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logical Restoration Plan for a Small Scale Public Construction Area - A Case Study on Ilsan Water Treatment Plant, Goyang-Si -

소규모 공공시설 개발 사업지의 생태적 복원 연구 - 고양시 일산정수장 조성예정지를 사례로 -

  • Published : 2008.02.29

Abstract

This research is to apply suitable natural ecosystem evaluation criteria in order to develop the ecosystem conservation, restoration and ways to build substitute habitats as a compensation plan for damaged soundly natural ecosystems in small-scale projects such as resource recovery facility, filtration, etc. The environmental ecology evaluation i.e. generally based on their actual vegetation, community structure, wildlife, water system survey were measured the primary plans for reflecting unique natural environment level of site.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conserve the land in fallow type of wetland, good conservative condition of deciduous forest, wetlanded watercourse for amphibia and reptiles crossing. However, the plan of filtration plant was destroyed wetland(sound ecosystem), natural forest, asian toad spawning area. According to the result of it schemed to build alternative wetland and spawning area, plan to healthy ecosystem and surface soil transplantation as compensation plan. The alternative wetland and spawning area are not only created a various water levels like depth of water is $0{\sim}30cm,\;30{\sim}60cm$, more than 1.5m but also it leads to asian toad spawning and wildlife inhabitant. Moreover, the ecosystem and surface soil transplantation be applied to use the Quercus acutissima forest resources(114 upper trees, 71 canopy trees, 401 shrubs) and surface soil$(5,072m^3)$ in ecology creation sets.

