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a Robot Based Programming Learning on Learners' Creative Problem Solving Potential

로봇 활용 프로그래밍 학습이 창의적 문제해결성향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08.07.20
  • Accepted : 2008.09.08
  • Published : 2008.09.30

Abstract

Using the tangible programming tools, which combines physical objects (e.g. robot) and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 may help to encourage learners' creative thinking as well as to enhance problem solving ability. That is, learners can have opportunities to simulate problem solving processes through the physical objects, such as robots. Therefore, they can minimize an fixation about problem solving process. These experience is effective to induce creative thinking that is useful to find new solutions and change environment actively. Therefore, we developed a robot based programming teaching and learning curriculum and implemented it in college level introductory programming courses. The result shows that the robot based programming learning has a positive effect in all three factors of learners' creative problem solving potential, especially in a cognitive factor. The cognitive factor includes general problem solving abilities as well as factors that explain creativity, such as divergent thinking, problem recognition, problem representation. These result means that the developed robot based programming teaching and learning curriculum give positive effect to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로봇과 같은 물리적인 객체와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합한 실체적 프로그래밍 지원 도구는 일반적인 문제해결력 신장 뿐 아니라, 창의적 사고 발현에 유용한 도구이다. 즉, 학습자가 설계한 문제해결과정을 가상의 시뮬레이션이 아닌 물리적 객체를 통해 시뮬레이션 하는 경험을 제공해 줌으로써, 사전지식이나 문제해결과정에 대한 고정관념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러한 경험은 새로운 해법을 꾸준히 탐색하고 능동적으로 환경을 변경하고자 하는 창의적 사고 유발에 효과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로봇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수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대학교 프로그래밍 입문 과정의 초보 학습자들에게 적용하였고, 로봇 활용 프로그래밍 학습이 학습자들의 창의적 문제해결성향 증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창의적 문제해결성향을 구성하는 3가지 하위요인 중 인지적 요인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인지적 요인은 일반적인 문제해결력 뿐 아니라 창의성을 설명하는 문제인지 및 표상, 확산적 사고 등의 개념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로봇 활용 실체적 프로그래밍 학습이 학습자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집단별 사전 사후 창의적 문제해결성향 향상 정도를 분석한 결과, 로봇 활용 프로그래밍 학습 집단은 인지적 요인, 정의적 요인, 지식구성 요인 모두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로봇 프로그래밍 학습을 위한 교수 전략들이 문제해결력 뿐 아니라, 동기와 같은 정의적 요인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정하, 최인수(2006). 창의적 문제해결력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 성향과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교육심리연구, 20(3), 679-701.
  2. 배영권 (2006).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유비쿼터스 환경의 로봇프로그래밍 교유 모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배영권(2007). 성별의 차이를 고려한 로봇프로그래밍 교수전략에 관한 연구.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0(4), 27-37.
  4. 유인환(2005).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로봇 프로그래밍의 가능성 탐색. 교육과학연구, 36(2), 109-128.
  5. 이은경, 이영준 (2007). 로봇 프로그래밍 교육이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0(6), 19-27.
  6. 한건우, 이은경, 이영준(2006). Pair Programming이 학업성취도와 학습동기전략에 미치는 영향.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9(6), 19-28.
  7. Amabile, T. M.(1996). Creativity in context. Boulder. CO: Westview.
  8. Csikszentmihalyi, M.(1999). Implications of a systems perspective for the study of creativity. In R. J. Sternberg (Ed), Handbook of creativity(pp. 313-335).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Fagin, B. S., & Merkle, L. S.(2003). Measuring the effectiveness of robots in teaching computer science. ACM SIGCSE Bulletin, Proceedings of the 34rd SIGCSE technical symposium on Computer science education, 35(1), 307-311.
  10. Fasko, D. (2000-2001). Education and creativity.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3(3&4), 317-327. https://doi.org/10.1207/S15326934CRJ1334_09
  11. Hennessey, B. A. & Amabile, T. M. (1988). The conditions of creativity. In Sternberg, R. (Ed), The nature of creativit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Hussain, S., Lindh, J., & Shukur, G. (2006). The effect of LEGO Training on Pupils' School Performance in Mathematics, Problem Solving Ability and Attitude: Swedish Data.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9(3), 182-194.
  13. Kafai, Y. B.(2006). Constructionism. In Sawyer, R.K.(eds.), Handbook of the learning sciences.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 Lubart, T., & Guignard, J. (2000). The generality-specificity of creativity: A multivariate approach. In R. J. Sternberg, E. L. Grigorenko, & J. L. Singer (Eds.), Creativity: From potential to realization (pp. 43-56).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5. Resnick, M.(2006). Cpmputer as Paint Brush: Technology, Play, and Creative Society. In Singer, D., Golikoff, R., and Hirsh-Pasek, K.(eds.), Play=Learning: How play motivates and enhances children's cognitive and social-emotional growth. Oxford University Press.
  16. Rusk, N., Resnick, M., Berg, R., & Pezalla-Granlund, M.(2008). New Pathways into Robotics: Strategies for Broadening Participatio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17(1), 59-69. https://doi.org/10.1007/s10956-007-9082-2
  17. Sternberg, R. J., & Lubart, T. I. (1991). An investment theory of creativity and its development. Human Development, 34, 1-31. https://doi.org/10.1159/000277029
  18. Sternberg, R. J., & Lubart, T. I. (1995). Defying the crowd: Cultivating creativity in a culture of conformity. NY: Free Press.
  19. Sternberg, R. J., & O'Hara, L. A.(1999). Creativity and Intelligence. In Sternberg, R. J. (Ed.), Handbook of Creativity,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 Weisberg, R. W. (1999). Creativity and knowledge: A challenge to theories. In R. J. Sternberg (Ed.), Handbook of creativity (pp. 226-250).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Weisberg, R. W. (2006). Creativity: Understanding innovation in problem solving, science, invention, and the arts. Hoboken, NJ: John Wiley & Sons,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