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lculation Methods of Parking Demand for Housing Using Parking Basic Units Analysis

주차원단위 분석을 통한 주택의 주차수요산정기법 연구

  • 이영우 (대구대학교 토목공학과)
  • Published : 2008.08.31

Abstract

Rapid urbanization causes a variety of transportation problems, including parking. Then transportation engineers would get involved in trying to solve parking problem. Estimation of parking demand is essential for finding a solution to the parking problem. Estimation of parking demand generally uses the "parking basic unit"; however, the parking basic unit does not totally determine parking demand. This study analyzes the problems with using the parking basic unit with a field investig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a new parking demand calculation model. Parking basic units estimated from the mean parking basic unit method are higher than those resulting from a regression analysis. However, parking basic units resulting from these methods fail to satisfy parking demand in many buildings. Analysis results for a cumulative distribution of parking basic units are reasonable if they satisfy 88% of parking demand in buildings. However, parking basic units that satisfy 88% of parking demand in buildings is a problem in some areas with an oversupply of parking lots. Ultimately, this study establishes a parking demand calculation model.

급격한 도시화는 다양한 교통문제를 유발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주차문제는 시급히 해결해야할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주차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주차수요 산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그러나 주차수요 산정을 위한 기준자료로 활용되고 있는 주차원단위는 현실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 주차원단위의 새로운 기준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장조사를 통해 기존 주차원단위 산정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고 많은 시설물들이 주차수요를 충분히 반영할 수 있는 주차원단위에 대해 검토하고 새로운 주차수요 산정 모형을 구축하였다. 주차원단위의 평균에 의한 방법과 회귀분석에 의해 산정하는 기존 두 가지 방법으로 주차원단위를 산정하여 적용하는 경우 조사대상 시설물 중 많은 시설물의 주차수요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주택가의 주차문제 발생의 원인이 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어느 정도의 시설물이 주차수요를 만족하도록 주차원단위를 적용하는 것이 효율적인지를 주차원단위 누적분포 분석을 통해 검토한 결과 88%의 시설물이 주차수요를 만족하도록 주차원단위를 적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시설물 중 88%가 주차수요를 만족하도록 주차원단위를 적용한 결과 연면적이 커질수록 주차수요가 과대 추정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나타나 본 연구에서는 최종적으로 새로운 비선형 주차수요 산정 모형을 구축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진구(1990), "누적주차수요추정방법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2. 교통개발연구원(1992), "동남아 주요도시의 주차현황 분석", 교통개발연구원
  3. 김수철.김황배.성락문(1993), "대도시 주차수요예측 및 적정공급수준 연구", 교통개발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9.21
  4. 김황배.안우영(2007), "통계분석기법을 적용한 대형할인점 주차발생원단위 산정기법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7권 제4D호, pp.397-404
  5. 안정근(1999), "공동주택 주차공급 및 관리방안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17권 제2호, 대한교통학회, pp.41-53
  6. 오윤표.장무렬(2001), "대량 교통유발시설의 적정주차 추정모형구축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19권 제3호, 대한교통학회, pp.61-73
  7. 오윤표.김희생(1991), "부산시 도심지역의 주차행동결정 수량화 모형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9권 제1호, 대한교통학회, pp.29-46
  8. 오재학.권영인.박상우.안지윤.최원석(2006), "주차원단위 수요분석 등 연구", 교통연구원
  9. 울산광역시(2006), "2006년 주차장실태조사결과", 울산광역시
  10. 이영우(2008), "용도지역별 주차특성 분석", 한국산업응용학회논문집, 제11권 제3호
  11. 임승달(1986), "우리나라 대도시 주차특성과 정비방안", 대한교통학회지, 제4권 제2호, 대한교통학회, pp.15-35
  12. 황기연(1997), "거주자 우선주차제의 시행전략", 대한교통학회지, 제15권 제2호, 대한교통학회, pp.7-23
  13. Ove Arup & Partners(1995), "Parking Demand Study", Hong K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