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n elderly women's aging hormone by participating in Korean dance and administering melatonin

한국무용 참여와 멜라토닌 투여가 노인여성의 노화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Hong, Yae-Ju;Koo, Kwang-Soo;Baek, Young-Kook
홍예주;구광수;백영국

  • Published : 20080000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ere to analysis the effect on elderly women's aging hormone by Korean dance participation and administering melatonin of 12 weeks, to inquiry how effect not only regular exercise at weakened senescence' health but also administering antioxidizer melatonin. The groups were divided into 4 groups as follows: dance+melatonin group(n=8), dance group(n=8), melatonin group(n=8), control group(n=8). The dosage of the melatonin was followed by the advice of the doctor who is in charge of the gerontology hospital, one tablet for each day, 3 to 4 hours before going to bed except the ones who take medicine for the central nerve system or Hormone alternative therapy. In conclusion, 12-week participation in Korean dance and melatonin medication show no changes in the Blood estrogen concentration from the old women. However, it show positive changes both in the blood melatonin and growth hormones concentration. These effects are considered to be work positively in aging delay and improve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for the old women.

본 논문의 목적은 12주간 한국무용참여와 멜라토닌 투여 후 노인여성의 노화호르몬 변화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대상자들은 8명씩 4집단의 32명으로 구성하였으며, 50~65%HRmax의 운동강도를 12주, 주 3회, 매회 40분간 실시하였다. 멜라토닌 투여는 중추신경계 약물을 복용하는 사람과 호르몬 대체요법을 하는 사람을 제외시키고 하루 한 알, 취침 3~4시간 전에 복용시켰다. 연구의 결과 12주간 한국무용 참여와 멜라토닌 투여는 노인여성의 혈중 에스트로겐 농도 변화에는 효과가 없었으나, 혈중 멜라토닌과 성장호르몬 농도에는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어 노인여성들에게 있어 신체활동 중 하나인 한국무용 참여와 멜라토닌 투여는 노화호르몬인 멜라토닌과 성장호르몬 증가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차후 신체활동과 노화에 대한 연구에서는 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는 보조제 역할이 강조되며, 이것은 노인여성들의 건강증진에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신범(1998). 장기간의 지구성 훈련이 혈중 항산화 효소 및 멜라토닌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대학원
  2. 강신범, 고봉민(2005). 멜라토닌 투여가 Treadmill 을 이 용한 점증적 최대 운동시 세포막 손상에 미 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6(1), 103-108
  3. 김경래(2005). 트레이닝 유형이 여성 노인의 건강체 력, 내분비계 및 면역 반응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대학원
  4. 김상우, 배윤정(2002). 유산소운동을 병행한 근력운동 이 노인의 체력과 성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1(1), 477-491
  5. 김선경(1998). 운동이 폐경 전, 후 혈중 지질성분과 에스트로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 위논문. 성균관대학교대학원
  6. 김창환(2003). 12주 유산소성 훈련이 60대 성인의 근 섬유별 Perfusion 능력, IGF-1 및 성장관련 호르몬 농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 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대학원
  7. 박계순(1995). 운동과 호르몬 보충요법이 폐경초기 여성의 체력, 체구성, 혈액성분,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 서울대 학교 대학원
  8. 박소영(2003). 12주간 에어로빅댄스가 노년기 여성의 심폐기능, 신체조성, 혈중지질 및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용인대 학교대학원
  9. 박익렬(2003). 체중감량이 태권도 선수의 유, 무산소 성 운동능력, 면역반응, 호르몬 온도변화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 서울대학교대학원
  10. 박현, 김영수(1999). 여성의 운동참여 또는 폐경이 멜 라토닌 체내 농도유지에 미치는 영향. 체육과학연구, 10(4), 16-27
  11. 이강우, 권순옥(2004). 멜라토닌 섭취한 쥐에 있어서 운동이 연료이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1, 543-552
  12. 이상우(2002). 멜라토닌 투여가 10Km 달리기 운동에 있어서 혈중 MDA 및 TAS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18, 1305-1311
  13. 이애덕, 이주립(2003). 한국무용 동작을 통한 노인의 체력증진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42(5), 631-637
  14. 이유찬, 한혜원(2001). 노년기 여가 침여 형태와 삶의 질 및 인지와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40(3), 321
  15. 이승범(2003). 노인종합복지간의 운동프로그램이 노 화, 체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미간 행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대학원
  16. 임종석(1998). 노화혁명. 세종서적
  17. 임인수(2002). 노화와 운동효과에 대한 항산화, 내분 비, 면역학적 접근. 운동과학, 11(1), 35-51
  18. 임인수, 김진항(2003). 과다운동 후 멜라토닌 투여가 수면 중 뇌파 및 호르몬 변화에 미치는 영 향. 운동과학, 12(2), 297-306
  19. 장명훈(2005). 운동유형이 노인여성의 체력과 성장호 르몬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대학원
