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election and Stability of Slings and Lugs of Mobile Cranes

이동식 크레인의 슬링.러그 선정 및 안정성 검토 연구

  • 김선국 (경희대학교 토목건축대학 산학협력기술연구원) ;
  • 서종민 (경희대학교 건축공학과) ;
  • 호종관 (삼성물산 건설부문 기술본부 TA팀)
  • Published : 2008.12.31

Abstract

As buildings become larger, higher and more complex in most construction sites, construction projects have to deal with transportation of more materials, labor and equipment, necessitating more use of construction equipment. Notably, in the high-rise building and plant construction projects mobile cranes are adopted more frequently among different types of construction machinery, which also results in serious industrial accidents relating to the use of crane. To reduce serious industrial accidents involving cranes, researches on its stability is in need. The research herein aims to study how to select sling and lug of mobile crane and review its stability. The research outcomes herein will make considerable contributions to selecting mobile cranes efficiently and ensuring their stability.

건축공사의 규모가 대형화, 고층화, 복잡화됨에 따라 자재, 노무, 장비 등의 물류량의 증가로 건설장비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고층빌딩 신축 및 공장건설 등으로 건설장비 중 이동식 크레인의 사용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이동식 크레인의 사용 증가와 함께 크레인 관련 중대재해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크레인 관련 중대재해사고를 줄이기 위해서 안전성 검토를 위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시된다. 본 연구는 이동식 크레인의 슬링 및 러그의 선정과 안정성 검토를 위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이동식 크레인의 효율적인 선정과 작업안정성 확보에 큰 기대효과를 가질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원기, 크레인 사망 재해 실태와 안전대책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석사논문, 2003
  2. 김홍현, 이강, 크레인 관련 중대재해사례를 통한 재해 유형및 원인 분석.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기술논문발표대회 논문집, 제7권 제1호, 한국건축시공학회, p.p. 109-112, 2007
  3. 김홍현, 이강, FEMA기법을 활용한 크레인 관련 중대재해의 정량적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논문집, 통권25호, 한국건축시공학회, p.p.115-122, 2007 https://doi.org/10.5345/JKIC.2007.7.3.115
  4. 김훈, 고층 건축공사의 리프트 선정 의사결정 모델에 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논문, 2000
  5. 이명구, 노민래, 기초앵커 불량시공에 따른 타워크레인 사고의 원인분석, 한국산업안전학회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산업안전학회, p.p.411-416, 2000
  6. 이병구, 설종협, 타워크레인 설치계획 및 구조보강 방법 소개, 건설기술.쌍용 여름호, 제23권, p.p.32-37, 2002
  7. 이삼석, 고층 건축공사의 타워크레인 계획 Process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논문, 2006
  8. 한국산업안전공단, KOSHA CODE G-8. 산업재해 기록. 분류에 관한 지침. p.p.23-27. hppt;//www.kosha.or.kr, 2007
  9. 허담, 이덕찬, 손창백, 신현식, 고층 건축공사의 양중계획 최적화 방안에 관한 연구(1),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구조계), 제14권 제2호, 대한건축학회, p.p. 779-784, 1994
  10. 호종관, 이동식크레인 선정과 안정성검토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 건축, 제51권 제1호, 대한건축학회, p.p.91-9, 2007
  11. 호종관, 국동훈, 김선국, 건설현장의 조건을 고려한 최적 타워크레인 선정시스템,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8권 제6호, p.p. 216-226, 2007
  12. 호종관, 서종민, 김선국, 이동식 크레인 접지설계 시스템,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제7권 제6호, p.p.83-90, 2007
  13. 대성건설주식회사, 항타기의 전도방지지침
  14. 삼성건설, OptiCRANE-MC(모바일크레인 안정성 검토 프로그램)사용자 설명서
  15. 강구조가설설계지침, 토목학회편
  16. 강도로교시공편람, 일본도로협회
  17. 가설구조물의 해설, 가설문화사
  18. 삼성건설, 핵심구조상식(1999-2004)
  19. 사단법인 일본건설기계화 협회, 이동식 크레인, 항타기 등의 지지지반 양생 매뉴얼, 2000
  20. DSR Sling Hand Book, DSR 주식회사
  21. DSR Wire Rope Hand Book, DSR 주식회사
  22. Aviad Shapira, Jay D. Glascock, Culture of Using Mobile Cranes for Building Construction. J.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22 N.4, ASCE, p.p. 298-307, 1996 https://doi.org/10.1061/(ASCE)0733-9364(1996)122:4(298)
  23. Aviad Shapira, Gunnar Lucko, Clifford J. Schexnayder Cranes for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 J.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31 N.6, ASCE, p.p. 690-700, 2007
  24. Leonard E.Bernold, Steven J.Lorenc, Erik Luces, Intelligent Technology for Truck Crane Accident Prevention, J.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23 N.3, ASCE, p.p. 278-284, 1997
  25. Mohamed AL-Hussein, Sabah Alkass, Osama Moselhi, Optimization Algorithm for Selection and Site Location of Mobile Cranes, J.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31 N.5, ASCE, p.p. 579-590, 2005 https://doi.org/10.1061/(ASCE)0733-9364(2005)131:5(579)
  26. Satoshi Tamate, Naoaki Suemasa, Toshiyuki Katada, Analyses of Instability in Mobile Cranes due to Ground Penetration by Outriggers, J.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31 N.6, ASCE, p.p. 689-704, 2005 https://doi.org/10.1061/(ASCE)0733-9364(2005)131:6(689)
  27. Akintola Omigbodun, Value Engineering And Optimal Building Projects, Journal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Vol. 7, No. 2, 2001
  28. Angela Palmer, John Kelly, and Steven Male, Holistic Appraisal of Value Engineering in Construction in United States, J. Constr. Engrg. and Mgmt. 122, 324-328, 1996 https://doi.org/10.1061/(ASCE)0733-9364(1996)122:4(324)
  29. Hyundai E&C, Value Engineering Study Report, 2000
  30. J.J O'Brien. Value Analysis in Design Consturction, 1996
  31. Maral Papazian Bedian, Value Engineering and its Rewards, Leadership and Management in Engineering, Vol. 2, No. 2, 2002
  32. Matthew J. Liberatore, Bruce Pollack-Johnson, and Colleen A. Smith, Project Management in Construction: Software Use and Research Directions, J. Constr. Engrg. and Mgmt. 127, 101-107, 2001 https://doi.org/10.1061/(ASCE)0733-9364(2001)127:2(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