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nomic Value of Honeybee Pollination on Major Fruit and Vegetable Crops in Korea

한국 과수 및 채소 작물 생산에서 꿀벌 화분매개의 경제적 가치 평가

Jung, Chul-Eui
정철의

  • Published : 2008.10.01

Abstract

Honeybee is the most important insect pollinator of agricultural crops as well as natural vegetation, which make the green earth sustainable. Even with vast amount of economic evaluation of pollination service from abroad, limited information available in Korea. By adopting the methods of Robinson et al., economic value of pollination service provided by honeybee was estimated on major fruit and vegetable crops. The annual production for the selected crops was estimated as 12 trillion KRW (won). Approximately 50% of the annual production was turned out as the honeybee pollination service, amounting 5.8 trillion KRW. This is 18 times more than the annual primary production of Korean beekeeping (350 billion KRW). Further improvement of the estimation with more field data is required with consensus among stakeholders.

꿀벌의 화분매개가 농업 생산에 미치는 경제적 기여를 추정하기 위하여 Robinson 등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선택된 국내 주요 과수 및 채소작물의 연 생산 액은 약 12조원으로 파악되었고, 이 중에서 꿀벌 화분매개를 통해 파생된 생산액은 5.8조원으로 추정되었다. 즉 선택된 작물의 약 50%가 꿀벌의 화분매개를 통해 이루어 졌다는 의미이며, 이는 국내 1차 양봉생산액(3500억)의 약 18배에 이르는 수준이다. 또한 많은 작물에서 화분매개를 위한 봉군 임대 또는 꿀벌 봉군을 투여할 경우, 손익은 과채류의 30여배에서 과수에서는 30~300배 정도로 추산되었다. 추후 보다 객관적이며 구체적인 자료 확보를 통하여 꿀벌의 경 제적 가치를 올바르게 평가하고, 이에 합당한 양봉 산업 진흥을 위한 정책 개발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농촌진흥청. 2006. 2006 농축산물소득자료집.
  2. 농촌진흥청. 2006. 화분매개곤충이 농작물 생산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분석. pp. 58.
  3. 농림부. 1998. 꿀벌의 활용과 고품질 양봉산물의 생산 기술. 연구보고서. pp. 259.
  4. 농림부. 2006 농림통계연보.
  5. 오현우, 이명렬, 우건석. 1989. 방화곤충에 의한 사과나무와 배나무의 결실 효과. 한양봉지 4: 11-15.
  6. 이상범, 이경용, 하남규, 윤형주, 박인균, 황석조, 강호성. 2007. 주요 경제작물에서 화분매개곤충 이용 현황. 한양봉지 22: 71-80.
  7. 이형래, 김정화, 최승윤. 1988. 주요 농작물에 대한 꿀벌의 방화활동과 화분매개효과. 한양봉지 3: 68-80.
  8. 이형래, 이경순, 이은정, 최상기. 1995a. 약용작물(열매)에서 방화곤충의 활동과 화분매개 효과. 한양봉지 10: 123-130.
  9. 이형래, 김정화, 이은정, 이성옥. 1995b. 고추, 들깨, 참깨에서 방화곤충의 활동과 화분매개 효과. 한양봉지 10: 117-122.
  10. 이형래, 최미현. 1997. 산딸기, 메밀(봄, 가을), 산수유에서 방화곤충의 활동과 화분매개 효과 및 화분의 특성 연구. 한양봉지 12: 69-76.
  11. 추호열, 조미경, 우건석. 1987. 복숭아와 자두꽃을 방화하는 곤충의 종류와 생태. 한식보지 26: 117-122.
  12. 최승윤. 1987. 파꽃에서의 방화곤충의 비래활동에 관한 연구. 한양봉지 2: 67-74.
  13. Buchmann, S.L. 1996. Competition between honey bees and native bees in the Sonoran Desert and global bee conservation issues, in The Conservation of Bees, A. Matheson et al. eds. New York: Academic Press, pp. 125-142.
  14. Jadhav, L.D. 1981. Role of insects in the pollination of onion (Allium cepa L.) in the Maharashtra State, India. Inidan Bee Journal. 43: 61-63.
  15. Kearns, C.A., D.W. Inouye and N. Waser. 1998. Endangered mutualisms: The conservation of plant-pollinator interactions,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s 29: 83-112. https://doi.org/10.1146/annurev.ecolsys.29.1.83
  16. Nabhan, G.P. and S.L. Buchmann. 1997. Services provided by pollinators, in Nature's Services, G. Daily ed. Washington D.C.: Island Press, pp. 133-150.
  17. Levin, M.D. 1983. Value of bee pollination to U.S. Agriculture. Bull. Ent. Soc. Am. 29: 50-51.
  18. Ren, D. 1998. Flower-Associated Brachycera Flies as Fossil Evidence for Jurassic Angiosperm Origins, Science 280: 85-88. https://doi.org/10.1126/science.280.5360.85
  19. Robinson, W. S., R. Nowogrodzki and R. A. Morse. 1989. The value of honey bees as pollinators of U. S. Crops. American Bee Journal. 129: 411-423.
  20. Southwick, E.E. and L. Southwick Jr. 1992. Estimating the Economic Value of Honey Bees as Agricultural Pollinators in the United States, Economic Entomology 85: 621-633. https://doi.org/10.1093/jee/85.3.621
  21. Traynor, J. 1999. Providing subsidies for beekeepers. Bee Culture 127: 14.
  22. Tautz Jurgen. 2008. The buzz about bees. Biology of a superorganism. Springer. pp. 284.
  23. Watanabe, M.E. 1994. Pollination worries rise as honey bees decline, Science 265: 1170. https://doi.org/10.1126/science.265.5176.1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