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osition and Catch Variation of Fishes by a Set Net in the Coastal Waters off Gwideuk, Jeju Island

제주도 귀덕 연안 정치망 어획물의 조성 및 변동

  • 차병열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
  • 김대권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
  • 윤장택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
  • 김병엽 (국립수산과학원 제주수산연구소)
  • Received : 2007.11.16
  • Accepted : 2008.02.25
  • Published : 2008.03.31

Abstract

Fishes by a set net in the coastal waters off Gwideuk, Jeju Island were studied to determine species composition and catch variation, 2004. The fishing period conducted by a set net in Gwideuk fishing ground were from April to December. A total of 45,473.2 kg including 21 species was caught during the survey period. Most of them consisted of fishes of 17 species and a few were cephalopods of 4 species. Dominant species were Trachurus japonicus and Siganus fuscescens, 44.3% in the total. And sub-dominant species were Sepioteuthis lessoniana, Seriola dumerili, Seriola quinqueradiata, Loligo bleekeri, Seriola lalandi accounting for 54.4%. Although the number of species had a tendency to decreased from July to December, the catch by a set net was higher in summer and autumn than in spring. Such catch variations were closely related to recruitment of dominant species and also the seasonal variation of fishing ground temperature.

제주도 귀덕 정치망 어장의 유영생물 조성과 변동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2004년 4월부터 12월까지 어업이 행해지는 동안 매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기간 동안 총어종수 21종과 총어획량 45,473.2 kg의 유영생물이 어획되었으며, 이중 어류가 17종 34,285.4 kg, 두족류가 4종 11,187.8 kg이었다. 2. 어획된 유영생물 중에는 전갱이와 독가시치가 가장 많은 비율로 전체 어획량의 44.3%를 차지하였으며, 그 외 흰오징어, 잿방어, 방어, 화살오징어, 부시리 등이 54.4%이었다. 3. 주 우점어종인 전갱이와 독가시치는 어기동안 대부분 어획되었으나, 이중 전갱이는 수온이 높은 여름철과 가을철에 많이 어획된 반면, 독가시치는 여름철에 많이 어획되었다. 4. 귀덕 정치망의 어획량은 봄철에서 여름철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일 변동 폭은 크게 나타났으며, 특히 여름철 전후의 많은 어획량은 우점종인 전갱이와 독가시치, 잿방어, 화살오징어, 흰오징어 등의 어장가입과 관련 있었다. 5. 또한, 어기가 시작되는 봄철에는 방어와 흰오징어가 우점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Grant : 연안수산 자원조성 기반연구

Supported by :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References

  1. 고유봉.신희섭. 1988. 제주도 북촌연안 수산자원 유영생물의 출현과 먹이연쇄에 관한 연구. I. 종조성과 다양도. 한국수산학회지, 21: 131-138
  2. 고유봉.신희섭. 1990. 제주도 남부 화순연안 수산자원 유영생물의 종 조성과 다양도. 한국어류학회지, 2: 36-46
  3. 김동수. 1993. 여수연안 정치망 어장의 환경요인과 어황변동에관한 연구. 한국어업기술학회지, 29: 94-108
  4. 김동수.노홍길. 1993. 여수연안 정치망 어장의 환경요인과 어황변동에 관한 연구. 1. 어장 주변 해역의 해황 특성. 한국어업기술학회지, 29: 1-10
  5. 김동수.노홍길. 1995. 여수연안 정치망 어장의 환경요인과 어황변동에 관한 연구. 3. 기초생산자의 출현과 어획량의 변동. 한국어업기술학회지, 31: 15-23
  6. 김동수.노홍길. 1996. 여수연안 정치망 어장의 환경요인과 어황변동에 관한 연구. 4. 수온.염분과 어획량의 변동. 한국어업기술학회지, 32: 125-131
  7. 김동수.이조출.김대안.박용석. 1989. 여수해만의 어장학적 특성 -정치망 어장을 중심으로-. 한국어업기술학회지, 25: 44-53
  8. 김동수.이조출.박용석. 1988. 여수연안 정치망 어장의 해황과 어황에 관한 연구. 한국어업기술학회지, 24: 150-157
  9. 김익수.최 윤.이충렬.이용주.김병직.김지현. 2005. 한국어류대도감. 교학사, 615pp
  10. 김준택.정동근.노홍길. 1999. 제주도 한림 연안 정치망 어장의 환경특성과 어획량변동에 관한 연구. III. 어획량변동과 환경요인. 한국수산학회지, 32: 105-111
  11. 명정구.김병일.이선명.전길봉. 2005. 우리바다 어류도감. 다락원, 287pp
  12. 정문기. 1977. 한국어도보. 일지사, 서울, 727pp
  13. 차병열.김병엽.오성우. 2001. 제주도 연안 정치망 어획량 변동과 어기. 한국어류학회지, 13: 210-219
  14. 차병열.장대수.김병엽. 2004. 제주도 함덕 연안의 정치망 어획량 변동. 한국수산학회지, 37: 65-72
  15. 한경호.김종헌.백승록. 2002. 울산연안 정치망에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 한국어류학회지, 14: 61-69
  16. 홍정표.이주희. 1995. 경북연안 정치망 어획량 변동에 관한 연구. 한국어업기술학회지, 31: 153-165
  17. Boaden, P.J.S. 1985. An introduction to coastal ecology, Chapman and Hall, 218pp
  18. Harrison, P.J. and T.R. Parsons. 2000. Fisheries oceanography, An integrative approach to fisheries ecology and management. Blackwell Science Ltd., 347pp
  19. Masuda, H., K. Amaoka, C. Araga, T. Ueno and T. Yoshino. 1984. The fishes of the Japanese Archipelago. Tokai Univ. Press, Tokyo. Text and plates: 437pp.+pls. 3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