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ramework Model for Software Productivity Enhancement In Object-Oriented Environment

객체지향 환경에서 소프트웨어 생산성 향상을 위한 프레임워크 모델

  • 김영규 (한림성심대학 인터넷비즈니스과) ;
  • 양해술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
  • 최형진 (강원대학교 컴퓨터과학과)
  • Published : 2008.12.31

Abstract

Recently, OOM(Object-Oriented Method) access method which begins to apply to software development is emphasizing development cost and time reduction through independent software reuse. But because of planning to the exclusion of the lack of knowledge and expansion or performance for development technology many problems are coming out. Therefore, this thesis suggests Effective Object-Oriented Modeling methods considering the plan for higher productivity enhancement of software in the software development life cycle. Effective Object-Oriented Modeling method includes, methods, Use Case modeling methods, Analysis Modeling methods, Design Modeling methods and others. This thesis suggests Framework model method read in characteristics as follows. First, suggestion about effective object-oriented standard model development, Second, retrenchment of software development or maintenance cost, Third, solution about uncertain problems of projects in line with the application of new technology.

최근 소프트웨어 개발에 적용하기 시작한 객체지향 방법(OOM:Object-Oriented Method)은 독립적인 소프트웨어의 재사용을 통한 개발 비용과 시간의 단축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개발 기술에 대한 지식 부족과 확장성 및 성능을 배제한 설계로 많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개발 생명주기에서 소프트웨어 생산성 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객체지향 모델링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 방법은 Use Case 모델링, 분석 모델링, 그리고 설계 모델링 방법들을 포함하고 있다. 제안한 프레임워크 모델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첫째, 효율적인 객체지향 표준 개발모델 제안, 둘째, 소프트웨어 개발 및 유지보수 비용의 절감, 셋째, 신기숱 적용에 따른 프로젝트의 불확실한 문제 해결 등이다.

Keywords

References

  1. Kim, Soo Dong; Lessons Learned from a Nation-wide CBD Promotion Project,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45, Issue.10, pp.83-87, Oct. 2002.
  2. 김영희; 프로세스와 산출물을 통합 관리하고 웹서비스를 수용하는 CBD 도구 모델, 박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2005.
  3. 정연대, 임진수, 오연재; S/W 컴포넌트 조립도구기반 조립방법론 연구, 한국정보처리학회, 제10권, 제3호, pp.74-88, 2003.
  4. Erich Gamma, et al; Design Patterns:Abstraction and Reuse of Object-Oriented ECOOP'93, pp.406-421, July 1993.
  5. J. Cheesman and J. Daniels; UML Components : A Simple Process for Specifying Component-Based Software, Addison-Wesley, 2000.
  6. J. Rumbaugh, Ivar Jacobson, Grady Booch; "The Unified Modeling Language Reference Manual, Second Edition.", Boston, MA:, Addison-Wesley, 2005.
  7. Rational Software Corporation; Rational Unified Process, 2002.
  8. Mikio Aoyma; New Age of Software Development : New Component-Based Software Engineering Changes the Way of Software Development, International Workshop on Component-Based Software, ICSE, 2003.
  9. 삼성SDS IT Review, CBD 동향 보고서; 2003년 상반기 기술 및 시장 동향 보고, 2003.
  10. 김영규; 소프트웨어 생산성 향상을 위한 프레임워크 설계:EOOM, 박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2008.2.
  11. LG CNS;분석 모델링 가이드, GIC-221-05, Ver.1.0
  12. LG CNS;유스케이스 모델링 가이드,GIC-22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