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lationship of Abdominal Obesity and Lipid Profiles by Computed Tomography in Adult Women

전산화 단층촬영을 이용한 성인여성의 복부비만과 지질대사지표와의 연관성

  • Kim, Mi-Young (Dept. of Diagnostic Radiology, Dankook Univ. Hospital)
  • 김미영 (단국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Published : 2008.03.31

Abstract

Abdominal obesity, especially, visceral obesity is thought to be a risk factor of type 2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such as hypertension, hyperlipidemia, coronary artery disease. Based on previous studies visceral fat accumulation is highly related to these diseases compared to subcutaneous fat accumu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 the relation between abdominal obesity and lipid profiles in adult women. The included subjects were 25 adult women(BMI > $23\;kg/m^2$), who visited the obesity clinic in a general hospital from April 2006 to September 2007. Blood pressure, fasting glucose and lipid profiles were measured. The abdominal fat distribution had been assessed by CT scan at the level of L4-L5. From bivariate analyses, the visceral fat accumulation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TC and TC/HDL. The BMI, total abdominal fat and Visceral fat/Subcutaneous fat ratio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visceral fat accumulation. From linear regression analyses of all the study subjects, TC, TG and HDL were found to be determinants of the visceral fat accumulation($R^2\;=\;0.474$).

복부비만은 2형 당뇨병과 고지혈증, 고혈압, 관상동맥질환 등의 심혈관계 질환의 주요 위험인자이며 특히 내장형 복부 비만인 경우 위험도가 더 크다고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2006년 4월부터 2007년 9월까지 일개 대학병원 비만 클리닉을 방문한 BMI 23 이상의 성인 여성 25명을 대상으로 하여 복부지방 CT를 실시하여 지질대사지표와의 상관성 및 내장지방 분포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8시간 공복 후 채취한 정맥혈액을 이용하여 Glucose, TC, TG, HDL의 농도를 분석하였고, 안정시의 이완기 혈압과 수축기 혈압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내장지방량은 TC와 TC/HDL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통계적으로는 BMI, TAF, VSR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01). 내장지방량을 가장 잘 반영하는 지질대사지표는 TC와 TG, HDL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회기분석모델은 47%의 설명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