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Analysis and Improvement of Cultural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현황 분석과 활성화 방안

  • Published : 2008.03.31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lead to facilitating schemes of cultural program in public libraries. In order to present schemes, We analyzed status of operating cultural programs in domestic and outside the country. Research methods are literature investigation, survey and case analysis.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facilitating for cultural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is presented five schemes. We would like to us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s basic data for supporting policy of cultural program in public libraries.

이 연구는 현재 실시되고 있는 국내 외 공공도서관의 문화프로그램 현황을 조사, 분석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해 사용한 연구방법은 문헌연구, 설문조사, 사례분석을 주로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타당성 검토와 활성화 방안 모색을 위해 전문가회의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도서관 문화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으로는 다섯 가지를 제안하였다. (1) 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정체성 확립과 국가수준의 독서문화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2) 특수 공공도서관 및 타 문화 및 교육시설과의 연계 및 협력 프로그램 개발, (3) 지역별 특화 프로그램의 개발, (4) 소외계층 대상별 전문화된 프로그램 개발, (5) 사서의 역량강화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문화관광부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문화향수실태조사(2006), p.iv.
  2. 이 연구에서는 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큰 축을 차지하고 있는 평생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선행 연구 분석은 제외하였다. 그 이유는 평생교육 관련 선행연구에서 맥락에 따라서는 문화프로그램과 동일한 개념으로 평생교육프로그램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엄밀히 보면 이 연구에서 평생교육프로그램을 강좌형태의 문화프로그램의 일부로 간주한 것과 같이 평생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연구가 수행된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평생교육프로그램은 문화프로그램의 일부로 간주하였으며, 문화프로그램 선행연구물은 논제에 문화프로그램 혹은 문화행사, 문화예술교육 등이 포함된 연구물만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3. 김은정,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4. 권남익, 公共圖書館의 文化行事 實態 및 活性化에 關한 硏究: 광주.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全南大 大學院, 1996
  5. 문정수, 공공도서관 여성 문화프로그램의 효율적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숙명여자대학교 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6. 김도연, 공공도서관의 사회교육적 기능을 위한 문화프로그램 고찰: 아동 및 청소년의 문화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998)
  7. 이경민, "공공도서관의 문화프로그램 및 독서활동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제34권, 제4호 (2003. 12), pp.127-151
  8. 김홍렬, "지역주민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문화 및 교육적 기능 확대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제35권 제4호(2004. 12), pp.339-360
  9. 박온자, "공공도서관의 청소년서비스에 관한 연구: 미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9권, 제2호(2005. 6), pp.4-33
  10. 진주헌, 공공도서관 노인 봉사 프로그램의 인식에 관한 조사 연구, 전북대 대학원. 2005
  11. 이소연, "지역사회 주민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문화 서비스 활성화 방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8권, 제3호 (2004. 9), pp.23-43
  12. 박미영, "공공도서관 특화서비스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독서활성화 방안,"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제38권, 제1호(2007. 3), pp.315-339
  13. 조찬식. 노승희,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지역간 균형 발전에 관한 연구," 도서관, 통권 제356호(2000. 9), pp.41-66
  14. 심효정, 이용훈, "공공도서관을 활용한 공교육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모색,"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제34권, 제4호(2003. 12), pp.3153-177
  15. Library Journal지는 1970년부터 'Program' 소식란(1976년 5월부터 'Program Alert'로 개칭됨)을 두고 각 도서관에서 실시하는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있다
  16. Davis D. W., Public Libraries as Culture and Social Center: The Origoin of the Concept(Metuchen, N. J. ; scarecrow Press, 1974), p.24
  17. 이용남. "문화 매체로서의 공공도서관". 월간 문화예술, 통권 128호(1990. 3), pp.5-6
  18.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문화발전연구소. 도서관발전정책 및 행정체계 개선방안 연구. 1993. p.99
  19. 도서관법 2006.12.20. 법률 제8069호
  20. 허선. "도서관은 왜 문화프로그램을 개설하는가," 시민과 도서관, 제3권, 제2호, 통권27호(2002), pp.37-38
  21. 문화예술진흥법. 2002.1.12. 법률 제6132호, 제14조
  22. 문화관광부. 2003 문화정책백서. 2004. p.158
  23. 헨리시 켐벨, 공공도서관 개발론, 이병목 역(서울 : 구미무역, 1990), p.169
  24. 첫쨰, 지역사회 주민들이 요구하는 문화예술 정보를 제공한다. 둘쨰, 지역사회에 예술을 위한 공연 및 전시시설과 장소를 제공한다. 셋째, 지역사회의 여러 기관 또는 단체 속에서 예술프로그램 조정을 돕는다. 넷째, 지역사회를 위한 여러 다른 문화센터와 네트웤을 형성한다. 다섯째, 인본주의적 관점에서 공공의 문제를 사고하도록 지역사회 주민들을 자극한다. 여섯쨰, 지역주민들의 예술경험에 필요한 기초적인 감상 및 이해능력(Cultural Literacy)을 발전시킨다(Margaret E. Monroem The Cultural Role of the Public Library, Advances in Librarianship, Vol.11,(New York: Academic Press, 1981), pp.11-14)
  25. 전국사서협회, 도서관자료집(1), 공공도서관편(서울 : 신학문사, 1991), p.119
  26. J. Robotham & L. LaFleur. Library Programs: How to Select Plan and Produce Them. Metuchen,(N. J., Scarecrow Press, 1976). pp.vii-viii
  27. 圖書館情報學 ハソドプック. 圖書館情報學 ハソドプック(東京 : 善株式會社, 1988), p.806
  28. 한국도서관협회, 공공도서관시설(서울 : 동협회, 1966), p.46
  29. 이용남. "문화 매체로서의 공공도서관". 월간 문화예술, 통권 128호(1990. 3), pp.5-6
  30. Willson P., A Community Elite and the Use in Information in Leadership(Westport : Greenwood Press, 1977), pp.15-16
  31. 학교문화예술교육 사업을 위해 예술강사 사업을 4000개가 넘는 학교에 지원하고 있고, 학교와 지역의 공공문화 기반시설을 연계하는 사업이나 학교의 문화교육적 리모델링을 위한 프로그램 지원을 실시하고 있다. 사회문화예술교육 사업으로는 지역의 문예회관의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사업, 사회적 취약계층과 소수자들의 문화적 감수성을 위한 프로그램 지원 사업 등을 실시하고 있다. 이외에 문화예슐교육의 해외 교류사업,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의미 확산을 위한 홍보와 공감사업들을 실시하고 있다
  32. 동아일보, 2001년 11월 21일자
  33. 동아일보, 2002년 1월 10일자
  34. 이용통계는 도서관을 이용할 때마다 이용자 편익이 발생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진정한 양적 평가가 불가능하며, 성과측정법 역시 도서관의 가치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정혜경, 정은주. "공공도서관의 가치평가를 위한 가상가치평가법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24권, 제1호(2007. 3), p.188)
  35. 가상가치평가법은 생태계나 환경 서비스 등 여러 분야에 광범위하게 적용되어온 방법으로 방법으로 비시장 재화의 가치에 대한 가상적인 상황이나 시장을 설정하여 이용자의 지불의사(willingness to pay: WTP)를 조사하는 방법이다(상게논문, 같은 면)
  36. 이에 대한 구체적인 조사과정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37. <표 3>에서 굵은 고딕으로 표시된 항목만 본 연구에서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38. 구체적인 현황은 황금숙 외, 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지원방안 연구, 문화관광부, 2007, pp.66-69 참조 바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