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동화주의 다문화정책의 위기와 재편에 관한 연구

Han, Seung-Jun
한승준

  • Published : 20080900

Abstract

This study analyses the challenges and the responses of the French Assimilation model. Of all the highly-developed immigration countries, France comes closest to the assimilation model. The assimilation model is the policy of incorporating immigrants into society through a one-sided process of adaptation. After the ethnic riots in 2005, many articles claimed the retreat of the French Assimilation model. The crisis of the French Assimilation model is due to the socio-economic problems of minorities. This article discusses recent changes of French immigration policy. For the analysis, immigration, education, employment, and culture were examined. After 2005, some new minority policies were introduced in the field of employment and cultural policies. However, the assimilation model was still working in the field of immigration and education policies. In conclusion, the French experience shows that there is no sign of retreating from the assimilation model in France after 2005. There are only signs of renewing the French model by recognizing the socio-economic difficulties of minorities.

본 연구는 다문화정책에 있어 전통적으로 동화주의 모델을 채택해 온 프랑스가 2005년 인종폭동 이 후 어떤 재편의 경향을 나타내고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먼저, 다문화주의의 개념, 이론, 유형들을 검토하고, 대표적인 다문화 정책모델인 동화주의 모델과 다문화주의 모델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는 다문화정책의 유형을 분석하기 위해서 이주, 교육, 고용, 문화의 4개 영역을 선정하고, 해당 지표들을 개발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첫째, 2005년 인종폭동 이후에도 프랑스의 다민족・다문화정책이 동화주의 모델에서 다문화주의 모델로 전환된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2005년 이후 변화의 방향은 프랑스식 동화주의 통합모델의 효과적인 작동을 위한 부분적인 배제모델 및 다문화주의 모델의 채택이다. 셋째, 국가는 과거에 비해 이주민의 존재나 그들의 문제를 공식적으로 인정하되, 이에 대한 해결방안은 여전히 내국인을 대상으로 한 다문화성 강화 방안이나 이주민을 포함하는 포괄적 소외계층 관련 방안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본 연구는 프랑스 동화주의 모델의 실패와 그에 따른 다문화주의 모델 채택이라는 기존의 연구들과는 차별화되는 분석을 통해 다문화정책 모델들에 관한 보다 객관적인 장단점의 비교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향후 우리나라 다문화정책 방향 모색에 있어 다문화주의 모델과 더불어 동화주의 모델의 검토, 다문화주의 이데올로기 논쟁을 초월한 실용적 측면에서의 다문화정책 대안들의 채택, 이민정책에 있어서의 예방적 조치, 내국인의 다문화성 제고를 위한 정책 추진 필요성 등이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휘원. (2006). 한국 다문화사회의 형성요인과 통합정책. 국가정책연구, 20(2): 5-34
  2. 곽원섭. (2007). 이주민 통합전략의 국가간 다양성 비교: 프랑스와 스웨덴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석사학위논문
  3. 구견서. (2003). 다문화주의의 이론적 체계. 현상과 인식, 90: 29-53
  4. 김남국. (2004). 영국과 프랑스에서 정치와 종교: 루시디 사건과 헤드스카프 논쟁을 중심으로. 국제정치논총, 44(4): 341-362
  5. 김남국. (2005). 다문화시대의 시민: 한국사회에 대한 시론. 국제정치논총, 45(4): 97-121
  6. 김비환. (2007). 참여민주주의와 한국사회. 시대정신, 37: 65-87
  7. 김세훈. (2006). 다문화사회의 문화정책. 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8. 김이선.정해숙.김영주. (2008). 농촌 여성결혼이민자가족 지원사업 발전방안 연구, 농림부
  9. 노대명. (2006). 최근 프랑스 소요사태에 대한 단상. 복지동향, 87: 30-33
  10. 마르티니엘로. 윤진(역). (2002). 현대사회와 다문화주의. 서울: 한울
  11. 박단. (2006). 2005년 프랑스 '소요사태'와 무슬림 이민자 통합문제. 프랑스사연구, 14: 225-261
  12. 서울대학교 불어문화권연구소. (2004). 프랑스: 하나 그리고 여럿,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3. 설동훈. (2004). 외국인 노동자 문제의 배경. 실천문학, 74: 220-230
  14. 설동훈. (2006). 국민, 민족, 인종: 결혼이민자 자녀의 정체성. 동북아 다문화시대 한국사회의 변화와 통합, 동북아시대위원회
  15. 엄한진. (2007). 프랑스 이민통합 모델의 위기와 이민문제의 정치화: 2005년 '프랑스 도시외곽지역 소요사태'를 중심으로, 41(3): 253-286
  16. 오경석 외. (2007).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 현실과 쟁점. 서울: 한울아카데미
  17. 오정숙. (2007). 프랑스의 유럽, 유럽화된 프랑스: 프랑스와 유럽연합의 문화정책. 프랑스학연구, 41: 223-247
  18. 원숙연. (2008). 다문화시대 소수자 정책의 차별적 포섭과 배제: 외국인 대상 정책을 중심으로 한 탐색적 접근. 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9. 윤광재. (2008). 니콜라 사르코지 정부의 행정개혁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 이기라.양창렬. (2007). 공존의 기술: 방리유, 프랑스 공화주의의 이면, 서울: 그린비
  21. 이용승. (2004). 호주의 다문화주의. 동아시아연구, 8: 177-205
  22. 이정순. (2006). 프랑스 소요사태와 프랑스내 이주민 여성. 여성이론, 14: 241-257
  23. 이정원. (2006). 프랑스의 이주노동자 고용정책: 소외지역관련정책을 중심으로. 국제노동브리프, 4(12): 22-26
  24. 이종수.윤영진 외. (2005). 새행정학, 서울: 대영문화사
