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valuation of Two Levels and Types of Acorn Powder on Product Quality of Low-fat Sausages as a Fat Replacer

도토리 가루의 첨가량과 첨가 형태가 지방대체제로서 저지방 소시지의 품질에 미치는 효과

  • Chin, Koo-Bok (Dept. of Animal Science and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Ban, Gwang-Hoon (Dept. of Animal Science and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진구복 (전남대학교 동물자원학부 및 농업과학기술연구소) ;
  • 반광훈 (전남대학교 동물자원학부 및 농업과학기술연구소)
  • Published : 2008.04.01

Abstract

Product quality of low-fat sausages(LFSs) manufactured with two types(powder and hydrated) and two levels(0.5 and 1.0%) of Acorn powder was evaluated as a potential fat replacer. The addition of Acorn powder did not affect the product quality of LFSs (P>0.05), however 0.5% and hydrated Acorn was better sensory flavor than 1.0% and powder counterparts. The addition of Acorn into the LFSs decreased the expressible moisture(%) except for 0.5% powder type and decreased Hunter L-values in LFSs. The addition of 1.0% hydrated Acorn lowered sensory saltiness than those of other LFSs and regular-fat control.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Acorn powder can be used to manufacture LFSs as a fat replacer and 0.5% with hydrated form had better characteristics than 1.0% and powder counterparts. Future research will be performed to prevent the color change with the addition of Arcon powder in LFSs.

도토리 가루를 각각 첨가 형태(분말, 수화)와 첨가량(0.5, 1.0%)을 달리하여 저지방 소시지를 제조하였고, 품질검사를 실시하였다. 도토리가루의 첨가형태나 첨가량은 대부분의 항목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관능적인 향미분석에서 수화형태가 가루보다 그리고 첨가량에서 0.5%가 1.0% 보다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pH, 일반성분, 가열 감량에서 도토리 가루를 첨가한 저지방 소시지는 저지방이나 유화형 대조구와 비교했을 때,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반면 유리수분의 경우 도토리가루의 첨가는 기존의 지방대체재 첨가구나 유화형 대조구보다 더 낮은 유리 수분함량을 보임으로써 보수력을 증진시켰다. 색도에서는 유화형 및 저지방 대조구와 지방대체재를 첨가한 저지방소시지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은 반면에, 도토리 가루를 첨가한 저지방 소시지의 경우,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낮은 명도 값을 나타냈다(P<0.05). 조직감 검사결과에서는 도토리 첨가형태나 첨가량에 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관능검사에서는 유화형 소시지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평가되었고, 도토리 가루를 첨가한 소시지의 경우에도 색도를 제외한 대부분의 관능성상이 유사하였으나 1%의 수화형태는 비교적 식염맛에서 낮은 점수를 보였다. 미생물 검사 결과에서는 유화형 소시지와 저지방 소시지 모두 검출되지 않아 위생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저지방 소시지에 도토리 가루를 첨가함으로써 보수력을 증진시킬 수 있었고, 색도 이외에 다른 이화학적 및 조직학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음에 따라 지방 대체재로 사용가능하다고 평가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볼 때 0.5%의 첨가가 적당하고 가루형태보다 수화형태가 더 효과적인을 알 수 있었다. 다만 도토리 첨가에 따른 명도가 낮아지는 단점을 보완한다면 저지방 소시지의 대체제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AOAC. 1995.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6th edition. AOAC, International, Washington, DC.
  2. Bourne, M. C. 1978. Texture profile analysis. Food Technol., 32:62-66, 72
  3. Chin, K. B., Lee, H. L., Kook, S. H., Yoo, S. S. and Chun, S. S. 2004. Evaluation of various combination of pork lean and water added on the physicochemical, textur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low-fat sausage. Food Sci. Biotechnol. 13:481-485
  4. Jauregui, C. A., Regenstein, J. N. and Baker, R. C. 1981. A simple centrifugal method for measuring expressible moisture, a water-binding property of muscle foods. J. Food Sci. 46: 271-273
  5. SPSS. 2003. SPSS 12.0 for windows. SPSS Inc. USA.
  6. 국성호, 최순희, 강상미, 박성용, 진구복. 2003. 젖산나트륨과 키토산을 첨가한 저지방 기능성 소시지의 냉장 저장 중의 품질 및 저장성 증진 효과. 한국축산식품학회지 23:128-136.
  7. 김영아. 1992. 도토리 전분 및 전분겔의 형태학적 특성 연구. 한국조리과학회지 8:9-14
  8. 김윤숙, 유익종. 1994. 저지방 육제품 개발에 대한 연구동향. 한국축산식품학회지 14:110-116.
  9. 김이영, 조후종. 2000. 도토리묵가루를 첨가한 도토리떡의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조리과학회지 16:260-266
  10. 김일석, 진상근, 하경희, 류현지, 박기훈. 2005. 한국형 육가공 제품류의 물리적 및 관능적 품질 특성.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47:49-56 https://doi.org/10.5187/JAST.2005.47.1.049
  11. 류미라, 김은영, 정경숙. 2003. 홍국 첨가가 소시지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회지 35:229-234
  12. 성인숙, 김명주, 조수열. 1997. 도토리추출물이 흰쥐의 체내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6:327-333
  13. 심태흠, 김영선, 사재훈, 신인철, 허성일, 왕명현. 도토리 가루의 성분분석과 항산화능 평가. 한국식품과학회지 36:800-803
  14. 이유미. 1995.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나무 백 가지: 3-23. 참나무. 현암사. p. 394-398.
  15. 정인철, 강세주, 김종기, 현재석, 김미숙, 문윤희. 2003. 깻잎 분말 첨가와 도체등급이 돈육소시지의 품질 및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2:350-355
  16. 조성애, 김성곤. 2000. 도토리, 녹두 및 메밀전분의 입도분포, 호화패턴과 겔특성. 한국식품과학회지 32:1291-1297
  17. 진구복. 2002. 저지방 육제품의 제조 및 평가. 한국축산식품학회지 22(4):363-372
  18. 진구복, 김화영, 김광현. 2005. 자몽 종자 추출물을 첨가한 저지방 세절 소시지의 이화학적, 조직적 특성 및 항균 효과. 한국축산식품학회지 25:141-148
  19. 진구복, 왕승현. 2004. 키토산의 함량을 달리하여 첨가한 저지방 소시지의 품질 특성. 한국축산식품학회지 24:361-366
  20. 최성희, 권혁추, 안덕준, 박정로, 오동환. 2003. 녹차분말 첨가 소시지의 아질산염 잔유량과 저장성. 한국축산식품학회지 23:299-308

