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books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통합 편성에 관한 국제 비교 연구: 한국, 미국, 영국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08.01.05
  • Accepted : 2008.02.22
  • Published : 2008.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elementary curriculum and textbook integration of social studies in Korea, USA, and England in terms of content integration and to make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Korean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books. For this study,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books of three different countr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three criteria: sequence, types and focus of integration. In this comparative study, five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improvement of the Korean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books. First, Korean social studies curriculum should have a subject focus at each grade level. Second, it is recommended that Korean social studies curriculum should present clear interrelations among geography, history, and civics at each grade level. Third, Korean social studies curriculum needs to have diverse criteria on which to select and organize themes. Fourth, Korean social studies textbooks need to have increased number of interdisciplinary large units. Fifth, it is necessary that the authors of Korean social studies textbooks integrate contents in consideration of students' life context in order to raise the relevance of the contents of history and geography.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부산대학교

References

  1. 강선주(2001). 캘리포니아 역사-사회과학 틀을 중심으로 본 최근 미국의 사회과 내용 구성 방향, 사회과교육학연구, 40, 5-26
  2. 곽병선(1983). 교육과정. 서울: 배영사
  3. 교육인적자원부(2007). 사회 3-1, 3-2, 4-1, 4-2, 5-1, 5-2, 6-1, 6-2.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4. 김대현.김석우(2005).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서울: 학지사
  5. 김재춘(2005). 듀이의 '교과의 심리화'와 '교과의 진보적 조직' 논의가 교육내용의 선정 및 조직에 주는 시사점 탐색, 교육과정연구, 23(2). 1-15
  6. 김정호(1998). 사회과 교과서의 모형, 김정호 외. 교과서 모형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98-8, 155-238
  7. 김정호(2005). 사회과 교육과정 개정 시안 연구의 방향과 결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사회과 교육 과정 개정 시안 연구 공청회, 연구자료 ORM 2005-58, 1-16
  8. 류재명(1997). 사회과 통합운영과 지리과 교육과정의 계열적 조직방안, 사회과학교육, 1. 55-82
  9. 류재택(2004). 사회과 교육과정 기초 연구. 한국 교육과정평가원. 교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자료 ORM 2004-29, 99-139
  10. 류재택 외(2004). 사회과 교육과정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04-4-5
  11. 박선미(2003). 사회과 내용의 통합 수준과 구성 방안, 사회과 교육, 42(2). 29-51
  12. 박순경(1997). 초등 저학년 통합 교과서 국제 비교 연구, 비교교육연구, 7(1). 1-18
  13. 박천환(2002). 교육과정 통합, 서울대교육연구소. 교육학대백과사전, 서울: 하우출판사, 523-530
  14. 손명철(1999). 중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통합 논의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하나의 대안, 지리환경교육, 7(1). 51-65
  15. 이영만(2003). 통합교육과정, 서울: 학지사
  16. 이명희.김명숙.양호환.이영민.조영달(2000). 사회과 교육 목표 및 내용체계 연구I. 한국교 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0-12
  17. 이진석(1997). 사회과 통합 교육과정의 국내외 동향에 관한 연구, 시민교육연구, 25. 327-346
  18. 전숙자(2006). 고등사고력 함양을 위한 사회과교육의 새로운 이해, 서울: 교육과학사
  19. 조윤호(2006). 사회과(초등) 교육과정의 개정 시안에 대한 토론. 허경철 외(편), 교육과정 개정 시안에 대한 전국 현장교사 대 토론회,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교육과정 연구소, 158-162
  20. 차경수(1998). 사회과 통합교육과정의 문제점과 해결 대안, 사회과학교육, 2. 71-96
  21. 최석진 외(2001). 사회과교육 목표 및 내용 체계 연구(II),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2. 최병모(2000). 제7차 사회과 교육과정의 통합적 운영방안, 사회과교육학연구, 4(1). 1-36
  23.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5). 사회과 교육과정 개정시안 연구 공청회, 연구자료 ORM 2005-58
  24. 황홍섭(2004). 초등사회과 교수법, 부산: 세종출판사
  25. Alleman, Janet & Brophy, Jere(1991). Is curriculum integration a boon or a threat to social studies? Research Series No. 204. ED337 388
  26. Berson, M. J., Howard, T. C. & Salinas, C.(2007). Harcourt social studies. Florida: Harcourt, Inc.
  27. Burns, R. C.(1995). Dissoliving the boundaries. 김대현 외(2001). 교과경계선 허물기, 서울: 학 지사
  28. Drake, S. (1993). Planning integrated curriculum. Alexandria, Va.: Association of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29. Drake, S. (1998). Creating integrated curriculum: Proven ways to increase student learning. Thousand Oaks, CA: Corwin Press
  30. Jacobs, H. (1989).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Design and implementation. Alexandria, Va.: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31. www.kncis.or.kr(교육과정정보 서비스)
  32. http://cutis.moe.go.kr/(교육부 교육과정, 교과서 정보 서비스)
  33. www.cde.ca.gov(미캘리포니아주 교육부)
  34. www.qca.org.uk (영국 자격인증 및 교육과정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