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iscuss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Change of Chinese Piquancy Addiction

중국사람들의 매운 맛 기호의 역사적 추이에 대한 논술

  • 조영광 (절강공상대학교 중국음식문화연구소)
  • Published : 2008.04.30

Abstract

It determines Chinese addiction to piquancy that the Chinese traditional food production laid excessively particular stress on agriculture coming into being long before in the history and the state of Chinese food living was that the people were very difficult to live. The history of Chinese addiction to piquancy could be traced back to prehistory. And in Chinese “hot” is separated from “peppery” and it refers in particular to the piquancy more than general peppery. The character of “Hot” appeared after Han Dynasty in Chinese. Capsicum was brought to China from the sea in the middle of Ming Dynasty. Then it surpassed the formers soon and became the most popular and addictive piquancy food in China. Capsicum has many names in China, such as “$F{\bar{a}}nji{\bar{a}}o$”, “$H{\bar{a}}iji{\bar{a}}o$”, “$L{\grave{a}}ji{\check{a}}o$”, “$L{\grave{a}}h{\breve{u}}$”, “$L{\grave{a}}zi$”, etc., and they indicate the geographical and humanistic character of the distribution. (eight books on preserving one’s health) is the earliest history record about capsicum in existent Chinese history record that was finished in 1591. In this article the author puts new opinion forward on the record in this book. It is because the hottest piquancy of capsicum, capsicum’s better adaptability and low cost to plant combine with Chinese piquancy addiction at large that capsicum can replace the status of pepper and other traditional peppery flavorings soon and cause worldwide attention to the Chinese piquancy addiction finally. The human common characters of unchangeable inertia, depending to fully grow addiction and aggrieved delight are the most important reasons to cause piquancy addiction that has formed a custom through long-repeated practice and this custom do not change with condition change. The unbalanced spread process of capsicum in China shows that the region is poorer and the addictive degree is deeper.

