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rent Status of Self-management and Barriers in Elderly Diabetic Patient

노인 당뇨병환자의 자기관리 실태 및 방해요인

Choi, Gyong-Ae;Jang, Soo-Mi;Nam, Hong-Woo
최경애;장수미;남홍우

  • Published : 2008.06.01

Abstract

Background: Diabetes has a critical effect on elderly diabetic patients’ quality of life. Elderly diabetic patients have many difficulties in diabetes self-management because their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functions are decreased as a result of the aging process. Therefore, we evaluated the current status of self-management and barriers in elderly diabetic patientsMethods: The sample was 124 elderly diabetic patients(over 61 years) who visited a hospital and two senior welfare centers in Seoul from July to August 2006.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T-tes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Results: 1) Diabetes self-management was composed of insulin injection, diet, exercise, foot management, smoking and drinking alcohol. An average score of self-management in the elderly diabetic patients was 4.5784. In demographic variables, only job status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self-management. 2) Barriers such as 'forgetting taking diet and medication', 'being interrupted by others', and 'lack of family and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factors in diabetes self-management. 3) These barriers for diabetes self-management were still significant in the case of controlling demographic and clinical variables.Conclusion: Diabetic educator should identify the significant factors that affect patient's self-management such as whether they have a full-time job, or the type of their job. In addition, diabetes education should focus on assertiveness training to deal with various interpersonal barriers and empowerment for enhancing patient's self-efficacy. These approaches would benefit patients who experience barriers of diabetes self-management(KOREAN DIABETES J 32:280-289, 2008)

연구배경: 당뇨병은 노인인구의 건강한 생활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노인 당뇨병환자의 경우 노화과정에 따른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지능 저하로 자기관리 수행 능력을 제한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 당뇨병환자를 대상으로 당뇨병 자기관리 실태와 방해요인을 살펴봄으로써, 노인 당뇨병환자의 자기관리 향상을 위한 개입방법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방법: 2006년 7월에서 8월까지 서울의 일 종합병원 외래와 노인복지관, 종합사회복지관 각각 한 곳을 이용하는 61세 이상의 노인 중 본 연구에 동의하는 12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내용은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 관련 특성, 당뇨병 관리 방해요인 및 자기관리에 관한 것이었다. 수집된 자료들은 기술통계와 함께 일원변량분석, t 검증을 사용하였고, 당뇨병자기관리에 미치는 방해요인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결과: 1) 노인 당뇨병환자의 자기관리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자기관리의 각 영역을 경구혈당강하제 복용(인슐린 주사), 식사관리, 운동, 혈당검사, 발관리, 흡연, 음주로 구성하였다. 조사대상자의 당뇨병 자기관리 점수는 7점 만점에서 평균 4.5784로 나타났다. 2) 인구사회학적 변인 중에서는 직업의 유무만이 자기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직업이 있는 경우 자기관리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당뇨병 관련 특성 변인 중에서는 합병증이 있을 때, 인슐린을 주사하는 경우, 경구혈당강하제를 복용하는 경우,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을 하는 경우가 자기관리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3) 다양한 방해요인 중 본 연구에서는 식사, 투약하는 것을 잊어버릴수록, 타인으로부터 방해 받을 수록, 당뇨병 관리를 도와주는 사람이 없을수록 자기관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인구사회학적 변인, 건강관련 변인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방해요인은 노인 당뇨병환자의 자기관리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갖고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Standard of medical care in diabetes-2006. Diabetes Care 29:S28, 2006
  2. 장수미: 당뇨병환자의 자기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 기능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4:244-63, 1999
  3.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International curriculum for diabetes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2002
  4. 유형준: 노인 당뇨병. 한의학, 2003
  5. Glasgow RE, Deborah J: Psychosocial barriers to diabetes self-management and quality of life. Diabetes Spectrum 14:33-41, 2001 https://doi.org/10.2337/diaspect.14.1.33
  6. Peyrot M, Rubin, R: Behavioral and psychosocial interventions in diabetes; a conceptual review. Diabetes Care 30:2433-40, 2007 https://doi.org/10.2337/dc07-1222
  7. Brown JB, Harris SB, Webster-Bogaert S, Wetmore S, Faulds C, Stewart M: The role of patient, physician and systemic factors in the management of type 2 diabetes mellitus. Family Practice 19:344-9, 2002 https://doi.org/10.1093/fampra/19.4.344
  8. Aljasem L, Peyrot M, Wissow L, Rubin R: The relationship of barriers and self-efficacy to self-care behaviors in type 2 diabetes. Diabetes Educator 27:393-404, 2001 https://doi.org/10.1177/014572170102700309
  9. Koenigsberge MR, Bartlett D, Cramer S: Facilitating treatment adherence with lifestyle change. Diabetes American Family Physician 69:309-16, 2004
  10. Toobert DJ, Hampson SE, Glasgow RE: The summary of diabetes self-care activities measure. Diabetes Care 23:943-50, 2000 https://doi.org/10.2337/diacare.23.7.943
  11. Fitzgerald T, Davis W, Connell C, Hess G, Funnell M, Hiss R: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diabetes care profile. Evaluation and the Health Professions 19:209-31, 1996
  12. 구미옥: 당뇨병환자의 자기효능, 자기조절, 상황적 장애, 자기간호행위간의 관계. 대한간호학회지 24:1205-14, 1994
  13. 고춘희, 구미옥: 문제상황 대처교육 프로그램이 제2형 당뇨병환자의 자기효능, 자기간호행위, 문제상황 대처 행위 및 당 조절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34: 1205-14, 2004
  14. MacLaughlin EJ, Rahel CL, Treadway Ak, Sterling TL, Zoller DP, Bond CA: Assessing medication adherence in the elderly: which tools to use in clinical practice? Drugs & Aging, 22:231-55, 2005 https://doi.org/10.2165/00002512-200522030-00005
  15. 이채원: 사회적 지지. 대한당뇨병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302-3, 2006
  16. 박오장: 사회적 지지가 당뇨환자의 역할행위이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4
  17. 정순둘: 저소득 노인의 가족동거여부와 삶의 만족도. 한국가족복지학 11:59-79, 2003
  18. 이정섭: 당뇨병환자의 생활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대한 간호학회지 30:1219-29,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