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hinking Types of Pre-Service Chemical Cell Chemistry Teachers according to Grade

화학전지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학년별 사고 유형

  • Published : 2008.02.29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thinking types of pre-service chemical cell chemistry teachers according to grade and tried to find out how the educ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had influenced their thinking types. This study found that the pre-service education had failed to form scientific conceptions. Some pre-service teachers thought that college education couldn't help them understand the knowledge about chemical cell. In addition, they are lacking in scientific conception. Even some of them who thought college education was helpful had wrong conceptions. Most of the pre-service teachers' thoughts could not exceed the level of the high school chemistry textbooks. But, Juniors had more scientific conception than other grades through the group discussions about chemistry textbooks' contents in the course of "Theory of Science Teaching Materials". So, Pre-service education should include the pedagogical knowledge with content knowledge treated in secondary school science textbooks for educational effects.

이 연구에서는 화학전지에 대한 예비화학교사들의 학년별 사고 유형을 분석하고, 예비교사 양성교육이 이러한 사고 유형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화학전지의 전극과 전해질의 종류를 바꾸어줄 때 전류의 흐름에 대한 과학적 개념을 형성하는 데 예비교사 양성교육이 효율적이지 못함을 밝혔다. 예비교사들 중에는 대학교육이 화학전지 관련 내용을 이해하는 데 거의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고 인식하였으며 이들은 대부분 과학적 개념이 부족하였고, 많은 영향을 받았다고 인식한 학생들도 잘못된 개념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3학년을 제외한 예비교사의 반수 이상의 학생들이 갖고 있는 사고 유형은 고등학교 교과서에 서술된 진술 방식의 수준을 넘어서지 못하였다. 3학년에서는 다른 학년과 다르게 과학적 개념을 갖는 학생 비율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과학교재론 수업 시간에 고등학교 화학 관련 교재들에 대해 조별 토론하면서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원양성대학에서는 중등교육과정에서 다루는 과학내용지식을 가르치는 과정에서 관련된 교수 지식을 함께 다루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동화 (2004). 화학전지에 관한 화학교사들의 개념 분석 및 교과서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 박재원 (2006). 물 속에서의 무게와 압력 단원에서 초등 교사의 교수내용지식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 박진희, 김동욱, 백성혜 (2006). 전극 전위에 대한 고등학교 화학교사와 학생들의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2), 279-290
  4. 박진희, 김동욱, 백성혜 (2004). 다니엘 전지를 구성하는 염다리의 역할에 대한 고등학생, 화학교사 그리고 예비 과학 교사들의 개념 유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3), 544-555
  5. 박진희, 백성혜 (2004). 전기분해 생성물을 예상하는 과정을 통해 화학교사들과 예비교사들이 가지는 개념의 문제점에 대한 분석. 대한화학회지, 48(5), 519-526
  6. 유성이, 백성혜 (2000). 입자와 에너지 관점에서 분석한 초등학교와 중학교 전류와 전지 단원의 문제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3), 432-442
  7. 이순희 (2002). 다니엘 전지에 대한 오개념 원인 분석 및 실험을 통한 개념 변화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8.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화학 영역 교육과정 개정안 검토를 위한 협의회 회의자료
  9. Allsop, R. T., & George, N. H. (1982). Redox in Nuffield Advanced Chemistry. Education in Chemistry, 19, 57-59
  10. Özkaya, A. R., (2002). Conceptual Difficulties Experienced by Prospective Teachers in Electrochemistry: Half-Cell Potential, and Chemical and Electrochemical Equilibrium in Galvanic Cell.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7(96), 735-738
  11. Ogude, N. A., & Bradly, J. D. (1996). Electrode Processes and Aspects Relating to Cell Emf, Current, and Cell Conponents in Operating Electrochemical Cells.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73(12), 1145-1149 https://doi.org/10.1021/ed073p1145
  12. Sanger, M. J., & Greenbowe, T. J. (1999). An Analysis of College Chemistry Textbook As Sources of Misconception and Errors in Electrochemistry.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76(6), 853-860 https://doi.org/10.1021/ed076p8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