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Gender Equity within Family and Second Birth

둘째 출산 계획의 결정요인과 가족내 성 형평성

  • Published : 2008.04.25

Abstract

This research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equity within family and second birth in Korea. For a factor analysis on the intention of having additional children for women with one child, I have used the data from the 2005 National Survey on Marriage and Fertility Trend" of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mong 516 samples(year of 20-44), women planning to have second birth are 54.7%, and others have answered that they have no intention to have second birth. As a result, main causes affecting progressing to second birth seemed to be family planning on family cycle, such as controlling age gaps between first and second child, composing children genders as they wish etc. The variable of "gender equity between couples" in progressing to second birth are of significant only with married working women group. In case of married working women, more the husband's houseworking hours increase, the more prone to progress to second birth. However, in case of housewives, gender equity level, such as husband's housework hours or share of housework are not of significant influence in progressing to second birth. Not only working mothers but also housewives need the realization of gender equity within the family and the expansion of social support system for work-family life balance.

이 글은 한국사회 가족내 성 형평성과 둘째 출산과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한국 사회 초저출산 현상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고 정책적 이론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는 데 연구목적이 있다. 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5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전국 결혼 및 출산동향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조사 당시 한 자녀를 둔 20-34세 기혼 여성의 둘째 출산 계획에 대한 로짓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대상 516명 가운데 둘째 출산을 할 의향이 있는 여성들은 54.7%, 282명이었다. 분석결과 여성들의 둘째 출산 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는 '자녀 터울 조절'과 '원하는 자녀 구성' 등 가족주기상의 가족계획으로 나타났다. 총가구원수가 많을수록 (90% 유의도 수준), 첫째 자녀의 성이 여아일수록 둘째 출산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여성들의 둘째 출산 계획에, 가족내 부부의 '성 형평성 요인'은 기혼 취업 여성에게서만 의미 있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기혼 취업 여성의 경우 남편의 가사노동시간이 증가할수록 둘째 출산에 더욱 적극적이었다. 그러나 전업주부의 경우 남편의 가사노동시간이나 가사분담률과 같은 부부간성 형평성 정도는 그들의 둘째 출산 계획에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았다. 전업주부의 경우 둘째 출산 시기를 앞당김으로써 자녀양육기간을 단축하고 이후 재취업을 꾀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결국 가족내 성 형평성 여부가 둘째 출산 계획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기혼취업여성이나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전업주부여성 모두 일과 가족생활의 양립이 어려운 상황에서 개별적인 생애전략을 취하고 있으며 일 가족생활 양립을 위한 가족내 성 형평성 증대와 사회적 지원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수미 (2005) 가족내 젠더구조와 저출산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 박수미 (2007) "한국고령자의 생활시간 사용에 있어서의 젠더 차이: 일, 무급가족노동, 여가를 중심으로" 여성연구 1
  3. 은기수 (1995) "결혼으로 이행에 있어서 연령규범과 순서규범" 한국인구학 (18)1: 89-117
  4. 이삼식외 14인 (2005) 저출산 원인 및 종합대책 연구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한국보건사회연구원
  5. 이재경.조영미.이은아.유정미 (2005) 저출산의 젠더 분석 및 정책 대안 연구 고령화및미래사회위원회, 보건복지부
  6. 장혜경 외 13인 (2003) 전국가족조사 및 한국가족보고서 여성부
  7. Brewster, K. L. & R. R. Rindfuss (2000) "Fertility and women's employment in industrialized nations" Annual Review of Sociology 26: 271-296 https://doi.org/10.1146/annurev.soc.26.1.271
  8. Chesnais, J.-C. (1996) "Fertility, family, and social policy in contemporary Western Europe"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22(4): 729-739 https://doi.org/10.2307/2137807
  9. Folbre, N. (1997) "The Future of the elephant-bird"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23(3): 647-654 https://doi.org/10.2307/2137581
  10. Hochschild, A. R. (1989) The second shift New York: Viking
  11. Kunzler, J. (2002) "Path towards a modernization of gender relations, policies, and family building" in Family Life and Family Policies in Europe edited by Schulze, H-J, et. al.,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2. Lehrer, E. & M. Nerlove (1986) "Female labor force behavior and fertility in the United States" Annual Review of Sociology 12: 181-204 https://doi.org/10.1146/annurev.so.12.080186.001145
  13. McDonald, P. (2000) "Gender equity in theories of fertility transition"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26(3): 427-430 https://doi.org/10.1111/j.1728-4457.2000.00427.x
  14. Morgan, S. P. (2003) "Is low fertility a twenty-first-century demographic crisis?" Demography 40(4): 589-603 https://doi.org/10.1353/dem.2003.0037
  15. Rindfuss, R. R. & K. L. Brewster (1996) "Childrearing and fertility"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22(Suppl.): 258-289 https://doi.org/10.2307/2808014
  16. Torr, B. M. & S. E. Short (2004) "Second births and the second shift: a research note on gender equity and fertility"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30(1): 109-130 https://doi.org/10.1111/j.1728-4457.2004.00005.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