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리와 헤어리 베치의 단, 혼파 재배 시 우분뇨의 시용에 따른 생산성과 사료가치의 평가

The Assessment of Cattle Slurry Application on Productivity and Feed Values of Barley and Hairy Vetch Influenced by Sowing Methods

  • 발행 : 2008.06.30

초록

본 실험에서는 답리작으로 보리와 헤어리 베치를 단파 혹은 혼파 재배 시 가축분뇨의 시용에 따른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평가하여 양질의 유기 조사료 자원을 확보하고자 실시되었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답리작으로 보리와 헤어리 베치를 단파로 재배했을 경우에 연 건물과 TDN 수량이 각각 ha 당 6.8과 4.4톤 및 4.5와 2.7톤으로 보리와 헤어리 베치를 혼파해서 재배하는 경보리와 헤어리 베치의 단, 혼파 재배 시 우분뇨의 시용에 따른 생산성과 사료가치의 평가 229 우의 연 건물과 TDN 수량 ha당 8.0 및 4.8톤 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또한 보리 단파구의 조단백질 함량은 6.5%이었고 헤어리 베치의 단파구는 16.7%로 가장 높았으나 보리와 헤어리 베치를 혼파 재배한 구가 13.8%로 보리 단파의 경우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상대조사료가치도 모든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2. 보리 재배 시 액상우분뇨를 시용한 구에서는 연 건물수량과 TDN 수량이 ha 당 각각 7.3과 4.6톤으로 인산과 칼리만 시비한 구(6.5와 4.3톤/ha)와 무비구(5.4와 3.7톤/ha) 보다 높았으며(p<0.05), 화학비료 대비 연 건물수량과 TDN 수량이 84와 82%의 수준을 나타내었다. 3. 보리와 헤어리 베치를 혼파재배 시 액상우분뇨를 시용한 구에서는 질소, 인산 및 칼리질 비료의 화학비료 시비구 대비 연 건물수량과 TDN 수량이 90과 94%의 수준을 나타내었다. 조단백질 함량은 액상우분뇨 시용구에서 $14.2{\sim}15.9%$로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TDN 함량과 RFV도 각각 $60.7{\sim}61.8%$$112.2{\sim}118.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헤어리 베치의 연 건물과 TDN 수량은 액상우분뇨를 100% 시용한 구에서 ha 당 각각 5.3과 3.2톤을 나타내어 가장 높았고 또한 조단백질 함량(18.7%), TDN 함량(59.8%) 및 RFV(108.8)도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건물생산성만을 고려해서 보리나 헤어리 베치를 단파로 재배하는 것보다 가축의 기호성과 품질의 개선까지 고려하여 보리와 헤어리 베치 등을 혼파재배하고 가축분뇨를 시용함으로써 단위면적당 수량과 단백질 함량 등의 사료가치를 높이며 유기 가축사양 시에는 단백질공급원으로 이용되는 수입 유기곡류 등을 대체하는 효과까지도 기대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This trial was conducted to assess effects of cattle slurry application on productivity and feed values of barley and hairy vetch when they were influenced by single or mixed-sowed cultivation in paddy fields, and to obtain good quality of organic forage resources. The results summarized are as follows. For barley and hairy vetch, single-sowed cultivation was lower in annual dry matter (DM)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yields than mixed-sowed (P<0.05). Although crude protein (CP) contents for the barley within single-sowed treatments were lowest as 6.5%, those of hairy vetch within the same sowed method were highest as 16.7%. However, mixed-sowed cultivation with barley and hairy vetch, showing 13.8% CP content,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CP and relative feed value (RFV) of barley alone treatment. For barley alone treatment, cattle slurry applic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annual DM and TDN yields in comparison with treatments of P+K fertilization as chemical fertilizers and no fertilizer as controls. Results from cattle slurry application showed 84% and 82% in contrast with chemical fertilizer for annual DM and TDN yields, respectively. For mixed-sowed cultivation with barley and hairy vetch, cattle slurry application showed 90% and 94% annual DM and TDN yields, respectively as compared with N+P+K fertilization as chemical fertilizers. Crude protein contents ($14.2{\sim}15.9%$) for cattle slurry application treatments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ose of other treatments. Moreover, cattle slurry application treatment had the highest TDN and RFV among treatments, showing $60.7{\sim}61.8%$ and $112.2{\sim}118.1$, respectively. For hairy vetch alone treatments, annual DM and TDN yields of cattle slurry alone application treatment were highest among fertilization treatments. Furthermore, CP, TDN and RFV of cattle slurry alone application treatments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ose of other treatments. The results showed that mixed-sowed cultivation rather than single-sowed for barley or hairy vetch improved their nutritive value and quality, and also within mixed-sowed cultivation, cattle slurry application increased production yield per ha and CP contents. In the application of above system to organic livestock farming, it would be expected that forages produced by cattle slurry application under mixed-sowed method might become a substitute for foreign organic grain as protein sourc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