Keywords

References

  1. 강인구(1996) 자연생태계의 현황과 관리. 환경영향평가 5(2): 7-20
  2. 구본학(2003) 묵논에 형성된 자운늪의 유형분류 및 기능 평가.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6(1): 65-70
  3. 구본학 (2004) 건설관리 사업의 생태보전 및 복원 전략-댐 사업을 중 심으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7(3): 1-13
  4. 국토연구원(2002) 국토계획과 환경계획체계의 연계방안 연구
  5. 권기전, 이보아, 변채호, 남종민, 김재근(2006) 습지식물의 적정 서식 환경: 1. 줄과 애기부들.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9(1): 72-88
  6. 권전오(2003) 환경친화적인 택지개발계획 수립을 위한 환경생태평가 기법 활용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김귀곤, 조동길, 김남춘, 민병미(2000) 도시림 복원 및 관리 기술의 개 발에 관한 연구-원식생 복원과 생물다양성 증진을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3(1): 27-37
  8. 김민배(2004) 연안에서의 Mitigation 적용상의 문제점과 법적과제. 공법학연구 5(2): 519-549
  9. 김정호 (2001) 친환경적 개발을 위한 환경성검토 강화방안. 서울시립대 학교석사학위논문
  10. 김종식(2006) 리조트 개발에 의한 산림훼손예정지역의 생태적 대체기법 연구 - 원주시 월송리 오크밸리 리조트를 대상으로 -.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김종원(2004) 녹지생태학. 서울: 월드사이언스
  12. 김혜주, 조수경(1998) Hemeroby 를 이용한 자연환경평가 및 환경계획 -LG빌리지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2(3): 253-258
  13. 나정화(1997) 한.독간의 자연환경보전법 비교분석 I. 환경정책 5(1) : 69-91
  14. 남상준, 여환주, 최재용, 김남춘(2004) 산림표층토를 활용한 비탈면 생 태복원녹화에 관한 연구(I).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7(4): 110-119
  15. 류순호(2000) 토양학사전. 서울대학교출판부
  16. 박미영, 임유라, 김귀곤, 주영우(2006) 유휴농경지에서 발생되는 습지 의 현황 및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9(2) : 1-15
  17. 박종민(2002) 일본 구주대 신캠퍼스 개발지구에 적용된 개발훼손지의 원생림 복원기술에 관한 고찰.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5(3) : 50-57
  18. 서울특별시(2000) 도시생태 개념의 도시계획에의 적용을 위한 서울시 비오톱 현황조사 및 생태도시 조성지침 수립 1차년도 연구보고서-. 245쪽
  19. 안홍규 역(2003) 생태공학. 청문각
  20. 양병이, 이관규(2002) 단지규모 개발사업의 지속가능성 평가지표-계획 및 설계단계에서의 아파트단지의 환경적 지속가능성평가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37(5): 27-37
  21. 양서영, 김종범, 민미숙. 서재화, 강영진(2001) 한국의 양서류. 아카데미서적
  22. 양홍모 (2003) 고수부지에 조성한 수질정화 자유수면습지의 초기운영 단게 질소제거.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6(6): 41-48
  23. 오구균, 권태호, 배중남, 박석곤(2003) 자생 수목 그루터기를 이용한 자 연식생복원 녹화공볍 연구(I).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6(5) : 28-39
  24. 이경재, 한봉호 이수동(2004) 서울 남산도시자연공원의 비오톱 구조 및 생태적 관리방안. 한국조경학회지 32(5): 102-118
  25. 이수동(2007) 택지개발지구에서의 비오톱 평가에 기초한 환경생태계 획 기법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4(6): 22-38
  26. 이은엽, 문석기(2001) 생태연못 조성공법 적용후의 자연생태 변화분석.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4(1): 1-15
  27. 이은희(2001) 빗물을 이용한 소규모 생태연못 및 습지 모형 개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4(2): 92-100
  28. 최기철(1973) 기초생태학. 향문사
  29. 최송현(1996) 산림생태계의 환경영향평가기법에 관한 연구-녹지의 자 연성평가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최진우(2004) 녹지축의 야생조류 이동과 서식처 기능강화 방안.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2002) 보전관리지역 등의 지정기준 및 협의 방안에 관한 연구
  32. 홍선기. 강호정, 김은식, 김재근, 김창희, 이은주, 이재천, 이점숙, 임병선, 정연숙, 정흥락(2005) 생태복원공학-서식지와 생태공간의 보전과 관리-. 라이프사이언스
  33. 金子繁則, 丸山一子, 草野保(1990) テレトリー法によるアズマキガ工ルの繁殖後の分散に관する硏究. 爬蟲兩棲類學雜誌 13(4): 139-153
  34. 葉山嘉一(1994) 都市綠地における鳥類の生息特性に關する研究. 造園雜誌 57(5): 229-234
  35. 長田光世(1997) 生態環境のまちづくり. In三船康道
  36. まちづくりコラポレーシヨソ(1997) . まちづくりキーワード事典. 188-201. 學芸出版者. 京者
  37. Iverson, L. R. and M. K. Wali(1982) Buried, viable seeds and their relation to revegetation after surface mining. Journals of Range Management 35(5): 648-652 https://doi.org/10.2307/3898656
  38. McIntosh, R. P.(1986) The Background of Ecology-Concept and Theor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9. Ronald, E. B. and I. H. Albert(l993) Mastering NEPA: A Step by Step Approach, Solano Press Books. 244p
  40. Sukopp, H. and S. Weiler(1986) Biotopkartierung irn besiedelten bereich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Landschaft+stadt 18(1) : 25-38
  41. Wade, G. L.(1989) Grass competition and setablishment of native species from forest soil seed banks. Landscape urban in the soil. Journal of Ecology 78(4): 1079-1093
  42. Helliwell, D. R. (1969 ) Valuation of wildlife resources. Regional Studies 3: 41-47 https://doi.org/10.1080/09595236900185051
  43. Kirby. K. (1986) Forest and woodland evaluation. In M. B. Usher. ed., Wildlife Conservation Evaluation. New York: Chapman and Hall Ltd. pp. 201-222
  44. Ratcliffe, D. A. (1971) Criteria for the selection of nature reserves. Advancement of Science, London 27: 294-290
  45. Wittig, R. and K. Schreiber(1983) A quick method for assessing two importance of openspace in town for urban nature conservation. Biological Conservation 26: 57-64 https://doi.org/10.1016/0006-3207(83)9004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