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예방사업 시행 동안과 종료 후 초등학생들의 체질량지수

Body Mass Index Change during and after the Childhood Obesity Prevention Program

조욱제;이가영;박태진
Cho, Wook-Je;Lee, Ka-Young;Park, Tae-Jin

  • 발행 : 20080800

초록

연구배경: 소아비만 예방을 위한 학교 프로그램이 시행기간 동안 및 종료 후에 아동들의 체질량지수에 변화를 파악함으로서 소아비만 예방 교육의 지속적 효과를 알아보았다. 방법: 부산광역시에 소재하는 1개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2004년 3월에서 9월까지 학교에서 시행한 소아비만 예방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이 종료된 6개월 후 체중과 신장을 측정할 수 있었던 260명(남아 127명, 여아 133명)이 본 연구의 대상이었다. 성별 연령별 체질량지수를 이용하여 정상체중, 과체중, 비만군(대한소아과학회, 1998)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소아비만 예방 프로그램이 시행된 6개월 후 60%의 남아들과 65%의 여아들에서 체중이 줄거나 유지된 반면에 프로그램 종료 시점에서 6개월 후에는 91%의 남아들과 83%의 여아들에서 체중이 증가하였다. 프로그램 시행 전에 비하여 시행 6개월 후 체질량지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P<0.01) 프로그램 종료 시점에 비하여 종료 6개월 후에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성별, 연령, 프로그램 시행 후 추적 유무, 초기 체질량지수를 예측변수로 포함한 모델에서 초기 체질량지수가 높거나(유병교차비 0.89, 95% 신뢰구간 0.83∼0.98) 연령이 많으면(유병교차비 0.76, 95% 신뢰구간 0.59∼0.98) 프로그램 시행기간 동안 체질량지수가 감소하거나 유지될 가능성이 낮았다. 그러나 비만 예방 프로그램이 종료된 6개월 후 아동의 체질량지수 감소 및 유지에 대하여 성별, 연령, 초기 체질량지수, 프로그램 기간동안 체질량 지수 변화량은 모두 유의한 예측 요인이 아니었다. 결론: 초등학교에서 시행한 소아비만 예방 프로그램이 아동들의 체질량지수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는 지속적이지 않았으므로 소아비만 예방에 장기적으로 효과적인 방법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연구배경: 소아비만 예방을 위한 학교 프로그램이 시행기간 동안 및 종료 후에 아동들의 체질량지수에 변화를 파악함으로서 소아비만 예방 교육의 지속적 효과를 알아보았다. 방법: 부산광역시에 소재하는 1개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2004년 3월에서 9월까지 학교에서 시행한 소아비만 예방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이 종료된 6개월 후 체중과 신장을 측정할 수 있었던 260명(남아 127명, 여아 133명)이 본 연구의 대상이었다. 성별 연령별 체질량지수를 이용하여 정상체중, 과체중, 비만군(대한소아과학회, 1998)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소아비만 예방 프로그램이 시행된 6개월 후 60%의 남아들과 65%의 여아들에서 체중이 줄거나 유지된 반면에 프로그램 종료 시점에서 6개월 후에는 91%의 남아들과 83%의 여아들에서 체중이 증가하였다. 프로그램 시행 전에 비하여 시행 6개월 후 체질량지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P<0.01) 프로그램 종료 시점에 비하여 종료 6개월 후에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성별, 연령, 프로그램 시행 후 추적 유무, 초기 체질량지수를 예측변수로 포함한 모델에서 초기 체질량지수가 높거나(유병교차비 0.89, 95% 신뢰구간 0.83∼0.98) 연령이 많으면(유병교차비 0.76, 95% 신뢰구간 0.59∼0.98) 프로그램 시행기간 동안 체질량지수가 감소하거나 유지될 가능성이 낮았다. 그러나 비만 예방 프로그램이 종료된 6개월 후 아동의 체질량지수 감소 및 유지에 대하여 성별, 연령, 초기 체질량지수, 프로그램 기간동안 체질량 지수 변화량은 모두 유의한 예측 요인이 아니었다. 결론: 초등학교에서 시행한 소아비만 예방 프로그램이 아동들의 체질량지수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는 지속적이지 않았으므로 소아비만 예방에 장기적으로 효과적인 방법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키워드

참고문헌

  1. 보건사회부. 1998년도 국민 영양 조사 결과 보고서. 1999
  2. 대한비만학회. 임상 비만학. 서울:고려의학;1995. p. 171-8
  3. 문형남, 홍수정, 서성제. 서울지역의 학동기 소아 및 청소년의 비만증 이환율 조사. 한국영양학회지 1992;25 (5):413-9
  4. 윤동희. 부산지역 각급학교별 비만도 실태조사. 부산광역시 교육청 보도자료. 2004
  5. Styne DM. Childhood and adolescent obesity. Prevalence and significance. Pediatr Clin North Am 2001;48(4):823-54 https://doi.org/10.1016/S0031-3955(05)70344-8
  6. Freedman DS, Dietz WH, Srinivasan SR, Berenson GS. The relation of overweight to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Bogalusa Heart Study. Pediatrics 1999;103:1175-82 https://doi.org/10.1542/peds.103.6.1175
  7. Csabi G, Török K, Jeges S, Molnar D. Presence of metabolic cardiovascular syndrome in obese children. Eur J Pediatr 2000;159:91-4 https://doi.org/10.1007/PL00013812
  8. Guilleminault C, Simmons FB, Motta J, Cummiskey J, Rosekind M, Schroeder JS, et al.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and tracheostomy. Longterm follow-up experience. Arch Intern Med 1981;141:985-8 https://doi.org/10.1001/archinte.141.8.985
  9. Mo-suwan L, Pongprapai S, Junjana C, Puetpaiboon A. Effects of a controlled trial of a school-based exercise program on the obesity indexes of preschool children. Am J Clin Nutr 1998;68:1006-11 https://doi.org/10.1093/ajcn/68.5.1006
  10. Datar A, Sturm R. Physic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and body mass index: evidence from the early childhood longitudinal study. Am J Public Health 2004;94(9):1501-6 https://doi.org/10.2105/AJPH.94.9.1501
  11. 노연희, 이선영, 강재헌. 초등학교 비만 아동을 대상으로 한 학교 비만 관리 프로그램의 단기적인 효과. 가정의학회지 2002;23(12):1470-9
  12. 이은숙, 이정렬, 유일영. 초등학생을 위한 비만관리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 한국 학교보건학회지 1998;11 (1):91-8
  13. 홍창의. 소아과학. 제7판. 서울:대한교과서;2001. p. 1232-7
  14. 김현아, 김은경. 학령기 비만아동을 위한 체중조절 프로그램 실시 및 효과평가. 한국 영양학회지 1996;29(3): 307-20
  15. Robinson T. Population-based obesity prevention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n: Johnston FE, Foster GD, editors. Obesity, growth and development. London:Smith-Gordon;2001. p. 129-41
  16. 서남숙, 강혜영, 김영희. 행동수정과 자기효능감에 근거한 비만관리프로그램의 효과-초등학교 비만아동을 대상으로. 대한간호학회지 2005;35(3):6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