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Turbidity Changes on Tissues of Zacco koreanus

탁도 변화가 참갈겨니 (Zacco koreanus) 조직에 미치는 영향

  • Shin, Myung-Ja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Andong National University) ;
  • Kim, Jeong-Sook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Andong National University) ;
  • Hwang, Yun-Hee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Andong National University) ;
  • Lee, Jong-Eun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Andong National University) ;
  • Seo, Eul-Won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Andong National University)
  • 신명자 (안동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 김정숙 (안동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 황윤희 (안동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 이종은 (안동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 서을원 (안동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Published : 2008.03.31

Abstract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uddy water on the gill and the kidney tissues of Zacco koreanus under high turbidity rearing condition. The gill of Z. koreanus showed abnormal shapes in its secondary lamellae and a rough surface with impure debris in the high level of turbidity and the longer raising period condition. In addition, the gills showed the edema, the exfoliation of epithelial cell, and the fusion of the secondary lamellae. In case of kidney tissue, the atrophied glomerulus was observed, and the empty space in Bowman's capsule was wider. The SOD activities in both gill and kidney tissues were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high level of turbidity. On the while, CAT and GPX activities were shown constant level in the gill, but were increased in the kidney in the high turbid muddy wat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harmful radicals which generate by high level of turbidity could be removed partly by antioxidant enzymes in the kidney. The concentrations of micro heavy metal ions accumulated in the gill increased drastically at the 1,000 NTU.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the exposure to the high level of turbidity for long period may affect on the structures of tissues, and change the enzymatic balance in Z. koreanus, causing the fatal disease.

