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erception of In-service and Pre-service Science Teachers of the Training Program, and the Practical Use of Advanced Science Laboratory Equipment

첨단 과학 실험장비 활용 및 연수에 대한 과학고 과학교사와 예비교사들의 인식

  • Published : 2008.12.30

Abstract

Research-based professional development is essential for in-service and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cross the n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n-service science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the training program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using advanced science laboratory equipment and experiments. Science teachers (N= 43) in science high schools and pre-service science teachers (N=189)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As a result of this study, in-service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at they lacked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in advanced science laboratory equipment, although they perceived the importance of its use. They wanted to attend training programs during vacation if they would have the opportunity. Both groups felt that they needed to improve their ability to operate the advanced science lab equipment, preferring to practice these instruments in the training programs. In-service teachers preferred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s for use of the advanced science laboratory equipment. However, pre-service teachers preferred using the advanced science laboratory equipment. The study gives implications for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영재교육의 측면에서, 첨단 과학 장비와 실험을 활용하는 전문성 계발 연수에 대한 실태 분석과 과학고 교사와 예비교사의 연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설문 조사는 첨단과학 실험 장비를 활용할 기회가 있는 과학고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과학교사(N=43)와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N=189)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를 살펴보면, 과학고 교사와 예비 교사 모두 첨단 실험장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고 인식하였으며 관련된 연수 경험 또한 많지 않음을 보였다. 첨단 실험장비 활용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과학고 교사와 예비교사 모두 인식하고 있었으며, 기회가 주어진다면 주로 방학 기간을 이용해 연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보였다. 연수의 형태에 있어서는 실험장비 사용 실습을 모두 선호하여 두 집단 모두 첨단 과학 실험장비 사용법에 있어 기능적인 부분의 부족함을 호소하고 있다. 내용적인 측면에서, 현직 교사들의 경우, 첨단 실험장비 활용 교수 학습 프로그램 개발에 더 많은 관심을 보였으나 예비 교사들의 경우 첨단 실험장비 사용법을 선호하고 있어 연수 프로그램 내용 선정과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1997). 과학과 교육 과정. 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 [별책 9], 서울: 교육부
  2. 김경대, 김영신, 이효녕, 강순민, 오진호, 심재영(2007). 예비교사를 위한 실험교육 모형 개발. 대전: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3. 김영신, 양일호, 박경숙(2006). 대학교 과학 실험 수업의 질 분석. 중등교육연구, 54(1), 79-94
  4. 김정곤, 김인호, 정계준, 김봉곤, 구인선(1991). 과학교사 재교육의 개선방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1(1), 97-115
  5. 김진성(2001). 고등학교 과학교사들의 공통과학연수에 대한 인식도 조사. 금옥학술문화재단 논문집, 10, 629-632
  6. 서울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2005). 2005학년도 서울특별시교육청 과학과 우수강사요원 위탁특별연수 교육평가보고서. 서울: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과학교육연구소
  7. 심재호(2006), 과학교사 전문성과 실험 연수에 대한중등 과학 교사의 인식. 한국생물교육학회, 34(1), 27-37
  8. 안병준, 박경화, 정규관, 양우헌(2006). 첨단과학기술 지향 과학교사 교육 프로그램. 전주: 전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9. 안병준, 박경화, 정규관, 양우헌, 한상욱, 장원길, 이종기, 권종술, 박진홍, 노병술, 김은주(2007). 첨단과학기술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일반계 고등학교 과학교사연수 시범사업. 전주: 전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10. 양일호, 조현준, 정진우, 허명, 김영신(2006a). 학교교육에서 실험 활동의 목적.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2), 177-190
  11. 양일호, 조현준, 한인경(2006b). 초등과학교육에서 실험활동의 목적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6(1), 235-252
  12. 이윤종, 오철한, 기우항, 김영호, 정원우, 양승영, 강용희, 안병호, 임성규, 윤일희, 권용주, 전명남(1998). 현행 중등학교 과학 실험, 실습 교육 실태 조사 및 그 운영 진단(II) - 고등학교 과학 실험, 실습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383-398
  13. Feldhusen, J. F. (1997). Educating teachers for work with talented youth. In N. Colangelo & G. A. Davis (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2nd Ed. p. 547-552). Boston: Allyn & Bacon
  14. Fraser-Abder, P. (2002). Professional development of science teachers. New York; RoutledgeFalmer
  15. Germann, P. J., Aram, R. A., & Burke, G. (1996). Identifying patterns and relationships among the responses of seventh-grade students to the science process skills of designing experim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1), 79-99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601)33:1<79::AID-TEA5>3.0.CO;2-M
  16. Hodson, D.(1990). A critical look at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School Science Review, 71(256), 33-40
  17. Lawson, A, E. (1995). Science te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thinking.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Belmont
  18. Loucks-Horsley, S., Love, N., Stiles, K. E., Mundry, S. & Hewson, P. W. (2003). Designing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eachers of science and mathematics, 2nd Ed. California: Corwin press
  19. Lunetta, V. N. (1998). The school science laboratory: Historical perspectives and centers for contemporary teaching. In B. J. Fraser & K. G. Tobin (Ed.), International handbook of science education. Dordrecht: Kluwer
  20.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0). Inquiry and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A Guide for Teaching and Learning. National Academy Press : Washington, DC
  21. Taitelbaum, D., Mamlok-Naaman, R,. Carmeli, M., Hofstein, A. (2008). Evidence for Teachers' Change While Participating in a 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me and Implementing the Inquiry Approach in the Chemistry Laborator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0(5), 593-617 https://doi.org/10.1080/09500690701854840
  22. U. S. Department of Energy (2007). Department of Energy (DOE) Summer Pre-Service Teacher program. http://ww.scied.science.doe.gov/scied/PST/about.htm
  23. Wallace, J. & Loughran, J. (2003). Leadership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in scie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Falmer
  24. Wenning, C. J. (1998). Knowledge base for prospective secondary level physics teachers. Journal of Physics Teacher Education 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