  25. 이종열.황정원.노지영. (2008). 다문화정책의 거버넌스적 접근: 인천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6. 임운택. (2008). 이주사회의 경험 비교연구: 캐나다의 다문화주의와 프랑스의 공화주의적 보편주의의 비교. 다문화사회정책포럼,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7. 장명학. (2006). 세계화와 인종갈등: 영국, 독일, 프랑스의 제노포비아와 그 대응정책을 중심으로. 국제문제연구, 6(4): 171-219
  28. 장화익. (2007). 유럽의 외국인노동자 수용제도와 사회통합: 독일.프랑스.영국.이탈리아.네덜란드 5개국 비교. 노동법률, 16: 141-148
  29. 전영평. (2008). 다문화시대의 소수자운동과 소수자 행정: 담론과 과제. 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30. 정민숙. (2005). 유럽의 이슬람 정책 강경해질까? 뉴스위크 한글판, 16(8): 30-32
  31. 정홍익.이종열.박광국.주효진. (2008). 문화행정론, 서울: 대영문화사
  32. 조정남. (2007). 현대국가와 다문화주의. 민족연구, 30: 6-15
  33. 채원호. (2007). 다문화주의와 에스닉 마이너리티에 대한 지원 정책: 일본과 영국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34. 한국사회학회. (2007).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이론화, 서울: 동북아시대위원회
  35. 한승완. (2007). '다문화주의' 담론과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정책방향. 정책연구, 153: 99-137
  36. 한승준. (2008). 프랑스 동화주의 다문화정책의 위기와 재편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37. 홍기원. (2006). 다문화정책의 방향과 문화적 지원방안 연구, 문화관광정책연구원
  38. 홍기원. (2007). 다문화사회 문화정책의 과제와 방향. 다문화사회와 문화정책 세미나 발표논문집,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39. 홍기원. (2008). 이주민 대상 문화사업의 현황 및 개선방안. 다문화사회의 문화적 지원정책 대토론회 발표논문집, 문화체육관광부.한국문화관광연구원
  40. 홍석준. (2004). 세계화 시대의 문화적 정체성의 분절과 통합: 다문화주의와 신민족주의는 병존 가능한가? 인문학논총, 4: 205-222
  41. 황정미 외. (2007). 한국사회의 다민족.다문화 지향성에 대한 조사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42. 關根政美 (1996). 국민국가의 다문화주의
  43. 이용승. (2004). 호주의 다문화주의. 동아시아 연구, 8: 177-205
  44. Barry, B. (2001). Culture and Equality, Cambridge: Polity Press
  45. Benhabib, S. (1996). Democracy and difference: contesting the boundaries of the political.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46. Bernard, P. (2002). Immigration: Le defi mondial, Paris: Gallimard
  47. Bonelli, L. (2005). Quand les services de renseignement construisent un novel ennemi, Le Monde diplomatique
  48. Castles, S & Miller, M. J. (2003). The age of migration: International population movements in the modern world. N.Y.: the Guilford Press
  49. Costa-Lascoux, J. (1989). De l'immigre au citoyen, Notes et etudes documentaires, Paris: La Documentation francaise
  50. Entzinger, H. (2005). Politique d'integration en Europe: un modele multidimensionnel. in L. Arnaud(dir.) Les minorites ethniques dans l'Union europeenne. Paris: La decouverte
  51. Frank, R. (2002). The Meaning of Europe in French National Discourse: A French Europe or an Europeanized France?, The Meaning of Europe, Oxford, Berg
  52. Haut Conseil a l'Integration, (2006). Le bilan de la politique d'integration 2002-2005, Paris: La Documentation francaise
  53. Inglis, C. (1996). Multiculturalism: New Policy Responses to Diversity, MOST Policy Papers 4, UNESCO
  54. Kymlicka, W. (1995). Multicultural Citizenship: A Liberal Theory of Minority Right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55. Kymlicka, W. & Banting, K. (2006). Immigration, Multiculturalism and the Welfare State, Ethichs & International Affairs, 20
  56. Levy, J. (2000). The Multiculturalism of Fear,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57. OECD. (2003). Social Integration of Migrants and Ethnic Minorities: Policies to Combat Discrimination. Paris: OECD
  58. Ouellet, F. (2002). L'education interculturelle et l'education a la Citoyennete, VEL Enjeux, 129: 146-167
  59. Soysal, Y. N. (1994). Limits of Citizenship: Migrants and Postnational Membership in Europe.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0. Stasi, B. (2003). Commission de Reflexion sur l'Application du Principe de Laicite dans la Republique, Paris: La Documentation francaise
  61. Weil, P. (2005). La Republique et sa diversite, Paris: La Decouverte
  62. Zehraoui, A. (1995). Les cites de banlieues, in Les Temps Modernes
  63. Zizek, S. (1997). Multiculturalism or the Cultural Logic of Multinational Capitalism. New Left Review, 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