본 연구에서는 고탁도의 사육조건에서 탁수가 어류의 조직과 생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참갈겨니의 아가미와 신장을 사용하였다. 탁도가 높고 사육기간이 길어질수록 아가미에서는 이차 새변의 간격이 불규칙해지고, 곤봉화, 부종, 상피세포의 박리가 나타났으며 새변 사이에는 이물질의 부착이 두드러지게 관찰되었다. 신장조직에서도 탁도의 증가에 따라 사구체가 수축되고 있으며 보우만 주머니의 공간이 넓게 관찰되었다. 고탁도의 탁수가 아가미와 신장 조직 내 항산화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 보면 SOD활성은 아가미와 신장 조직에서 고탁수로 감에 따라 활성이 증가하였으나 CAT와 GPX의 활성은 주로 신장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즉 고탁수의 스트레스에 의해 생성되는 유해한 라디칼은 주로 신장 조직의 항산화효소에 의해 제거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탁도 변화에 따라 어체에 축적되는 미량 중금속 농도의 경우 탁도가 매우 높은 1,000 NTU에서는 대조실험군 어류에 비해 중금속의 함량이 급격히 증가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장기간 고탁도가 유지된다면 아가미와 신장 조직은 비정상적인 형태로 변형되고 중금속은 체내에 급격히 축적됨으로 치명적인 유해 작용을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익수. 1997. 한국동식물도감. 제37권 동물편(담수어류). 교육부. p. 279-280
  2. 김익수, 박종영. 2002. 한국의 민물고기. 교학사. p. 182-183
  3. 김익수, 김선영, 박종영. 2002. 만경강 오염수에서 서식하는 붕 어의 아가미와 신장의 비정상적인 조직. 한국어류학회지 14: 70-75
  4. 김인숙, 한성희, 오성기. 1993. 전라북도 내 서해안 지역의 하 천에 서식하는 붕어의 중금속 함량에 관한 연구. 한국영양식량학회지 22: 484-488
  5. 신미영, 최동림, 정준기, 전세규. 1993. 과망간산칼리에 의한 어 류 아가미의 병리조직학적 변화와 수질에 따른 영향. 한국어병학회지 6: 21-55
  6. 이근상, 조기성. 2004. 탁수자료를 이용한 GIS 기반의 토사유 실량 평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2: 75-81
  7. 이정식, 강주찬, 신윤경, 마경화, 진 평. 2001. 구리에 대한 넙 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조직학적 반응. 한국어병학회지 14: 81-90
  8. 이 청, 신명자, 이종은, 서을원. 2006. 임하호 탁수역에 서식하 는 치리(Hemiculter eigenmanni)의 조직과 혈장단백질. 환경생물 24: 213-220
  9. 한국수자원공사. 2006. 임하댐 탁수로 인한 어류영향조사. p. 287-293
  10. 허민도, 정현도. 1993. 어류의 아가미의 조직학적 구조와 병변. 한국어병학회지 6: 65-70
  11. Aebi, H. 1984. Catalase in vitro. In Packer (ed): Methods in Enzymology. Vol, 105, p. 121-126. Academic Press, NY.
  12. Aksnes, A. and L.R. Njaa. 1981. Catalase, Glutathione peroxidase and superoxide dismutase in different fish species. Comp. Biochem. Physiol. 69: 893-896 https://doi.org/10.1016/0305-0491(81)90402-8
  13. Chance, B., H. Siec and A. Boveris. 1979. Hydroperoxide metabolism in mammalian organs. Physiol. Rev. 59: 527-605 https://doi.org/10.1152/physrev.1979.59.3.527
  14. Fennel, R.H. and V.M. Pardo. 1967. Experimental glomerulonephritis in rats. Laboratory Investigation. 17: 483-488
  15. Ferguson, H.W. 1989. Gill and pseudobranchs In: Sysremic pathology of fish. p. 11-40. Iowa State University Press/ Ames
  16. Flohe, L., A. Wolfgang and W.A. Gunzler. 1984. Assay of glutathione peroxidase, p. 105-114. Methods in enzymatic analysis. Packer, L. ed. Academic Press, NY
  17. Forman, H.J. and I. Fridovich. 1973. Superoxide dismutase: A comparison of rate constant. Arch. Biochem. Biophys. 158: 396 https://doi.org/10.1016/0003-9861(73)90636-X
  18. Friberg, L. and J. Vosta. 1972. Mercury in the environment. p. 17-23. CRS Press, Cleveland
  19. Gabryelak, T., M. Piatrowska, W. Leyko and G. Peres. 1983. Seasonal variation in the activities of peroxide metabolism enzymes in erythrocytes of freshwater fish species. Comp. Biochem. Physiol. 75: 383-385 https://doi.org/10.1016/0742-8413(83)90210-4
  20. Galat, D.L., G. Post, T.J. Keefe and G.R. Bouck. 1985. Histological changes in the gill, kidney and liver of Lahontan cutthroat, Salmoclarki henshawi, living in lakes of different salinity-alkalinity. J. Fish. Bilo. 27: 533-552 https://doi.org/10.1111/j.1095-8649.1985.tb03200.x
  21. Goldberg, B. and A. Stern. 1997. The role of the superoxide anion as a toxic species in the erythrocyte. Arch. Biochem. Biophys. 178: 218-225
  22. McCord, J.M. and I. Fridovich. 1969. Superoxide dismutase an enzymic function ferythrocuprotein (Hemocuprotein). J. Biol. Chem. 244: 6049-6055
  23. Moody, C.S. and H.M. Hassan. 1982. Mutagenicity of oxygen free radicals. Proc. Natl. Acad. Sci. 79: 2855-2859
  24. Simon, R.H., C.H. Scoggin and D. Patterson. 1981. Hydrogen peroxide causes the fatal injury to human fibroblasts exposed to oxygen radicals. J. Biol. Chem. 256: 7181-7186
  25. Wdzieczak, J., G. Zalesna, A. Bartowiak, H. Witas and W. Leyko. 1981. Comparative studies on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and peroxidase level in erthrocytes of different fish species. Comp. Biochem. Physiol. 68: 357-358 https://doi.org/10.1016/0305-0491(81)901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