Cited by

  1. Effect of Transglutaminase, Acorn, and Mungbean Powder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w-fat/salt Pork Model Sausages vol.29, pp.3, 2009, https://doi.org/10.5851/kosfa.2009.29.3.374
  2. Effects of Chestnut (Castanea sativa Mill.) Peel Powder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icken Emulsion Sausages vol.30, pp.5, 2010, https://doi.org/10.5851/kosfa.2010.30.5.755
  3. Effect of Red Beet on Quality and Color Stability of Low-fat Sausages during Refrigerated Storage vol.30, pp.6, 2010, https://doi.org/10.5851/kosfa.2010.30.6.1014
  4.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icken Meat Emulsion Systems with Dietary Fiber Extracted from Makgeolli Lees vol.30, pp.6, 2010, https://doi.org/10.5851/kosfa.2010.30.6.910
  5.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ensory Properties of Reduced-fat Emulsion Sausages with Brown Rice Fiber vol.31, pp.4, 2011, https://doi.org/10.5851/kosfa.2011.31.4.521
  6.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icken Emulsion Sausages with Different Levels of Makgeolli Lees Fiber vol.32, pp.1, 2012, https://doi.org/10.5851/kosfa.2012.32.1.54
  7.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Restructured Jerky with Four Additives vol.33, pp.5, 2013, https://doi.org/10.5851/kosfa.2013.33.5.572
  8.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usage Prepared with Black Garlic Extract and Dried Powder of Specialized Crops Cultivated in Namhae vol.30, pp.4, 2014, https://doi.org/10.9724/kfcs.2014.30.4.444
  9. Effect of Dietary Fiber Extracted from Algelica keiskei Koidz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icken Patties vol.35, pp.3, 2015, https://doi.org/10.5851/kosfa.2015.35.3.307
  10. Product Quality of Low-fat Sausages Manufactured with Chestnut Powder as a Fat Replacer vol.52, pp.3, 2018, https://doi.org/10.14397/jals.2018.52.3.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