005) 주말부부의 결혼만족도와 가족건강성: 주말부부 남편과 아내의 비교. 대한가정학회지, 43(3), 11-26
  56. 최정혜 (2006). 맞벌이부부의 가족스트레스와 가족건강성 대한가정학회지, 44(6), 47-58
  57. 한영숙(2006). 아동이 지각한 가족의 건강성 및 부모의 양육 태도와 행동문제간의 관계 연구. 한남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58. 허영림, 윤혜진(2002).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만 4세-6세 아동의 특성과 어머니의 특성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6(4), 85-101
  59. 홍성례, 유영주(2000). 남편이 지각한 가족의 건강성과 결혼 만족도와의 관계. 생활과학논집, 4 (1), 1-17
  60. 홍성애 (1998). 가정환경과 가족체계 상호작용 유형이 청년기 의 자아정체감형성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61. 황인향(1993). 취업주부의 가족자원과 자녀양육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2. Abidin, R. R.(1990). Parenting stress index(PSI), Charlottes'rille, VA: Pediatric Psychology Press
  63. Austin, E. W.(1993). The Importance of Perspective in parent-child interpretations of family communication pattern, journalism Quarterly, 70(3), 558-567 https://doi.org/10.1177/107769909307000308
  64. Belsky, J.(1984).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A process model. Child Development, 55, 83-96 https://doi.org/10.2307/1129836
  65. Belsky, J., & Steinberg, L. D.(1978). The effects of day care: A critical review. Child Development, 50, 794-803 https://doi.org/10.2307/1128946
  66. Bernstein, B.(1961). Social class and linguisic development: A theory of Social learning, In A. H. Halsey, J. Floud & G, A, Anderson(Eds.),Education, economy, and society, New York: Free Press
  67. Bernstein, B. A.(1973). Class, codes and control(Vol. 2): Applied studies towards a sociology of language (pp.24-47).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68. Crinic, K. A., & Greenberg, M. T.(1990). Minor parenting stress with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61(5), 1628-1637 https://doi.org/10.2307/1130770
  69. Crnic, K. L., & Booth, C. L.(1991). Mothers' and fathers' perceptions of daily hassles of parenting across early childhood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1(53), 1042-1050
  70. Davis, M., & Emory, E.(1995). Sex differences in neonatal stress reactivity. Child Development, 66, 14-27 https://doi.org/10.2307/1131187
  71. Gordon, T.(2002). 부모역할 훈련. 이훈구(역). 서울: 양철북. (1970년 원저발간)
  72. Greenberger, E., & O'Neil, R.(1993). Spouse, parent, worker: Role commitments and role related experiences in the construction of adults' well-being. Developmental Psychology, 27(2), 181-197
  73. Gunnar, M. R., Porter, F. L., Wolf, C, M., & Rigatuso, J.(1995). Neonatal stress reactivity: Predictions to later emotional temperament. Child Development, 66(1), 1-13 https://doi.org/10.2307/1131186
  74. Hess, R. D., & Shimpman, V. C.(1965). Early experience and the socialization of cognization modes in children. Child Development, 34, 869-8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