중국은 일찍 농업에 편중하는 식생산전통과 백성들이 어렵게 생계를 유지하는 식생활상태가 형성되었으며 이런 상황은 중국인들이 신랄(辛辣)한 맛에 대한 기호를 결정하였던 것이다. 중국인들이 신랄(辛辣)한 맛을 즐긴 역사는 선사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랄(辣)”자(字)는 “신랄(辛辣)”이라는 단어에서 분리하여 특별히 매운 맛을 의미하는데 즉 일반적인 “신(辛)” 보다 더욱 “신(辛)”하다는 뜻이며 이 문자는 한(漢)나라 이후에야 나타난다. 고추는 명(明)나라 중엽에 해상을 통해 중국대륙에 전해 들어왔고 짧은 기간 내에 중국인들이 제일 보편적으로 식용하고 좋아하는 매운 음식으로 자리 잡았다. 중국에서 고추는 번초(蕃椒), 해초(海椒), 랄각(辣角), 랄호(辣虎), 랄자(辣子) 등 다양한 명칭을 갖고 있는데 이는 그 분포의 지리적 특징과 인문적인 특징을 반영한 것이다. 고추에 대해 최초로 기록한 한문문헌으로는 1591년에 출간된 ${\ulcorner}$존생팔전(尊生八箋)${\lrcorner}$이다. 본 논문에서는 상기 문헌의 고추에 관한 기록에 대한 종래 연구자들의 보편적인 견해와는 다른 새로운 관점을 제기하였다. 고추는 짧은 시간 내에 화초(花椒) 등 허다한 전통적인 매운 양념들을 재치고 결국 중국인들의 고추정서가 형성된 것은 “그 맛이 최고로 매웠던 것(기미최랄(其味最辣))” 및 적응성이 강하고 재배 할 때 소요되는 인력물력도 적게 드는 것과 중국인들이 보편적으로 매운 맛을 즐겼던 정서가 결합된 필연적인 결과라고 하겠다. 관습은 쉽게 개변하지 않고 오래 접하면 자연히 은이 생기며 강한 자극을 통쾌하다고 여기는 인간의 통성(通性)은 매운 맛에 대한 오랜 접촉으로 습관을 형성시키고 세월이 흘러도 고추를 먹는 습관만은 남게 되는 중요한 원인이다. 고추가 중국 대륙에서 불균형하게 보급되어 있는 상황에서 경제생활이 상대적으로 빈곤한 지역일수록 매운 맛에 대한 기호가 보다 강함을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詩經.小雅.天保, 淸.阮元校刻 十三經注疏, 中華書局 1980年 影印本 p412
  2. 禮記.醴運, 淸.阮元校刻 十三經注疏, 中華書局 1980年 影印本 p1422
  3. 孟子.告子章句上, 淸.阮元校刻 十三經注疏, 中華書局 1980年 影印本 p2748
  4. 北魏.賈思, 齊民要術 卷8, '八和' 第七十三, 農業出版社, 1982年版, p449
  5. 明.李時珍 本草綱目.菜部.芥 第26卷, 人民衛生出版社, 1982年版, p2797
  6. 唐.釋慧琳 等 正續一切經音義 卷70, 上海古籍出版社, 1986년판, p2797
  7. 東坡全集 卷九, 春菜
  8. 呂氏春秋.本味 孝行覽第二, 中華書局 諸子集成 6
  9. 東漢.王逸 楚辭章句.招魂 卷九, 四庫全書 本
  10. 周禮.天官.食醫, 淸.阮元校刻 十三經注疏, 中華書局 1980年 影印本 p667
  11. 荀子.正名, 中華書局 諸子集成 二
  12. 尙書.洪範, 淸.阮元校刻 十三經注疏, 中華書局 1980年 影印本 p188
  13. 졸작, 調和之事 精妙微纖-三代期調味品簡述 中國飮食史論, 1990, 흑룡강성과학기술출판사
  14. 魏.稽康 稽中散集 卷三, 養生論 四庫全書 本
  15. 呂氏春秋.本味, 孝行覽第二, 中華書局 諸子集成 六
  16. 西漢.司馬遷 史記.食貨列傳 卷百二十九
  17. 北魏.賈思 齊民要術 卷三, '種姜' 第二十七, 農業出版社, 1982, p157
  18. 明.徐光啓, 農政全書 卷二, 四庫全書 本
  19. 元.王禎, 農書 卷八, 上海古籍出版社, 1979年版
  20. 西漢.司馬遷, 史記.食貨列傳 卷百二十七
  21. 後晉.劉, 舊唐書.食貨上 卷四十八, 四庫全書 版
  22. 山海經.北山經 卷三, 四庫全書 本
  23. 禮記.曲禮上 卷二, 淸.阮元校刻 十三經注疏, 中華書局 1980年 影印本
  24. 明.李時珍, 本草綱目.菜部. 卷二十六, 人民衛生出版社 1982年版, p1588
  25. 東漢.崔寔, 四民月令 全上古三代秦漢三國六朝文.全后漢文 卷四十七, 中華書局 1958年版
  26. 後晉.劉, 舊唐書.張允濟傳 卷百八十五 上, 中華書局 1975年版
  27. 宋.施宿 등 會稽志.草部 卷十七, 四庫全書 本
  28. 宋.李昉 등 太平御覽 卷四百三十一, 四庫全書 本
  29. 東漢.崔寔, 四民月令 全上古三代秦漢三國六朝文.全后漢文 卷四十七, 中華書局 1958年版
  30. 北魏.賈思 齊民要術 卷三, '種蒜' 卷四十四, 農業出版社, 1982年版
  31. 元.王禎, 王氏農書 卷八, 四庫全書 本
  32. 元.王禎, 王氏農書 卷八, 四庫全書本
  33. 明.李時珍, 本草綱目.菜部.芥第26卷, '集解'引, 人民衛生出版社, 1982年版, p1606
  34. 明.李時珍, 本草綱目.菜部.芥 第26卷, 人民衛生出版社, 1982年版, p1607
  35. 宋.羅愿, 爾雅翼 第七卷 '芥', 四庫全書本
  36. 明.李時珍, 本草綱目.果部.胡椒 第三十二卷, '集解'引, 人民衛生出版社, 1982年版, p1858
  37. 唐.段成式, 酉陽雜? 第十八卷, 中華書局 1981年版
  38. 明.李時珍 本草綱目.果部.胡椒 第三十二卷, '集解'引, 人民衛生出版社, 1982年版, p1858
  39. 拙作, 中國飮食文化槪論 高等敎育出版社 2003年版, p261
  40. 欽定授時通考 第六十八卷, '茱萸', 四庫全書 本
  41. 宋.林 毛詩講義 卷三, 四庫全書 本
  42. 漢.鄭玄注, 唐.孔穎達疏, 禮記註疏.內則 卷二十八, 四庫全書 本
  43. 繆啓愉, 齊民要術校注 卷四, '種茱萸' 第四十四, 農業出版社, 1982年版
  44. 元.忽思慧, 飮膳正要.酒 第三卷, '阿刺吉酒' 條, 中華書局 1985年版
  45. 明.李時珍, 本草綱目.谷部.酒 第二十五卷, '集解', 人民衛生出版社, 1982年版, p1567
  46. 明.李時珍, 本草綱目.谷部.酒 第二十五卷, '集解', 人民衛生出版社, 1982年版, p1567
  47. 尙書正義.說命, 淸.阮元校刻 十三經注疏, 中華書局 1980年版, p175
  48. 明.高濂, 遵生八箋 之五, 燕閑淸賞箋.四時花紀 下 '蕃椒'條, 巴蜀書社 1985년
  49. 御定佩文齋廣群芳譜.蔬譜.椒 卷十三附錄 '蕃椒'條, 四庫全書 本
  50. 淸.陳淏子, 花鏡, 北京農業出版社, 1979년 수정본
  51. 淸.章穆, 調疾飮食辨 第三卷 '辣枚子' 條, 中醫古籍出版社 1987년판
  52. 淸.吳其濬, 植物名實圖考 '蔬部' 卷六, '淸道光28年(1848)蒙自陸應穀刻本
  53. 老子, 道德經 下篇 第六十三章, 中華書局 諸子集成 卷三
  54. 明.方有執, 傷寒論條辨 卷九, 四庫全書 本
  55. 禮記正義.內則 鄭氏注, 淸.阮元校刻 十三經注疏, 中華書局 1980年影印本, p1466
  56. 北魏.賈思, 齊民要術 卷八, '八和' 第七十三, 農業出版社, 1982年版, p449
  57. 李漁, 閑情偶寄.飮饌部 卷五, 蔬食第一 '芥汁' 條, 李漁全集 浙江古籍出版社, 1992년, p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