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ject & Parameter based Schematic Estimation Model for Predicting Cost of Building Interior finishings

오브젝트-파라미터기반 건축마감공사비 개산견적 모델

  • 구교진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 ;
  • 박성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 박성철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 송종관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Published : 2008.12.31

Abstract

For deciding the profitability and feasibility of the construction project, the schematic estimation has to not only link the design decision-making but also estimate the cost with reliability. The prototype-based schematic estimation system was developed for easily linking with design-making and supports to evaluate the design alternatives in the design development stage but didn't consider the cost estimated by parameter and additional work items by users. This research presents the object-parameter based schematic estimation model in the design development stage that can lead to accurately estimate the cost by using historical data from the high-storied office buildings. For the development of the proposed model for schematic estimation, after analyzing and classifying the work items from the Bills of Quantities(BOQs) and drawings of historical data, this research proposed the methods of estimating cost in accordance with attributes of each work item. In addition, a case study is performed for the effectiveness as comparing the previous estimating method with the proposed model.

건설 프로젝트의 수익성 및 타당성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으로 설계초기단계에 활용되는 개산견적은 설계의사결정 업무와 밀접한 연계성을 가지고 수행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견적결과를 도출해야 한다. 설계초기단계에서 설계자의 의사결정 지원과 설계변경에 대한 즉각적인 대처를 위해 프로토타입기반 개산견적 시스템이 개발되었지만, 파라미터에 의해 산정되는 공사항목 및 사용자에 의한 추가공사에 대한 공사비 고려가 미흡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견적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실제 고층 오피스 빌딩 프로젝트의 실적자료 분석을 통해 기본설계단계에서 오브젝트-파라미터기반 건축마감공사비 산정 모델(Object & Parameter based Schematic Estimation Model, OPSEM)을 개발하였다. 모델 개발을 위해 공사비 내역서, 도면으로부터 얻은 작업항목에 대한 정보를 분석 및 분류하고, 각 작업항목 속성에 맞는 공사비 산정 방식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실무 효용성 검증을 위해 유사 사례 프로젝트를 바탕으로 기존의 견적방식과 제시된 모델을 활용한 견적방식의 오차율을 분석하여 정확도 비교를 실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홍, 박찬식, 장선호 (2005). "고층 사무소건축의 공사비 계획을 위한 웹 기반 개산견적 프로그램."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6(2), pp. 69-74
  2. 김해곤, 박성철, 구교진, 홍태훈, 현창택 (2007)." 프로토타입 기반 기본설계단계 건축마감공사비 산정 모델."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8(2), pp. 110-118
  3. 구원용, 김정곤, 이준석, 박형근 (2007)." 공공건축물의 초기공사비 산정방법 연구."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8(6), pp. 261-262
  4. 박효열, 송용식, 김선국 (2004)." 공동주택 실적공사 표준 DB를 이용한 COST MODEL."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5), pp. 136-138
  5. 손보식, 이현수, 김성태 (2007). "영향변수에 따른 수량변화 분석을 이용한 기본설계단계의 개산견적 모델 개발."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8(2), pp. 155-157
  6. 전재열 (2003)." 실적자료 분석에 의한 적정 공사비 산정방법의 전산화 알고리즘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4(4), pp.192-194
  7. Adrian, J. (1993). Construction estimating an accounting and productivity approach, 2nd Ed. Stipes Publishing Company
  8. Hartgen, D. T., Bowman, V. B., and Horner, M. W. (1997). "Baseline market forecasts for state highway construction engineering, maintenance and administration programs 1997-2001."Transportation Publication, 151, Center for Interdisciplinary Transportation Studies, Univ. of North Carolina, Charlotte, N.C., U.S.A
  9. Hartgen, D. T., and Talvitie, A. P. (1995)." Comparative performance of transportation systems: Pitfalls and prospects." Proceedings of World Conference on Transit Research, Sydney, Australia
  10. Hegazy, T. and Ayed, A. (1998). "Neural network model for parametric cost estimation of highway projects."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ASCE, 124(3), pp. 210-218 https://doi.org/10.1061/(ASCE)0733-9364(1998)124:3(210)
  11. Herbsman, Z. (1986). "Model for forecasting highway construction cost."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056,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Washington D.C., U.S.A., pp. 47-54
  12. Koppula, S. D. (1981)." Forecasting engineering costs: Two case studies." Journal of Construction Division, ASCE, 107(4), pp. 733-743
  13. Staub-French, S., Fischer, M., Kunz, J., and Paulson, B. (2003). "A generic feature-driven activity-based cost estimation process." dvanced Engineering Informatics, Elsevier, 17(1), pp. 23-39 https://doi.org/10.1016/S1474-0346(03)00017-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