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the Score Table for Prediction of Landslide Hazard - A Case Study of Gyeongsangbuk-Do Province -

산사태 발생위험 예측을 위한 판정기준표의 작성 -경상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 Jung, Kyu-Won (Department of Forestry,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Park, Sang-Jun (Department of Forestry,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Chang-Woo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정규원 (경북대학교 대학원 임학과) ;
  • 박상준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임학과) ;
  • 이창우 (국립산림과학원)
  • Received : 2008.05.21
  • Accepted : 2008.06.13
  • Published : 2008.06.29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the score table for prediction of landslide hazard in Gyeongsangbuk-Do province. It was studied to 172 places landslided in 23 cities and counties of Gyeongsangbuk-Do province. An analyze of the score table for landslide hazard was carried out through the multiple statistics of quantification method (I) by the computer. Factors effected to landslide occurrence quantity were shown in order of slope position, slope length, bedrock, aspect, forest age, slope form and slope. As results of the development of score table for prediction of landslide hazard in Gyeongsangbuk-Do province, total score range was divided that 107 under is stable area (IV class), 107~176 is area with little susceptibility to landslide (III class), 177~246 is area with moderate susceptibility to landslide (II class), above 247 area with severe susceptibility to landslide (I class).

경상북도 23개 시․군 산사태 발생지 172개소를 대상지로 선정하여 산사태 발생 특성을 다양한 요인별로 조사 분석하여 산사태 발생 위험 예측을 위한 판정기준표를 작성하였다. 산사태 위험 판정기준표는 수량화 I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산사태 발생량에 영향을 많이 주는 요인은 경사위치, 경사길이, 모암, 방위, 임분경급, 종단명형, 경사도의 순으로 나타났다. 산사태 발생 위험 예측을 위한 산사태 붕괴 위험도 판정기준표를 작성한 결과, 107점 미만 : 안정(IV등급), 107~176점 : 위험도 소(III등급), 177~246점 : 위험도 중(II등급), 247점 이상 : 위험도 대(I등급)로 붕괴 위험도가 구분되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Grant : 산사태 피해예방 조사 연구

