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n Determinants of Commuter's Mode Choice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Using Conditional Logit Models

조건부 로짓모형을 이용한 수도권 통근수간 선택 변화 요인에 관한 연구

Jun, Myung-Jin;Baek, Seung-Hun
전명진;백승훈

  • Published : 2008.08.18

Abstract

This paper aims to analyze determinants of changes in commuter's mode choice for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MA) between 1990 and 2005 by using conditional logit model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population suburbanization is an important determinant contributing to higher automobile dependence; 2) workers commuting to urban centers such as CBD and subcenters have more dependence on public transit than automobile, indicating that job concentration is positively related to use of public transit; and 3) both higher population density in residence zone and higher employment density in work place of a commuter have a strong correlation with public transit use, implying that land use patterns have significant impacts on commuter's mode choice for the SMA.

통근통행은 매일 정해진 시간대에 집과 직장을 연결하는 통행으로 오전과 오후 교통 혼잡의 주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통근통행은 직장과 주거의 위치와 거리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교통계획가 뿐만 아니라 토지이용계획가 및 도시계획가의 중요한 연구 분야 중의 하나이다. 통근통행과 관련한 주요 이슈는 직주 근접과 관련한 통행거리 및 시간에 대한 논의와 통근통행 수단 선택과 관련된 이슈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최근에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토지이용과 교통이 결합된 통합 토지이용-교통계획(integrated land use-transportation planning)의 중요성에 대한 논의나 스마트 성장(Smart Growth)과 신도시 주의(New Urbanism)운동의 핵심적인 내용은 토지이용변화를 통하여 교통 패턴을 바꾸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고밀도 압축개발(compact development), 내부 우선 개발(infill development), 혼합토지이용(mixed land use), 대중교통 지향적 개발(Transit-oriented Development: TOD) 등을 통하여 도시의 무질서한 외연적 확산을 막고 자가용 의존도를 낮추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Downs, 2005). 따라서 통행수단선택 요인에 대한 연구는 자가용 통행 억제를 통한 교통 혼잡 완화 정책뿐만 아니라 용도지역지구제, 밀도규제, 그리고 혼합토지이용 등 토지이용정책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수도권을 대상으로 지난 15년 동안 통근수단 선택의 변화패턴을 살펴보고 어떤 요인이 통근수단 선택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분석결과에 근거한 교통 및 토지이용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도 본 연구의 주요한 목적이다. 본 연구는 통근수단 선택 변화 요인을 통근시간, 통근비용 등의 교통적 특성, 주거와 직장의 밀도, 주거지와 도심 간의 거리 등 토지이용 및 입지특성, 그리고 성별, 연령, 가구주 여부 등 인구사회학적 특성 등으로 구분한 후 조건부 로짓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도록 한다. 분석을 위하여 사용되는 자료는 1990, 1995, 2000, 2005년의 인구주택총조사 2%자료로 수도권 자료를 추출하여 이용한다. 본 논문은 선행연구검토, 수도권 통근수단 선택의 변화패턴, 그리고 조건부 로짓모형 분석방법 및 분석결과 등 크게 3부분으로 구성되며 결론에 연구의 요약과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성희.이창무.안건혁(2001) '대중교통으로의 보행거리가 통행수단선택에 미치는 영향'. 국토계획 36(7): 297-307
  2. 신상영(2003) '직주접근성과 통근통행: 수도권을 사례로'. 국토계획 38(4): 73-87
  3. 이성우.지우석.조중구(2004) '조건부 로짓모형을 이용한 도시와 농촌의 통근 행태 비교:1990-2000' 농촌경제 27(4): 29-53
  4. 이성우.민성희.박지영.윤성도(2005) 로짓.프라빗모형 응용. 서울: 박영사
  5. 윤대식.안영희(2003) '고령자의 통행특성과 통행 행태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8(7): 91-107
  6. Allison, Paul D.(1999) Logistic Regression using the SAS system: Theory and Application Cary. NC: SAS Institute Inc
  7. Cervero, R.(2002) 'Built environments and mode choice: toward a normative framework'.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D, 7: 265-284 https://doi.org/10.1016/S1361-9209(01)00024-4
  8. Cervero, R. and R. Gorham.(1995) 'Commuting in transit versus automobile neighborhoods'. Journal of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61: 210-225 https://doi.org/10.1080/01944369508975634
  9. Cervero, R. and Kockelman, K.(1997) 'Travel Demand and the 3Ds: Density, Diversity, and Design'. Transportation Research D, 2: 199-219 https://doi.org/10.1016/S1361-9209(97)00009-6
  10. Crane, R.(1999) The impacts of urban form on travel: A critical review(Working paper WP99RC1). Boston, MA: Lincoln Institute of Land Policy
  11. Crane, R. and Crepeau, R.(1998) 'Does Neighborhood Design Influence Travel? A Behavioral Analysis of Travel Diary and GIS Data'. Transportation Research D, 3: 225-238 https://doi.org/10.1016/S1361-9209(98)00001-7
  12. Downs, Anthony.(2005) 'Smart Growth: why we discuss it more than we do it'. Journal of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71(4): 367-378 https://doi.org/10.1080/01944360508976707
  13. Dueker, K. J. and M. J. Bianco.(1999) 'Light rail transit impacts in Portland: the first ten year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685: 171-180 https://doi.org/10.3141/1685-22
  14. Ewing, R. and R. Cervero.(2001) 'Travel and the built environment: A synthesi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780: 87-114 https://doi.org/10.3141/1780-10
  15. Frank, Lawrence D. and Gary Pivo.(1994) 'Impacts of mixed use and density on utilization of three modes of travel: single-occupant vehicle, transit, and walking'.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466: 44-52
  16. Friedman, B. S. P. Gordon. and J. B. Peers.(1994) 'Effect of neotraditional neighborhood design on travel characteristic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466: 63-70
  17. Handy, Susan.(2005) 'Smart growth and the transportation-land use connection: What does the research tell us?'. International Regional Science Review, 28(2): 146-167 https://doi.org/10.1177/0160017604273626
  18. Hess, D.(2001) 'Effect of free parking on commuter mode choice: Evidence from travel diary data'.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753: 35-42 https://doi.org/10.3141/1753-05
  19. Jun, Myung-Jin.(2004) 'The Effects of Portland's Urban Growth Boundary on Urban Development Patterns and Commuting'. Urban Studies, 41(7): 1333-1348 https://doi.org/10.1080/0042098042000214824
  20. Nelson/Nygaard Consulting Associates.(1995) Land use and transit demand: The transit orientation index Chapter 3 of Primary Transit Network Study Portland. OR: Tri-Met
  21. Newman, Peter and Kenworthy, Jeffrey.(1999) Sustainability and Cities: Overcoming Automobile Dependence. Washington DC: Island Press
  22. Pushkarev, Boris S. and Jeffrey M. Zupan .(1977) Public transportation and land use policy. Bloominton: Indiana University Press
  23. Seskin, S. and R. Cervero.(1996) Transit and Urban Form. Washington DC: Federal Transit Administration
  24. Song, Yan. and Gerrit-Jan, Knaap.(2004) 'Measuring urban form: Is Portland winning the war on sprawl?'. Journal of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70(2): 210-225 https://doi.org/10.1080/01944360408976371
  25.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1996) TCRP Report 16: Transit and urban form.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6. Zhang, Ming.(2004) 'The role of land use in travel mode choice: Evidence from Boston and Hong Kong'. Journal of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70(3): 344-360 https://doi.org/10.1080/019443604089763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