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 of Artificial Nest Boxes of Tits in Coniferous and Deciduous Forests

침엽수림과 활엽수림 지역에서 박새류의 입공새집 이용

  • Rhim, Shin-Jae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Chung-Ang University) ;
  • Son, Seung Hun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Chung-Ang University) ;
  • Kim, Min-Jin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Chung-Ang University) ;
  • Kang, Jeong-Hoon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Chung-Ang University)
  • 임신재 (중앙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
  • 손승훈 (중앙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
  • 김민진 (중앙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
  • 강정훈 (중앙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 Received : 2008.01.15
  • Accepted : 2008.03.19
  • Published : 2008.03.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use of artificial nest boxes of tits in coniferous and deciduous forests from March to June 2006 and 2007. Tree species richness, tree species diversity and total basal area were higher in deciduous forest than in coniferous forest. Except the bush-ground layer (<1 m), the other vertical layers were more developed in deciduous forest. Varied tit Parus varius, marsh tit P. palustris, coal tit P. ater and major tit P. major used the artificial nest boxes in this study. Number of breeding pairs of tits were higher in deciduous than in coniferous forest. Clutch size, brood size and breeding success of coal tits were higher in coniferous forest. Brood size and breeding success of major tits were higher in deciduous forest. Characteristics of habitat and niche partition would be influenced on tits' use of artificial nest boxes. The more detailed researches on artificial nest boxes would be needed for management and conservation of birds.

본 연구는 침엽수림 지역과 활엽수림 지역에서 박새류의 인공새집 이용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각각 2006년과 2007년 3월에서 6월까지의 기간 동안 실시되었다. 두 지역에 생육하고 있는 수목의 종수, 종다양도지수, 흉고단면적은 침엽수림 지역에 비해 활엽수림 지역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엽층의 수직분포에 있어서도 지면에서 1m 이하의 엽층을 제외한 모든 엽층의 피도량이 활엽수림 지역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년에 걸쳐 두 지역에 설치한 인공새집에서는 곤줄박이, 쇠박새, 진박새, 박새가 번식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침엽수림 지역보다 활엽수림 지역에서 번식쌍수가 더 높았다. 진박새의 경우, 한배산란수와 한배새끼수, 번식성공률이 침엽수림 지역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박새는 한배새끼수와 번식성공률이 활엽수림 지역에서 더 높았다. 서식 환경 구조 및 박새류의 종간 니치(niche)에 따라 선호하는 서식지가 다른 것으로 판단된다. 다양한 서식 환경에 설치한 인공새집이 조류 군집 및 생태에 미치는 영향을 지속적으로 파악해야 할 것이며, 이를 통해 장기적으로 인공새집을 설치 및 관리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상욱, 우한정. 1987. 산림유익조류의 유치증식 시험(II) - 진박새의 생태. 임시연보 35: 123-129
  2. 박용수. 2003. 인공새집을 이용한 박새류의 임상별 번식 생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원병오. 1981. 한국동식물도감 제25권 동물편(조류 생태). 문교부
  4. 이우신. 1994.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새 백 가지. 현암사
  5. 이우신, 구태회, 박진영. 2000. 야외원색도감 한국의 새. LG 상록재단
  6. 이우신, 김상욱. 1996. 자연생태계와 훼손된 생태계에서의 야생조류의 인공새집과 먹이. 한국조류학회지 3: 43-50
  7. 이은재, 이우신, 임신재. 2006. 산불피해지 복원방법에 따른 설치류의 서식밀도 및 체중 차이. 한국임학회지 95: 365-369
  8. 임신재. 2006. 동물행동학. 살림출판사
  9. 임신재, 이우신. 1999. 활엽수 천연림 지역에서 서식지 구조에 따른 소형 포유류 개체군의 차이. 한국임학회지 88: 179-184
  10. 허위행, 임신재, 이우신. 2003. 산림 지역의 조류 군집에 대한 도로의 영향.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7: 1-8
  11. Alatalo, R.V., Eriksson, D., Gustafsson, L. and Larsson, K. 1987. Exploitation competition influences the use of foraging sites by tits: experimental evidence. Ecology 68: 284-290 https://doi.org/10.2307/1939259
  12. Hogstad, O. 1978. Differentiation of foraging niche among tits Parus spp. in Norway during winter. Ibis 130: 1-10
  13. Lee, W.S. 1990. Relationship between forest habitat structure and foraging niche of birds. Ph.D. thesis of Graduate School, Hokkaido University
  14. Matthew, R.E., Lank, D.B., Boyd, W.S. and Cooke, F. 2002. A comparison of the characteristics and fate of barrow's boldeneye and bufflehead nests in nest boxes and natural cavities. Condor 104: 610-619 https://doi.org/10.1650/0010-5422(2002)104[0610:ACOTCA]2.0.CO;2
  15. Miller, R.W. 1997. Urban forestry: planning and managing urban green space. 2nd eds. Prentice-Hall Inc
  16. Park, Y.S., Lee, W.S. and Rhim, S.J. 2004. Differences in breeding success of tits in artificial nest boxes between hog fat supplied and non-supplied coniferous forest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3: 383-387
  17. Park, Y.S., Lee, W.S. and Rhim, S.J. 2005. Influence of forest road on breeding of tits in artificial nest boxes. Journal of Forestry Research 16: 301-302 https://doi.org/10.1007/BF02858195
  18. Purcell, K.L., Verner, J. and Oring, L.W. 1997. A comparison of the breeding ecology of birds nesting in boxes and tree cavities. Auk 114: 646-656 https://doi.org/10.2307/4089284
  19. Rhim, S.J. and Lee, J.Y. 2005. Differences in artificial nest boxes use of tits between deciduous and coniferous forest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4: 338-341
  20. Rhim, S.J. and Lee, W.S. 2000. The relationship between habitat structure and breeding bird communities at deciduous forest in mid-eastern Korea. Japanese Journal of Ornithology 49: 31-38 https://doi.org/10.3838/jjo.49.31
  21. Svensson, L., Grant P.J., Mullarney, K. and Zetterstrom, D. 1999. Collins bird guide. Harper Collins Publishers
  22. van Balen, J.H. 1973. A comparative study of the breeding ecology of the great tit Parus major in different habitats. Ardea 61: 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