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k Epistemology and STS Perspective

위험 인식론과 STS적 관점: 우리는 더 안전해 졌는가?

  • 강윤재 (고려대학교 과학기술학협동과정)
  • Published : 2008.12.31

Abstract

This essa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risk epistemology based on STS perspective. The starting point is the modern society's dilemma that the more technoscience has been developed, the more modern society has become riskier. The conventional risk epistemology, based on modernist dualism, has a tendency to be neglig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society and technoscience, since it has only paid attention to either side of objectivity of risk or context of risk. In contrast, STS perspective on risk makes a point of focusing on the need of constructing the comprehensive risk epistemology, instead of the traditional approach based on modernist dualism. Now, this perspective goes ahead through "bridging" between objective risk(nature) and contextual risk(society) toward co-production of risk, as a result that we can no more turn our head from the emergence of new hybrids and, in turn, increase of complexity of heterogeneous networks. As such I suggest the concept of technosphere so as to reflect and display these characteristics of this perspective, and assess the potentiality of the concept.

이 글은 과학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더 위험해졌다는 현대사회의 딜레마를 출발점으로 삼아 STS적 관점의 위험 인식론의 가능성을 검토한다. 근대적 이원론에 근거한 전통적 위험 인식론은 위험의 객관성과 위험의 맥락성 어느 한 쪽만을 주목한 채 위험사회와 과학기술의 관계는 소홀히 다루는 경향이 있다. STS적 관점은 이와 같은 근대적 이원론을 넘어서서 통합적 위험 인식에 대한 새로운 요구에 기반한다. 이 관점은 객관적 위험(자연)과 맥락적 위험(사회)의 "다리 놓기"를 넘어서서 "공동생산"으로 나아가고 있는데, 그 중심에는 새로운 하이브리드의 출현과 이질적 네트워크의 복잡화가 자리잡고 있다. 이런 특징을 포괄할 수 있는 개념으로 기술권(technosphere)을 제시한 후, 개념의 잠재성을 평가한다.

Keywords