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nal Variation in Female Flowering of Larix leptolepis

낙엽송 클론의 암꽃 개화량 변이

  • Kim, In-Sik (Forest Seed Research Center,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im, Jong-Han (Forest Seed Research Center,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ang, Jin-Taek (Forest Seed Research Center,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Lee, Byung-Sil (Forest Seed Research Center,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김인식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종자연구소) ;
  • 김종한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종자연구소) ;
  • 강진택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종자연구소) ;
  • 이병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종자연구소)
  • Published : 2008.02.27

Abstract

The clonal variation in female flowering was studied in Larix leptolepis clone bank, consisting of 116 clones, for three years. The between-year variation was large; i.e. the percentage of flowering grafts and average number of flowering per graft were $28.4{\sim}67.2$ and $9{\sim}176$, respectively. Differences in flowering abundance among clones were larg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l the years studied. The variance of flowering abundance among clones was increased when flowering was poor. The average of broad-sense heritability of flowering abundance was 0.52. The genetic gain(%G) was estimated at 57.4% when the upper 30% clones were selected. The clonal stability of flowering abundance was compared using average number of flowering and coefficient of variance value of each clone. The clones such as Gyeonggi 9(29), Kangwon 37(137), Chungnam 6(46), Chungnam 14(414), R11, R8 showed abundant flowering and high stability.

낙엽송은 결실주기가 길고 개화결실이 불량하여 채종원에서 종자를 생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최근에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개화클론을 선발하여 채종원을 조성하는 방안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낙엽송 클론의 개화량 변이 조사, 유전모수 추정 및 안정성 분석을 통해 개화결실 특성이 우수한 클론을 선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암꽃 개화량 변이는 1980년부터 1984년에 걸쳐 조성된 강원 춘천 소재 낙엽송 클론보존원에서 2003년부터 2005년까지 116개 클론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도별 개체목의 개화율은 $28.4{\sim}67.2%$로 연년변이가 큰 젓으로 조사되었으며 개체목 당 평균 암꽃 개화수는 $9{\sim}176$개 범위였다. 클론간의 개화량 차이는 모든 조사연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개화가 불량한 해일 수록 변이폭이 큰 경향이었다. 암꽃 개화량에 대한 광의의 유전력은 평균 0.52로서 높게 나타나 강한 유전적 조절을 받고 있는 형질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개화량 순위 상위 30%의 클론을 선발했을 때 기대되는 개량효과(%G)는 57.4%로 추정되었다. 평균 암꽃 개화량과 변이계수를 이용하여 클론별 개화량의 안정성을 분석한 결과, 경기9(29), 강원37(137), 충남6(46), 충남14(414)와 일본산 R11, R8 클론이 평균 개화량이 많고 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암꽃 개화량이 많은 클론을 선발하여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낙엽송의 다개화클론 채종원을 효율적으로 조성하기 위해서는 수꽃 개화특성 조사 및 구과분석 등 추가적인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분포하는 다양한 퇴적층(수성화산기원퇴적층 포함)의 존재는 화산활동이 오랜 기간 동안 간헐적으로 진행되었으며, 저지대의 육지지형이 화산활동 및 퇴적작용에 의해 내륙에서 해안으로 점진적으로 확대되면서 만들어졌음을 지시한다. 특히 시추코어 화산암의 $^{40}Ar/^{39}Ar$ 절대연대 자료는 제주도 동부 저지대 지역 대부분이 IV와 V 화산활동기 동안 분출된 200Ka 이내의 비교적 젊은 화산암류로 이루어져 있음을 지시한다. 이는 제주도 화산활동 시기 및 지형 형성에 대한 기존의 연구와는 상이한 결과이며, 화산암류의 K-Ar절대연대 자료를 바탕으로 한 기존의 제주도 화산활동 시기 구분이 재고되어야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시추공에 근거한 화산 층서의 해석은 암석기재, 암석화학적 특징과 함께 절대연대 자료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한다.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퇴비원료로 이미 지정('02. 12. 31)된 제약오니 및 화장품 오니를 과량으로 토양에 시용한 후 유해 유기화합물, 미소동물, 미생물 및 생물학적(지렁이) 유해성 검정방법의 도입 가능성을 평가하기 거하여 고추를 재배한 포장에서 비료의 피해시험을 실시한 과 유해 유기화합물과 생물학적(지렁이) 유해성 검정방법은 앞으로 연구를 통해서 보완할 경우 상당히 활용 가능성이 있는 좋은 평가방법인 것으로 생각된다. 접촉 반응시간에 따른 탈착효율은 10분 이내에 전체 탈착량의 80%이상이 탈착 되었으며 1시간 이후에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장 내 B세포 및 T세포를 증가시켰으나, 마우스 흉선세포에 대해서는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ESMR은 마우스 섬유육종 세포에 대해 강한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냈다. FSa II를

