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boratory Abilities to Carry-out Experimentations of Matter in the Middle School Science Texts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물질 영역' 실험 활동에 포함된 실험 수행 능력

  • Published : 2008.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laboratory abilities to carry-out experimentations in the field of 'Matter' in middle school science texts. A total of 359 chemistry experiments from 26 textbooks has been analyzed. The authors of this study are interested in what science process skills are required for students to perform the experiments and how often these skills are needed. This article introduced a framework for analyzing the science process skills and their frequency. There are similar patterns of science process skill use among the different grades of middle school texts. The process skills of organizing results, interpreting data and making generalizations are most needed by the order of frequency. However, abilities related to alternative activities and/or conditions show relatively low frequency. For seniors, various laboratory abilities to carry out experiments are needed, whereas abilities for operating and setting up an experimental apparatus are required in freshmen and juniors. These results suggest avenues for science teachers that make lesson plans involving science experiments.

이 연구는 26종의 중학교 1, 2, 3학년 과학 교과서에서 '물질' 분야에 제시된 실험 활동에서 요구하고 있는 실험 수행 능력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물질 분야에는 전체 7 단원에 걸쳐 총 359개의 실험이 제시되었다. 실험수행능력 분석틀에 따라 실험을 분석해 본 결과, 중학교 실험을 수행하기 위해서 다양한 실험수행능력이 필요하고, 학년별로 차이를 보였지만 전체적으로는 유사한 패턴을 가지고 있음이 조사되었다. 전학년에 걸쳐 결과 정리와 자료 해석 및 일반화 능력이 가장 많이 요구되고 대체 실험과 관련된 능력들은 상대적으로 빈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3학년의 경우, 1, 2학년 실험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실험 수행을 위한 세부적인 능력이 골고루 필요로 하는 실험이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실험 상황 예측, 실험기구 설치, 측정기구사용, 오차원인 분석 능력은 2학년에게 상대적으로 많이 요구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실험기구 설치 능력은 1, 2학년에서, 안전사고 위험 숙지 능력은 1, 3학년에서 상대적으로 많이 요구되는 능력으로 조사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민아(2006). 초등학교 4학년 화학 실험 영역에서의 학생들의 실험기구 조작 능력 조사. 한국교육대학교석사학위논문
  2. 권재술.김범기(1994). 초, 중등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 측정도구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3), 251-264
  3. 김경미.박영신.최승언(2008). 과학교과서 천문 단원의 탐구활동 분석. 지구과학회지, 29(2), 204-217 https://doi.org/10.5467/JKESS.2008.29.2.204
  4. 김윤희.문성배(2000). 3차원 분석틀을 이용한 고등학교 공통과학(물질부분) 교과서의 탐구활동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 20, 274-287
  5. 김지혜.박시룡.차희영(2007). 현미경 관찰 실험에서 Observer Program을 활용한 예비 과학 교사들의 행동 양식 분석 및 실험 능력과의 상관관계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5(2), 225-235
  6. 박원혁.김은아(1999). 제6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공통과학 교과서의 탐구영역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 528-541
  7. 박재원.윤상미.원정애.백성혜(2007). 초등학생의 실험기구 조작 능력에 대한 실태조사. 초등과학교육, 26(2), 161-170
  8. 박효순.조희형(2003). 중학교 2학년 과학 교과서의 탐구영역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 239-245
  9. 심규철.안중임.김현섭(2004).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과학과 생명영역 물질대사 관련 탐구활동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 202-215
  10. 우종옥.이항로(1995). 대학 수학능력 시험의 자연과학 탐구 능력 평가를 위한 행동 요소의 추출과 평가 목표의 상세화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2(2), 81-95
  11. 이옥경(2006). 실험기구에 대한 교과서 분석 및 교사와 학생의 이해도에 관한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조희형.최경희(2008). 과학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교육과학사
  13. 차재선(1984). 저지능 아동의 과학적 학습기능에 관한 연구. 인천교대과학교육연구소, 84(1), 53-65
  14. 최병순.강석진.강순민.강순희.공영태.권혁순.김재현.남정희.노석구.박종석.박현주.백성혜.이범홍.이상권.최미화(2005). 화학교재연구및지도. 경기: 자유아카데미
  15. Chiappetta, E. L. & Koballa, T. R. (2006). Science instruction in the middle and secondary schools. 5th ed.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Merrill
  16. Gallagher, J. J. (1991). Prospective and practicing secondary school teachers' knowledge and beliefs about the philosophy of science. Science Education, 75, 121-133 https://doi.org/10.1002/sce.3730750111
  17. Gott, R., & Duggan, S. (1995). Investigation work in the science curriculum. Buckingham, UK: Open University Press
  18. Hodson, D. (1986). Rethinking the role and status of observation in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18, 381-396 https://doi.org/10.1080/0022027860180403
  19. Hodson, D. (1990). A critical look at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School Science Review, 70(256), 33-40
  20. Hofstein, A. & Lunetta, V.N. (1982). The role of the laboratory in science teaching: neglected aspects of research.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2, 201-217 https://doi.org/10.3102/00346543052002201
  21. Hofstein, A. & Lunetta, V.N., (2004). The laboratory in science education: Foundation for the 21st century. Science Education, 88, 28-54 https://doi.org/10.1002/sce.10106
  22. Lunetta, V. N., & Tamir, P. (1979). Matching lab activities with teaching goals. The Science Teacher, 46, 22-24
  23.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24. Wellington, J. (2000). Teaching and learning secondary science: Contemporary issues and practical approaches. London: Routledge
  25. Wellington, J. (2004). Ethics and Citizenship in Science Education: now is the time to jump of the fence. School Science Review, 86(315), 33-38
  26. Wilson, J. T. (1984). Processes of Scientific Inquiry: A Model for Teaching and Learning Science. Science Education, 58(1), 127-133 https://doi.org/10.1002/sce.3730580118
  27. Woolnough, B., & Allsop, T. (1985). Practical work in scienc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Wikipedia (2008). http://en.wikipedia.org/wi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