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riculum and Implementation of 'Invention Classroom' in Seoul Area

서울지역 발명교실의 교육과정 분석 및 운영 실태

  • Yi, Sangbong (Technology Education Dept.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Bak, Segeun (Seoul Inhun Middle School)
  • Received : 2008.01.30
  • Accepted : 2008.03.12
  • Published : 2008.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basement in making definite curriculum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urriculum and implementation of Invention Classroom in Seoul area and findings of the problems perceived by the teachers. This study analyzed the curriculums of 19 'invention classrooms' in Seoul area, asked the teachers about the problems and things to need improving through interviews and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it is necessary to make the more definite curriculum because there is a little big gap between the regions and the teachers in running the 'Invention Classrooms'. Second, it is necessary to narrow the gaps through the definite curriculum because the purposes, contents, teaching methods and evaluation tools perceived most importantly or emphasized most by the teachers were so different from the real suggestion in the curriculums. Third, it is necessary to suggest the definite guideline in order to overcome the regional gaps because there are a little big gap of implementation between the classes in planning teaching periods, credits needed and so on. Fourth, the teachers have perceived many problems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al and financial aspect and so it is necessary to properly reflect them on planning the curriculum of Invention Classroom through many proper studies to improve them.

이 연구는 서울지역 발명교실의 교육과정 분석 및 운영 실태 조사를 통해 교육과정 운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발명교실 담당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문제점과 개선점을 반영하여 이 후 발명교실의 명확한 교육과정을 수립하는 데 있어 기초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서울지역 19개 발명교실의 교육과정과 운영 실태를 분석하고, 발명교실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발명교실의 문제점과 개선점에 대해 면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명 교육과정의 부재로 인해 지역별, 담당교사별 교육과정 운영의 편차가 다소 큰 것으로 나타나 명확한 발명 교육과정의 수립이 요구된다. 둘째, 발명교실 담당교사가 가장 강조하거나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발명교육의 목적, 내용, 수업방법 및 평가방법이 실제로 제시되거나 실시되고 있는 것과는 다소 차이가 있으므로 명확한 교육과정 수립을 통해 개선되어야 한다. 셋째, 발명교실에 따라 개설반의 구성, 수업시간, 이수시간 등 발명교실 운영 방법이 다소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지역별 편차를 극복할 수 있는 명확한 운영 지침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발명교실 담당교사들은 교육적 측면, 행정적 측면, 재정적 측면에서 다양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를 개선할 방안의 연구를 통해 발명 교육과정 수립에 적절히 반영되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2000).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총론-. 서울: 저자.
  2. 권낙원 (1984). 수업양식과 학습양식의 일치효과 및 그 의의. 교육과정연구. 교육과정연구회.
  3. 김병오 (1999). 초.중학교 발명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서울.
  4. 김봉수 (2006). 중학교 발명교실 담당교사가 인식하는 발명교육 교육과정에 대한 동의수준과 중요도.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청원군.
  5. 김용익 (2002). 초등학교 실과교과를 통한 발명교육의 방안, 한국실과교육학회지.
  6. 김용익 (2005). 교과교육을 통한 발명교육 활성화 방안. 서울. 특허청. 두산 백과사전 (2005). http://www.encyber.com
  7. 류창열 (2002). 기술교육과정 및 평가. 대전: 충남대학교 출판부.
  8. 류창열 (2003). 기술교육원론. 대전: 충남대학교 출판부.
  9. 박성익, 권낙원 (1989). 수업모형의 적용기술. 서울: 성원사.
  10. 박수동, 박영택 (1998). 창조적 문제해결기법 : TRIZ/TIPS. 한국품질경영학회.
  11. 박수진 (2006). 초등학교 교과내용에서의 발명교육 현황 및 발전방향 모색 : 과학, 실과, 미술교과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광주교육대학교. 광주.
  12. 백순근 (1997). 수행평가의 이론적 기초. 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 학술세미나 발표 논문집. 한국교육평가연구회.
  13. 신우섭 (2005) 학교 발명교육의 인식과 지도 교재 개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구.
  14. 서혜애 외 5인(2002). 공교육 차원의 발명영재교육 체제 구축 방안 연구. 서울:한국교육개발원.
  15. 이용환 외(2005). 발명교실 표준모델 개발. 서울. 특허청, 서울대학교. 야후 백과사전 (2005). http://www.yahoo.co.kr.
  16. 이무근 (1990). 실기교육방법론. 서울 : 상조사.
  17. 이상봉 (1998). 기술과 수행평가의 실제, 교육월보(12월). 교육부.
  18. 이상봉 (2001). 지식기반사회에 대비한 기술교과 교육의 과제와 전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1). p.21.
  19.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2001). 21세기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서울: 교육과학사.
  20. 장수웅 (2002). 기술교육에서 창의적인 문제해결 수업을 위한 수행평가 도구의 개발. 미간행박사학위 논문, 한국교원대학교. 청원.
  21. 정성봉 (2002). 실과수업방법론. 서울: 교학사.
  22. 지식재산권 연구센터 (2001). 발명활동의 저변확대를 위한 계층별 발명활동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 : 저자.
  23. 특허청, 국제지식재산연수원 (2006). 현장교사를 위한 발명교육 핸드북, 대전 : 저자.
  24. 특허청, 서울대학교 (2005). 발명교실 표준모델 개발, 서울 : 저자.
  25. 특허청 (2002). 발명과 특허. 대전 : 저자.
  26. 특허청 (2004). 지식재산백서. 대전 : 저자.
  27. 특허청, 한국학교발명협회 (2001a). 발명교육(이론과 실제), 서울 : 저자.
  28. 특허청, 한국학교발명협회 (2001b). 2001 발명공작교실백서, 서울 : 저자.
  29. 한국학교발명협회 (2002). 선진국 발명교육 사례의 연구 분석 및 국내 도입방안 연구, 서울 : 저자.
  30. 한국교육개발원 (2006). 발명교육 내용표준 및 교육내용 체계 정립을 위한 공청회, 서울 : 저자.
  31. Cruickshank, D. r., Bainer, & Metcalf, K (1995). The act of teaching. New York : McGraw-Hill.
  32. DeVore. P. W. (1980). Technology: An Introduction. Davis. p.64.
  33. Greenfield, L. B. (1987). Teaching thinking through problem solving. In j. E.. Stice(Ed.), Developing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abilities. SanFrancisco : Jossey-Bass
  34. International Technology Education Association(2000). Standards for technological literacy : Content for the study of technology. Reston, VA: author.
  35. Yi, S. (1996). Problem solving in technology education at the secondary level as perceived by technology educators in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Ohio States University, Columbus, O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