Supported by : 경상북도

References

  1. 강위평, 村井 宏, 大村 寬, 마호섭. 1986. 수량화(II)에 의한 산사태사면의 위험도 판별. 한국임학회지 75: 32-37
  2. 경상북도. 2006a. 산사태 피해예방 조사 연구. 경상북도. pp. 137
  3. 경상북도. 2006b. 산사태 피해예방 조사 연구. 경상북도. pp. 116
  4. 경상북도. 2008. 산사태 피해예방 조사 연구. 경상북도. pp. 115
  5. 국립방재연구소. 2005. 8월 집중호우 피해조사 보고서
  6. 국립산림과학원. 1996. 개발제한구역 제도개선을 위한 환경평가 기준 연구(III). 산사태위험도 최종보고서
  7. 김경수, 김원영, 채병곤, 조용찬. 2000. 강우에 의한 산사태의 지질공학적 특성 -충청북도 보은지역-. 지질공학회 10(2): 163-174
  8. 김경태, 정성관, 박경훈, 오정학. 2005. GIS 및 RS기법을 활용한 산사태 취약성 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8(1): 75-87
  9. 김명국. 1997. 경상지역의 산사태 문제 분석에 대한 연구. 배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0. 김원영, 김경수, 이춘오, 조용찬, 채병곤, 최영섭. 2002. GIS를 이용한 한탄강댐유역의 산사태 위험성도 작성.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p. 78
  11. 김윤종, 김원영, 유일현, 박수홍, 백종학, 이현우. 1991. GIS를 이용한 광역 지질재해(산사태) 분석 연구. 대한원격탐사학회지 7(2): 165-178
  12. 마호섭. 1994. 산지사면의 붕괴위험도 예측모델의 개발 및 실용화 방안. 한국임학회지 83(2): 175-190
  13. 박재현, 최 경, 배종순, 마호섭, 이종학. 2005a. 매리 땅밀림형 산사태의 발생특성에 관한 분석(I) -지형 및 지질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임학회지 94(3): 129-134
  14. 박재현, 최 경, 배종순, 마호섭, 이종학. 2005b. 매리 땅밀림형 산사태의 발생특성에 관한 분석(II) -발생원인을 중심으로-. 한국임학회지 94(4): 243-251
  15. 송영석, 장윤호, 김진석. 2005. 집중호우시 발생된 삼척 지역의 산사태 특성. 지질공학회 15(4): 435-445
  16. 신은선. 1996.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한 보령?서천 지역의 산사태 분석. 충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7. 우보명, 박재현, 최형태, 전기성, 김경훈. 1996a. 휴석동 땅밀림형 산사태의 발생특성에 관한 연구(I) -지형 및 지표이동특성-. 한국임학회지 85(4): 565-570
  18. 우보명, 박재현, 최형태, 전기성, 김경훈. 1996b. 휴석동 땅밀림형 산사태의 발생특성에 관한 연구(II) -지질 및 수문특성-. 한국임학회지. 85(4): 571-576
  19. 우보명, 임경빈, 이수욱. 1978. 안양지역에 있어서 강우에 의한 산사태 발생에 관한 실태조사와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39: 1-34
  20. 원종석. 1996. 원격탐사와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한 청주지역의 광역적 산사태 분석 연구. 연세대학교 학위논문
  21. 이수욱. 1979. 산사태 발생요인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농업기술연구보고 6(2): 125-133
  22. 이승기. 2001. 산사태 위험지 예측을 위한 GIS 응용소프트웨어의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용준, 박근애, 김성준. 2006. 로지스틱 회귀분석 및 AHP 기법을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역 분석. 대한토목학회지 26(5): 861-867
  24. 이천용, 최경, 이종학, 이창우. 2002. GIS를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도 작성기법 개발. 산림과학논문집 65: 1-10
  25. 조재규, 박상준, 손두식, 주성현. 2000. 지질과 지형이 산사태 및 땅밀림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학회지 89(3): 323-334
  26. 중앙재해대책본부. 2002. 태풍 루사 피해조사보고서
  27. 최 경. 1986. 한국의 산사태 발생요인과 예지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박사논문. pp. 42
  28. 최 경. 2001. 산사태 예보와 위험지 판정기술. 방재연구 3(4): 12-27
  29. 大久保, 板垣, 吉川. 1976. がけ崩れ, 地すべり危?度予測のための?量化解析の適用. 土木技術資料 18(5): 10-15
  30. 久保村, 武井. 1971. 數量化法による切取のり面の安定度解析. 土木學會論文報告集 194: 141-150
  31. 林駒澤. 1982. 數量化理論とデ?タ?理. 朝倉書店. 49-88
  32. Brand, E.W. 1984. Landslide in Hongkong special lecture. The 8th Southeast Asian Geo. Conf. 1-15
  33. Chung, C.F. and Fabbri, A.G. 1998. Three bayesian prediction models for landslide hazard. In A. Bucciantti, ed., Proc. of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mathematical geology annual meeting (IAMG98), Ischina, Italy, October 3-7, 1998, 204-211
  34. Dai, F.C. and Lee, C.F. 2002. Landslide characteristics and slope in instability modeling using GIS. Lantau Island, Hongkong. Geomorphology 42: 213-228 https://doi.org/10.1016/S0169-555X(01)00087-3
  35. Chau, K.T., Sze, Y.L., Fung, M.K., Wong, W.Y., Fong, E.L. and Chan, L.C.P. 2004. Landslide hazard analysis for Hongkong using landslide inventory and GIS. Computers and Geosciences 30(4): 429-443 https://doi.org/10.1016/j.cageo.2003.08.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