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a Traffic Accident Prediction Model for Urban Signalized Intersections

도시부 신호교차로 안전성 향상을 위한 사고예측모형 개발

  • 박준태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 이수범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 김장욱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 이동민 (한국교통연구원 육상교통연구본부)
  • Published : 2008.08.31

Abstract

It is commonly estimated that there is a much higher potential for accidents at a crossroads than along a single road due to its plethora of conflicting points. According to the 2006 figures by the National Police Agency,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s at crossroads is greatly increasing compared to that along single roads. Among others, crossroads installed with traffic signals have more varied influential factors for traffic accidents and leave much more room for improvement than ones without traffic signals; thus, it is expected that a noticeable effect could be achieved in safety if proper counter-measures against the hazards at a crossroads were taken together with an estimate of causes for accidents This research managed to develop models for accident forecasts and accident intensity by applying data on accident history and site inspection of crossroads, targeting four selected downtown crossroads installed with traffic signals. The research was done by roughly dividing the process into four stages: first, analyze the accident model examined before; second, select variables affecting traffic accidents; third, develop a model for traffic accident forecasting by using a statistics-based methodology; and fourth, carry out the verification process of the models.

교차로는 단일로에 비해 많은 상충점을 가지고 있어 사고의 잠재성이 더욱 높다고 볼 수 있다. 2006년 경찰청 자료에 의하면 교차로 부근의 교통사고가 단일로 교통사고에 비해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신호교차로의 경우는 비신호교차로에 비해 교통사고 영향요인이 다양하고 개선의 여지가 많아 사고가 일어나는 원인을 예측하고, 교차로 위험요소에 따른 적절한 대비책을 사전에 마련할 수 있다면 안전측면에서 큰 효과를 얻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부 4지 신호교차로를 대상으로 과거 사고이력자료와 교차로 현장 조사를 활용하여 사고예측 모형 및 사고심각도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4단계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첫째, 기존 연구된 사고모형을 분석하였으며 둘째,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선정하였고 셋째, 통계적 방법론을 활용한 사고예측모형을 개발, 넷째, 모형의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신호교차로 교통사고 모형은 계획 및 운영단계에서 신호교차로의 안전성을 측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신호교차로의 교통사고를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원철 외 (2003), "교차로 안전진단을 위한 교통사고건수예측모형화 수법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논문집-D, 대한토목학회, pp.427-435
  2. 김효종 (1997), "교통사고 유형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전남대 대학원
  3. 남궁문 외 (1999), "수량화이론에 의한 요인분석과 교통사고예측모형에 관한 기초연구", 환경건설논문집 제8집, pp.89-98
  4. 도철웅 외 (1999), "신호교차로 교통상충 측정 방법의 개발과 평가",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제19권 제III-3, 대한토목학회, pp.9-15
  5. 박정순.김태영.유두선 (2007), "도로환경요인과 교통사고의 상관분석 및 사고추정모형 개발 (청주시 4지 신호교차로를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지, 제25권 제2호, 대한교통학회, pp.63-72
  6. 이수범.강인숙 (1999), "상충기법을 이용한 교차로 안전진단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17권 제4호, 대한교통학회, pp.9-17
  7. 이승환.이성호.박주남 (2003), "신호교차로 황색현시에서의 운전자 형태 및 딜레마 구간 연구방안", 대한교통학회지, 제21권 제4호, 대한교통학회, pp.7-16
  8. 이주현 (2002), "기하구조를 고려한 교차로 교통사고예측모형", 서남대 대학원
  9. 임윤택 (1993), "도로특성이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분석", 연세대 대학원
  10. 하오근 (2005), "국도변 신호교차로 안전성 평가를 위한 사고예측모형 개발과 심각도 분석", 한양대 대학원
  11. Daniel, J., Tsai, C., and Chien, S. (2002), Factors Influencing Truck Crashes on Roadways with Intersections, Paper submitted to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Washington, D.C., Retting, R., Williams, A. F., Prusser, D. F., and Weinstein, H. B. (1995), Classifying Urban Crashes for Countermeasure Development,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27(3), pp.283-294 https://doi.org/10.1016/0001-4575(94)00068-W
  12. Maher, M. J. and Summersgill, I. (1996), A comprehensive Methodology for the Fitting of Predictive Accident Models,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28(3), pp.281-296 https://doi.org/10.1016/0001-4575(95)00059-3
  13. Miaou, S. P., Lu, A., Lum, H. S. (1996), Pitfalls of Using R2 to Evaluate Goodness of Fit of Accident Prediction Model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542, pp.6-13, Washington, D.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