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udy on Undergraduates' Information Literacy Scale Development

대학생이 정보활용능력 척도 개발 연구

  • 이혜영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 남태우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Published : 2008.12.30

Abstract

This study is on information literacy standards and models analysis, which will be used as the source material to measure undergraduates' information literacy. After main areas and items that are analyzed with three standards and two models are proposed, finally item model(proposal) for scale development is proposed. It consists of six main areas and eighteen items. The scale development item model(proposal) proposed in this study will be used as the source material to measure undergraduates' information literacy that will be studied in future.

대학생들의 정보활용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 개발의 기초자료로서 정보활용능력 표준과 모형을 분석하였다. 3개 표준과 2개 모형의 분석을 통해 핵심영역과 항목을 제시한 후, 최종적으로 척도 개발을 위한 항목 모형(안)을 제시하였다. 최종 척도 개발 항목 모형(안)은 6개 핵심영역과 18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시된 척도 개발 항목 모형(안)은 앞으로 연구가 진행될 대학생들의 정보활용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개발의 기초자료로서 이용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혜영. 2002. 정보이용능력 프로그램의 비교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6(1): 297-320
  2. 강인애. 1997. '왜 구성주의인가?'. 서울: 문음사
  3. 고영만. 2004. 대학생을 위한 정보문해 교수-학습 모형 개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지', 21(4): 67-89
  4. 고영만. 2005. '정보문해론'.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5. 김병찬. 2002. '구성주의적 교사양성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6. 김순희. 2005. '디자인분야 정보문해 교육 모형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7. 김연례. 2007. '학교도서관 중심의 정보활용능력 교육 수용 및 확산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8. 김태경. 2007. '한국문헌정보학 교육에서 정보이용자교육 교과과정 모형개발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9. Association of College and Research Libraries. 2000.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 Standards for Higher Education.' [cited -2008-06-03].
  10. Australian and New Zealand Institute for Information Literacy. 2004. 'Australian and New Zealand Information Literacy Framework: principles, standards and practice. 2nd ed.' [cited-2008-06-03].
  11. Bruce, C. S. 1997. 'Seven faces of information literacy in higher education.' [cited- 2008-06-03].
  12. Bruce, C. S. 1997. 'The relational approach: a new model for information literacy.' The New review of information and library research, no.3: 1-22
  13. Bruce, C. S. 1997. Seven Faces of Information Literacy in Higher Education. Adelaide: Auslib Press
  14. Council of Australian University Librarians. 2001. 'Information Literacy Standards, 1st edition.' [cited-2008-06-03].
  15. Critchfield, R. 2005. The development of an information literacy indicator for incoming college freshmen, Ph. D. diss., Nova Southeastern University
  16. Carter, C. & Monace, J. 1987. Learning Information Skills. London: British Library
  17. Doyle, C. S. 1992. Outcome measures for information literacy within the national education goals of 1990. Final Report to National Forum on Information Literacy. ED351 033
  18. Doyle, C. S. 1994. Information Literacy in an Information Society: A Concept for the Information Age. Syracuse University. ERIC Clearinghouse on Information and Technology
  19. Loertscher, D. V. 1996. 'All that Glitters May Not be Gold.' Emergency Librarian, November/December: 21-25
  20. Cobb, P. 1994. 'Where is the Mind? Constructivist and Sociocultural Perspectives on Mathematical Development.' Educational Reseracher. 23(4): 1-13
  21. Society of College and National & University Libraries. 1999. 'Information skills in higher education: a SCONUL position paper.' [cited-2008-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