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networks of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 members at university through social network analysis

사회연결망 분석을 이용한 체육계열 학과의 구성원 연결망 분석

Lee, Jae-Hyung;Kim, Chan-Ryong
이재형;김찬룡

  • Published : 20080000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교의 체육계열 학과 구성원의 연결망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회연결망 분석을 이용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연구대상은 D대학교 체육계열 학과 1학년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본 체육계열 학과 구성원의 연결망의 특성을 분석하는데 있어 UCINET(ver. 6.29)과 NetDraw(ver. 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계열 학과의 정보수집 연결망의 중앙성은 LJH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친한동기 연결망의 중앙성은 CMK, KHC, SHJ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육계열 학과의 정보수집 연결망의 외향 중심화는 11.574%, 내향 중심화는 28.704%로 나타났으며, 친한동기 연결망의 외향 중심화는 23.457%, 내향 중심화는 14.892%로 나타났다. 셋째, 체육계열 학과의 정보수집 연결망의 밀도는 0.2162, 친한동기 연결망의 밀도는 0.5300으로 나타났다. 넷째, 체육계열 학과의 정보수집 연결망내에는 72개의 연결고리, 4개의 구조적 등위집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체육계열 학과의 친한동기 연결망내에는 177개의 연결고리, 4개의 구조적 등위집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체육학 분야에서 집단의 구조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한 새로운 연구방법인 사회연결망 분석의 타당성을 검토하는데 그 의의가 있으며, 이를 통하여 향후 체육학 분야의 새로운 연구방법의 도입으로 다양한 후속연구결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원일보(2007). 대학가 폭력 공개사과. 4월 12일자
  2. 김선업(1991). 한국 대도시 주민의 개인적 연줄망에 관한 경험적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3. 김용학(1991). 기든스의 사회사상, 구조와 행위의 통합. 한국논단, 18, 138-144
  4. 김용학(2003). 사회연결망분석. 서울: 박영사
  5. 김용학(2004). 사회연결망이론. 서울: 박영사
  6. 김혜진(2007). 사회연결망을 이용한 스포츠 경기분석.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9(1), 99-112
  7. 김효정(2005). 자생적 교사 연구모임의 사회연결망 분석, 초등학급경영연구회를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8. 박창범(2005). 인라인 스케이팅 동호인 사회연결망에서의 권력관계, Emerson의 관점에서. 한국체육학회지, 44(6), 873-882
  9. 송영민(2006). 여가행위에 대한 대인 네트워크 구조의 영향: Social Network Analysis를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양학교 대학원
  10. 이재열(2003). 사회연결망분석: 데이터와 자료 구조 사회연결망 분석과 이론적 함의 워크샵
  11. 이철우, 박상민(1998). 사회적 연결망의 연구동향과 공간적 함의. 사회과학 10, 163-194
  12. 이홍구(1999). 체육행정 조직성원의 사회연결망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38(1), 162-172
  13. 임번장(2006). 스포츠사회학개론. 서울: 동화문화사
  14. 임번장, 이홍구(1997). 주부의 생활체육 참가와 사회연결망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36(3), 56-65
  15. 전소영(2005). 싸이월드 일촌을 통해 살펴 본 인터넷 공간에서의 사회연결망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16. 최경애, 박창범, 임수원(2004). 볼링동호인의 사회적 연결망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43(3), 393-403
  17. 최창현(2006). 조직의 비공식 연결망에 관한 연구, 사회연결망분석의 적용.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7(1), 1-23
  18. 한겨레신문(2007). 체대 교수.학생회 "폭력 뿌리 뽑겠다" 3월 14일자
  19. 한지연(2005). 청소년 흡연과 교우관계에 관한 연구, 사회 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 홍석민, 윤태일, 이기홍(2005). 광고 대행사와 제작사의 사회연결망 분석. 광고연구, 66, 187-211
  21. Bourdieu, P. (1979). La Distinction: critique sociale du jugement, 최종철 역(1995), 구별짓기: 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서울: 새물결
  22. Feld, S. (1982). Social structural determinants of similarity among associate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7, 797-801 https://doi.org/10.2307/2095216
  23. Kalmijn, M., & Vermunt, J. K. (2007). Homogeneity of social networks by age and marital status: A multilevel analysis of ego-centered networks. Social Networks, 29, 25-43 https://doi.org/10.1016/j.socnet.2005.11.008
  24. Knoke, D., & Burt, R. S. (1983). Prominence. In Burt, R. S., & Minor, M. J. (eds), Applied Networks. Analysis, 195-222. Newbury Park, CA: Sage
  25. Louch, H. (2000). Personal network integration: transitivity and homophily in strong-tie relations. Social Networks, 22, 45-64 https://doi.org/10.1016/S0378-8733(00)00015-0
  26. Marsden, Peter A. (1990). Network Data and Measurement. Annual Review of Sociology, 16, 435-463 https://doi.org/10.1146/annurev.so.16.080190.002251
  27. Myma, P. Mandell (2001). Collaboration through network structure for community building effort. National Civic Review, 90(3), 279-287 https://doi.org/10.1002/ncr.90308
  28. Wassennan, S., & Faust, K.(2006).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and applications. New York,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