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Hydraulic and Hydrologic Analysis by Washland Construction

천변저류지 조성에 따른 수리.수문분석

  • 김덕길 (인하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 ;
  • 경민수 (인하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 ;
  • 김상단 (부경대학교 환경시스템공학부) ;
  • 김형수 (인하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
  • Published : 2008.05.25

Abstract

Recently, we have a growing interest in the washland construction for the function of flood defense in flood season and also as an ecosystem in non flood season. Therefore this study performed the hydraulic and hydrologic analysis for washland construction plan as sustainable flood defense alternative in flood season and wetland application possibility. The study area is Topyoung-cheon basin in Changnyeong-gun, Gyeongnam. A Topyoung-cheon basin includes a Woopo wetland which is the largest nature wetland in Korea and a Topyoung-cheon is ond of the tributaries of Nakdong river. We assume that the artificial washland is constructed in upperstream and downstream of Woopo wetland, and In flood season, the hydraulic analysis for the investig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flood level mitigation is performed by HEC-RAS model. Simulation of model is performed from 7 scenarioes of washland construction. As the result in flood season, the flood level is reduced by maximum 0.56 meter as we construct the washlands by 7 scenarios. Also, we performed hydrologic analysis for the investigation of water balance in washland in non flood season using SWAT model. From the result of water balance analysis, we found that the minimum water level of washland was maintained in about 1.3 meter for one year.

최근에 홍수조절 기능과 비홍수기의 생태적 측면으로써 천변저류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홍수방어 대안으로 천변저류지 조성방안에 대한 검토와 조성된 천변저류지에 대한 습지로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한 수리·수문 분석을 수행하였다. 대상지역은 경상남도 창녕군의 토평천 유역이다. 토평천 유역에 국내 최대 내륙 습지인 우포늪이 포함되어 있으며, 토평천은 낙동강의 지류이다. 천변저류지는 우포늪 상류와 하류에 조성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홍수기의 홍수위저감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수리분석은 HEC-RAS모형을 이용하였다. 모형의 모의는 천변저류지 조성 시나리오 7가지에 대하여 수행하였다. 그 결과 모의 시나리오 중에서 최대 0.56 m의 홍수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WAT모형을 이용하여 비홍수기에 천변저류지의 물수지 분석을 위한 수문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물수지 분석 결과 1년 동안에 천변저류지의 최저수심이 1.3 m(세진지역)정도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2004). 토평천 하천정비기본계획
  2. 건설교통부(2005a). 삽교천 유역종합치수계획
  3. 건설교통부 (2005b). 천변저류지 기본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4. 김형수, 경민수, 김상단, 이건행 (2006). “천변저류지 조성 및 활용방안.” 한국수자원학회 06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83-88
  5. 박창근, 박재현, 이종진 (2007). “천변저류지를 활용한 화포천 유역에서의 홍수조절능력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07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331-335
  6. 안태진, 김경섭, 강인웅, 김복천 (2007). “천변저류지 조성계획에서 수문 및 수리적운영에 관한 고찰.” 한국수자원학회 07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956-960
  7. K. Eckhardt, J.G. Arnold (2001). Automatic calibration of a distributed catchment model, Journal of hydrology, Vol. 251, pp. 103-109 https://doi.org/10.1016/S0022-1694(01)00429-2
  8. S.L. Neitsch, J.G. Arnold, J.R. Kiniry, J.R. Williams, K.W. King (2002).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Theoretical Documentation. Version 2000. pp. 415-416

Cited by

  1. Determination of Optimal Location of Washlands Considering Design Frequency vol.42, pp.7, 2009, https://doi.org/10.3741/JKWRA.2009.42.7.559
  2. Effectiveness Analysis of Artificial Wetland for Flood Reduction vol.14, pp.4, 2014, https://doi.org/10.9798/KOSHAM.2014.14.4.369
  3. A Study on the plant monitoring for artificial wetlands in the rivers vol.17, pp.1, 2015, https://doi.org/10.17663/JWR.2015.17.1.091
  4.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Inundation Depth and Plant Habitat of Binae Wetland vol.15, pp.4, 2015, https://doi.org/10.9798/KOSHAM.2015.15.4.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