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Training of Invention·Patent Personnel in Specialized High Schools

발명·특허 분야 인력 양성에 대한 교사 인식 - 발명·특허 특성화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

  • 이병욱 (충남대학교 공업교육학부) ;
  • 이창훈 (충남대학교 공업교육학부)
  • Received : 2008.01.30
  • Accepted : 2008.03.12
  • Published : 2008.03.31

Abstract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understanding by teachers at KIPO-funded high schools of the specialized training of invention patent personnel. The subjects were 4 high schools and 126 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understand that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to provide a specialized training for students so that they can more effectively adapt to the changes in their lives. They also consider basic job skills training, moral education and job readiness training as equally important. Second, they recognize the necessity for a specialized training of invention patent personnel. Third, they think that redundant teachers arising from the reform of the curriculum for specialized training should be provided with minor training. Fourth, they think that the reform of the curriculum for specialized training should consider the following aspects: the development of a curriculum for invention patent-specialized high schools, the strengthening of administrative financial supports, the creation of a consensus among those involved for the success of the specialized training,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and materials, and the consideration of the future prospects and current conditions of the invention patent industry. Fifth, they think that the successful operation of specialized high schools requires the consideration of the following factors: users' understanding, conformance, selection & concentration and uniqueness.

이 연구에서는 발명 특허 분야 인력 양성을 위한 특성화에 대하여 해당 학교 소속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 대상은 '07년 특허청의 특성화고 지원 대상학교로 선정된 4개 학교 교사 241명이었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분석 대상은 126부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산업사회 변화에 따라 학생에게 필요한 교육에 대하여 전문 분야의 특성화 교육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그 밖에 직업기초능력교육, 인성교육, 취업준비교육도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둘째, 교사들은 소속 학교가 발명 특허 분야 인력양성을 위해 특성화하는 것에 대해 대체로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셋째, 특성화를 위한 교육과정 개편 과정에서 과원 교사가 발생할 경우에 대부분의 교사들은 부전공 연수를 실시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다. 넷째, 교사들은 특성화를 위한 교육과정 개편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발명 특허 특성화고 교육과정 개발, 행 재정적 지원 강화, 구성원들의 특성화 성공을 위한 공감대 형성, 교과서 및 교재 개발, 발명 특허 분야 산업 전망 및 여건 등이 중요한 사항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다섯째, 교사들은 특성화 고교 운영의 성공을 위해 고려할 사항으로 수요자 인식 요인(특성화 분야의 수요자(산업체, 학생)의 요구 고려), 적합성 요인(특성화 분야와 학교 내부의 인적 물적 자원과의 적합성), 선택과 집중 요인(학교의 강점을 선택하여 역량을 집중), 독특성 요인(타 학교와 다른 독특한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개발 운영)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개혁위원회(1996). 세계화.정보화 시대를 주도하는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방안(III).
  2. 교육부(1999). 교육발전5개년계획시안.
  3. 교육인적자원부(2001). 실업교육육성방안.
  4. 교육인적자원부.한국교육개발원(각 연도). 교육통계연보.
  5. 대통령자문교육혁신위원회(2005). 직업교육체제혁신방안. 국정보고회의자료.
  6. 동아일보(2006). 2월 4일.
  7. 박도순.이재강.강무섭.이병욱(2004).21세기 지식기반사회를 대비한 직업교육체제혁신방안연구.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8. 유네스코.한국직업능력개발원(1999). 유네스코 제2차 세계직업기술교육회의 결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9. 이병욱(2005). "직업교육체제 혁신방안 및 교육과정 개정 논의와 연계한 실업계 고교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일고(一考)". 직업교육연구. 24(2). 한국직업교육학회.
  10. 이정표(2000).평생 직업교육훈련 종합 대책(I).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1. 이정표.고혜원(2001).평생 직업교육훈련 종합 대책(II).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2. 이정표.이병욱.나승일.김호동(2003).국가인적자원개발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다양한 직업교육 경로 설계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3. 정성창(2006).지식재산 전쟁: 한국의 특허경쟁력과 대응전략. 삼성경제연구소.
  14. 채창균(2006). 새로운 경제사회 발전 패러다임.국가인적자원개발론.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5. 특허청(2006). 한국의 특허동향2006(I), (II), (III).
  16. ILO(2002). Learning and training for work in the knowledge society. Geneva, International office.
  17. OECD(1996). Mapping The Future: Young People and Career Guidance.
  18. OECD(1999). 'Employment protection and labour market performance', Employment Outlook, Paris.
  19. Porter, M. E.(1998). "Clusters and the New Economics of Competition", Harvard Business Review, Nov.-Dec.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