Keywords

References

  1. Bilir, N., K. S. Kang and H. Ozturk. 2001. Fertility variation and gene diversity in clonal seed orchards of Pinus brutia, Pinus nigra and Pinus sylvestris in Turkey. Silvae Genetica 51: 112-115
  2. Erickson, G. 1968. Temperature response of pollen mother cells in Larix and its importance for pollen formation. Stud. For. Suec. 63: 1-131
  3. Hall, J. P. and I. R. Brown. 1977. Embryo development and yield of seed in Larix. Silvae Genetica 26: 77-84
  4. Kang, K. S. 2001. Genetic gain and gene diversity of seed orchard crops. Ph. D. Thesis. Swedish University of Agricultural Science, Umea, Sweden. Acta Universitatis Agriculturae Sueciae, Silvestria 187. pp. 75
  5. Kjaer, E. D. 1996. Estimation of effective population number in Picea abies (Karst.) seed orchard based on flower assessment. Scandinav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11: 111-121 https://doi.org/10.1080/02827589609382918
  6. Nikkanen, T. and S. Ruotsalaine. 2000. Variation in flowering abundance and its impact on the genetic diversity of the seed crop in a norway spruce seed orchard. Silva Fennica 34: 205-222
  7. Shin, D. and D. F. Karnosky. 1995. Factors affecting seed yield in Larix. J. Kor. For. Soc. 84: 207-217
  8. Stephen, D. R. 1991. Promotion of Flowering in Western Larch by Girdling and Gibberellin $A_{4/7}$ and Recommendations for Selection and Treatment of Seed Trees. Ministry of Forests, British Columiba, Canada, Research Note 105. pp. 13
  9. Weins, D., C. L. Calvin, C. A. Wilson, C. I. Davern, D. Frank and S. R. Seavey. 1987. Reproductive success, spontaneous embryo abortion and genetic load in flowering plants. Oecologia 71: 501-509 https://doi.org/10.1007/BF00379288
  10. 구영본, 현정오. 1995. Hedging 처리에 의한 낙엽송의 삽목 대량증식과 발근 유전력. 임육연보 31: 77-96
  11. . 1996. 낙엽송의 삽목발근에 관련된 물질 및 발근과정. 한국임학회지 85: 300-308
  12. 국립산림과학원. 2006. 임국립산림과학원. 2006. 임목육종50년. pp. 48-57목육종50년. pp. 48-57
  13. 김규식, 권혁민, 심상영, 김영중. 1989. 낙엽송 종자생산에 미치는 수령과 기상인자의 영향. 임육연보 25: 41-47
  14. 김영모, 송원섭, 김원우, 이구연. 1985. 접목 8년생 일본잎갈나무의 착화습성. 임육연보 21: 141-145
  15. 김영숙, 홍순일, 윤정희. 2006. 낙엽송 원주상 소경목의 원목성상과 방부처리성. 목재공학 34: 52-60
  16. 김용욱, 김준철, 윤양, 노의래. 1999. 낙엽송(Larix leptolepis) 성숙배로부터 부정아 유도 및 식물체 재분화. 식물조직배양학회지 4: 251-257
  17. 박상범. 2000. 낙엽송 마루판재의 표면강화 처리기술 개발(II). 목재공학 28: 28-35
  18. 신동일. 1996. 온실에서 자라는 낙엽송의 접목묘와 야외에서 자라는 실생묘로부터 개화유도. 한국임학회지 85: 532-538
  19. 안기완. 1997. 낙엽송 간벌재의 활용시스템에 관한 연구. - 일본 북해도 하천정 산림조합을 대상으로 -. 산림경제연구 5(2): 80-88
  20. 이위영, 정덕영, 장석옥, 박문한. 1995. 낙엽송 채종원의 다량착과 현상과 그 원인 규명. 임육연보 31: 61-67
  21. 정덕영, 이경준. 1994. 삽수의 클론, 모수령, 채취부위 및 발근 촉진제가 낙엽송의 삽목발근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학회지 83: 205-210
  22. 한상억, 박유헌, 송정호, 구영본, 김장수. 2001. 낙엽송자.웅화의 개화특성. 한육지 33: 181-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