  20. 전유정(2002). 댄스스포츠 운동이 폐기능, 혈중지단 백 및 성호르몬 변화에 미치는 영향. 미간 행 박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대학원
  21. 지용석, 이지현 이중철, 김주희, 이현희, 김성수(2001). 규칙적 운동이 제 2형 당뇨병 노인여성의 혈당 혈중지질 수준 및 체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0(2), 733-747
  22. 통계청 (2005). 통계청자료 통계청
  23. Abuja, P. M, Liebmann, P., Hayn, M, Scbauenstem, K & Esterbauer, H (1997). Antioxidant role melatonin in lipid peroxidation of human LDL FEBS Letters, 413, 289-293. https://doi.org/10.1016/S0014-5793(97)00918-6
  24. Allen, L S. & Garski, R A (1992). Sexual orientation and the size of the anterior conmmisswe in the human brain Proceeding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 USA, 89, 7199
  25.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2000). ACSM's guidelines for exercise and prescription(6th ed). Philadelphia Lea & Febiger.
  26. Byne, W. & Parsons, B. (1993). Human sexual orientation the biological theories reappraised. Arch., Gen., Psychiatry, 50, 228. https://doi.org/10.1001/archpsyc.1993.01820150078009
  27. Carr, D. B., Reppert, S. M, Bullet, B., Skrinar, G, Beitens, L, Arnole, M, Rosenblatt, M, Martin, J. B. & McArthus, J. W (1981). Plasma melatonin increases, Journal of Clinical Endocrinel Metablism 55, 224-225.
  28. Cauley, J. A, Gutai, J. P., Kuller, L H, Len"-L- D. Powell, J. G. (1989). The epidemiology serum sex hormones in postn nopausal women.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29, 1120-1131. https://doi.org/10.1093/oxfordjournals.aje.a115234
  29. Currie, J. L, Harrison, M B., Trugman, J. M, Bennett, J. P. & Woolen, G. F. (2004). Postinemopausal estrogen use affects risk for Parkinson disease. Archives of Neurology, 6,886-888.
  30. Flias, A N., Wilson, A F., Pandian, M R, Ro as, F. J., Kayaleh, R, Stone, S. C & James, N. (1993). Melatonin and gonadotropin secretion after acute exercise in physically active males. European Journal Applied Physiology, 66, 357-361. https://doi.org/10.1007/BF00237782
  31. Grandjean, P. W., Crouse, S. F., OBrien, B. C, Rohack, J, J. & Brown, J. A (1998). The effects of menopausal status and exercise training on serum lipids and the activities intravascular enzymes related to lipid transport. Metabolism. 47(4), 377-383. https://doi.org/10.1016/S0026-0495(98)90046-4
  32. Heifer, T, Clings, M L & Hofirn, A (2006). ligher estm levels are not associated with larger hippocanpi and better nunory perfommanoe. Archives of Neurology, 60, 213-220. https://doi.org/10.1001/archneur.60.2.213
  33. Lusardi, P., Piazza, E. & Fogan, R (2000). Cardiovascular effects of melatonin in Hypertensive patients well controlled by nifedipine: a 24 hours study.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harmacology, 49, 423-427. https://doi.org/10.1046/j.1365-2125.2000.00195.x
  34. Packers, L (1997). Oxidants, antioxidant nutrients and the athlete. J. Sports Sci., 15, 353-363. https://doi.org/10.1080/026404197367362
  35. Powers, D. C, Morley, J. E. & Coe, R M (1994). Aging immunity and infection. NY: Spring Publishing Company.
  36. Reiter, R J. (1996). Functional aspects of the pineal hormone melatonin in combating cell and tissue damage induced by free radicals. European Journal of Endocrinology, 134, 412-420. https://doi.org/10.1530/eje.0.1340412
  37. Ronkainen, H, Vakkuri, O. & Kaupilla, A (1986). Effect of physical exercise on the serum concentration of nmelaton n in fekale runners. Acta. Obosty Gynecology Scandinavia, 65,827-829 https://doi.org/10.3109/00016348609157031
  38. Rudman, G. (1985). Growth horrmne, body composition and aging. Journal of American Geriattric Society, 33, 800-7. https://doi.org/10.1111/j.1532-5415.1985.tb04195.x
  39. Shephard, R J. (1997). Aging,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Campaign Human Kinetics.
  40. Synder, P. J., Peachey, H. & Hannooush, P. (1999). Effects of testosterone treatment On bone mineral density in men over 65. Journal of Clinical Endorine Metabolism, 75, 1092-1098
  41. Wideman, L, Weltman, J. Y., Hartman, M L, veldhuis, J. D & Weltman, A (2002). Growth Hormane release during acute and chronic aerobic and resistance exendse. Sports Med, 32, 987-1004. https://doi.org/10.2165/00007256-200232150-00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