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licy suggestions for strengthening the sport diplomatic power of Korea

한국의 스포츠 외교역량 강화 정책 방안

Kim, Beom-Sig;Park, Jin-Kyung;Yoo, Ho-Keun;Lee, Ru-Ji;Lee , Jung-Woo;Cho, Kwang-Wook;Chung, Sun-A
김범식;박진경;유호근;이루지;이정우;조광옥;정선아

  • Published : 20080000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국제 스포츠 기구 내에서 한국의 스포츠 외교력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스포츠는 유용한 외교적 수단이 될 수 있으며, 특히 소프트 파워, 즉 연성권력 이라는 개념의 등장과 함께 국제정치에서 스포츠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두 차례에 걸친 동계올림픽 실패는 한국의 스포츠 외교력이 국제기구 내에서 그다지 영향력이 없음을 보여주는 계기가 되었다. 본 논문에선 스포츠 외교 강국들의 스포츠 외교 정책들을 참고하여 한국의 스포츠 외교력을 증대하기 위한 정책적 추진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현존하는 정부기관 및 체육단체들의 스포츠 외교업무를 관장하는 조직을 전문성으로 연계하는 인력이 개편 되어야 한다. 둘째, 보다 다원화된 스포츠 외교 전문 인력 양성 및 교육기관 설립이 요구된다. 셋째, 올림픽 등 각종 국제스포츠대회와 국제회의를 국내에 유치하여야 한다. 넷째, 국제 스포츠 교류를 통한 인도적 지원사업 등 질적 향상을 기해야 한다. 다섯째, 국제 스포츠 기구와의 네트워크 형성과 다양한 보직으로 진출하여야 한다. 여섯째, 남북간 스포츠 교류 및 국제기구 내에서의 전략적 협조가 필요하다. 이상과 같은 외교정책의 혁신을 통해서 한국은 스포츠 외교선진국으로 거듭 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동원, 이충영(2002). 태권도의 발전과정에 따른 스포츠외교와 태권도의 역할. 한국체육학회지, 41(5), 3-14
  2. 공배완(2001). 스포츠와 외교. 외교적 수단으로서 스포츠의 국제 정치적 기능. 한국체육학회, 2001 서울국제스포츠과학학술대회, 200-217
  3. 권욱동(2004). 스포츠외교지도자의 윤리적 접근: 올림피즘을 중심으로. 한국체육철학회지, 12(1). 197-215
  4. 권오상(2007, 7월 5일). 평창 또 쓴잔...시험대 오른 스포츠 외교. 한겨레신문. pp .A01
  5. 권오인(1998). 남북 스포츠교류 활성화 방안에 대한 고찰.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6. 김동선(2001). 2010 동계올림픽 남북한 공동개최를 위한 전략 탐색. 한국체육학회지, 40(4), 341-350
  7. 김범식(2000). 올림픽 이후 남북 체육교류.협력 방향. 체육과학연구원, 스포츠과학, 2000년 겨울호. 31-38
  8. 김범식(2008). 2018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가능성과 스포츠 외교역량 강화방안. 한국스포츠외교포럼, 한국스포츠외교포럼 창립 세미나, 2018 평창동계올림픽 유치 가능성과 스포츠 외교역량 강화방안. 1-32
  9. 김태현(2006). 글로벌 외교:' 국익의 지평확대를 위한 매력외교'. 세종연구소(편) 한국의 국가전략 2020, 서울: 세종연구소
  10. 김태현(2007). 외교력 연구:개념적 분석과 정책제언. 국가전략, 14(1), 5-34
  11. 김종표(1998). 외교정책의 이론과 이해: 외교정책의 심리적 모형. 서울: 오름
  12. 송영우(2000). 한국의 외교. 서울: 평민사
  13. 안민석(2000). 남북체육교류 활성화방안. 한국스포츠사회학회보. 제17호
  14. 양순창(2007). 중국 스포츠 외교의 전개과정과 특징에 관한 연구. 대한정치학회지, 14(3), 323-343
  15. 유호근(2007). 남북한 스포츠교류의 정치적 함의: 기능주의적 시각을 중심으로. 세계지역연구논총, 24(1), 79-97
  16. 외교통상부(1999). 한국외교50년. 서울: 대한민국외교통상부
  17. 이강우(1977). 한국사회의 스포츠 이데올로기에 관한 연구(II): 군사정권기 미디어스포츠를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지, 36(2), 2043-2058
  18. 이근(2002). 동북아 스포츠 교류와 동북아 협력을 위한 한.일의 역할. 한국국제정치학회, 일본 국제정치학, 32세기 평화연구소 공동주최, 2002년 월드컵 기념 한.일 국제학술대회: 스포츠교류와 동북아시아의 평화와 협력
  19. 이정우(2002). 국제정치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한국스포츠외교의 구성과 과제.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 이현수(2004). 한국 대북 스포츠 외교정책 결정 영향요인에 관한 체제론적 분석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43(3), 149-159
  21. 정동성(1997). 스포츠와 정치: 남북한의 통합 교류. 서울: 사람과 사람
  22. 정희준(2007, 7월 9일). 부산올림픽 누구맘대로. 부산일보 A30
  23. 조성식(2007).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한 신 정부 체육정책의 비전과 과제. 2007
  24. 한국스포츠사회학회특별학술대회: 신 정부 스포츠 정책의 비전과 과제, 69-82
  25. 조성식, 이한규, 강호정, 이서항(2001). 스포츠외교 전문인력 양성 및 활동 강화 방안. 서울: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
  26. 최병구(2006). 외교 외교관. 서울: 평민사
  27. Close, P., Askew, D. and Xin, X.(2005). Beijing Olympiad: The political economy of a sporting mega-event. London: Routledge
  28.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2007). The Olympic Charter. Lausanne: the IOC
  29. Nye, Jr., Joseph, S. (2004). Soft Power: The means to success in world politics. New York: Public Affairs
  30. Preuss, H. (2004). The economics of staging the olympics: a comparison of the games 1972-2008 Cheltenham: Edward Edgar Publis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